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50923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역대지하17:1-19

. 내 용: 여호사밧의 통치와 번영

1. 아사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이후 그의 조상 다윗이 간 길을 따랐던 여호사밧, 주님께서 함께 하시어 나라를 굳건하게 해 주심.

2. 왕이 된 지 삼 년째 되던 해부터 주님의 율법 책을 가지고 유다의 모든 성읍들을 돌며 백성들을 가르치게 함.

3. 주변 나라들이 유다를 두려워하여 싸움을 걸지 못하고 조공을 바침.

 

. 묵상 말씀: "그들은 주님의 율법 책을 가지고 유다 전국을 돌면서 백성을 가르쳤다"(대하17:9).

1. 전국을 돌며 율법을 가르치다

북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을 통틀어 여호사밧처럼 전국을 돌며 백성들에게 율법을 가르친 왕은 없습니다. 비교적 북 이스라엘에 비해 정통성이나 신앙의 전승 측면에서 유리했던 유다의 왕들도 기껏해야 산당의 우상들을 제거하고 예언자들의 예언에 귀를 기우리는 정도였습니다. 물론 희생제사도 잘 드렸습니다. 그러나 여호사밧은 그들과 다른 진정성과 열정이 보입니다. 바로 율법을 가르친 것입니다. 지키라고 주신 말씀이지만, 마땅히 가르칠 공간이 마련되어있질 못한 상황에서 할 수 있었던 방안이었던 듯싶습니다. 지키라고 주신 하느님의 법과 명령은 함께 공유되지 못할 경우, 자칫 권력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을 과감하게 깨트리고 백성들에게 나가간 모습이 참 감동적입니다.

 

2. '가르침'이라는 것

 

교회의 사명 가운데 디다케(Didache)가 있습니다. 다다케는 2세기 이집트나 시리아에서 기록된 것으로 보이는 가장 오래된 기독교 교훈집을 일컫는 말입니다. 16개의 짧은 장에 도덕, 윤리, 교회 예배, 종말의 희망(마지막 날에 있을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을 다루고 있는데, 초대교회의 입문과 교훈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이 교훈집의 존재는 '함께 공유하라'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함께 공유하기 위한 방법이 교육, 즉 가르침인 셈입니다. 종말의 지연으로 말미암아 그 역할은 교회가 맡게 되었습니다. 이후 교회의 존재 이유와 사명으로 '디다케'가 자리를 잡은 것입니다. 디다케는 단순히 후손들을 가르치는 교육적 사명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함께 공유함으로 지적 권력화를 막아내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하느님의 정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호사밧은 그런 가르침을 통해 지적 권력의 사유화를 막고 진정한 공동체 가치를 구현시킨 진실한 종교 개혁자였습니다. 백성들이 그것을 알았고 그래서 그는 백성들로부터 존경과 신뢰, 사랑을 받는 왕이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58 251025 제사장 여호야다의 쿠데타(대하23:1-15) file 이주현 2025.10.20 4
2257 251015 아달랴의 망령(妄靈)(대하22:10-12) 이주현 2025.10.15 40
2256 251014 불행한 왕 아하시야(대하22:1-9) file 이주현 2025.10.14 33
2255 251013 여호람의 비참한 최후(대하21:8-20) file 이주현 2025.10.13 22
2254 251008 여호사밧의 세 번째 실정, 여호람(대하21:2-7) file 이주현 2025.10.08 31
2253 251007 여호사밧의 두 가지 실정(대하20:31-21:1) file 이주현 2025.10.07 24
2252 251006 여호사밧의 축제와 같은 전쟁(대하20장18-30) 이주현 2025.10.06 30
2251 251001 암몬, 모압, 마온 족속 연합군 침공과 여호사밧의 기도(대하20:1-11) 이주현 2025.10.01 19
2250 250930 여호사밧의 선정(대하19:4-11) file 이주현 2025.09.30 20
2249 250929 아합의 죽음과 여호사밧의 귀환(대하18:28-19:3) file 이주현 2025.09.29 33
2248 250925 진실한 예언자 미가야(대하18:12-27) file 이주현 2025.09.25 22
2247 250924 하느님의 뜻을 묻는 여호사밧(대하18:1-11) file 이주현 2025.09.24 21
» 250923 여호사밧의 통치와 번영(대하17:1-19) file 이주현 2025.09.23 25
2245 250922 아사 왕의 말년(대하16:1-14) file 이주현 2025.09.22 25
2244 250917 아사 왕의 종교개혁(대하15:1-19) file 이주현 2025.09.17 29
2243 250916 아사 왕의 선정과 세라의 침공(대하14:1-15) file 이주현 2025.09.16 29
2242 250915 아비야와 여로보암의 전쟁(대하13:1-22) 이주현 2025.09.15 23
2241 250908 이집트의 침공과 백성들의 회개(대하12:1-16) file 이주현 2025.09.08 32
2240 250903 남북 분열의 혼란과 의인들의 탈출(대하11:1-23) file 이주현 2025.09.03 53
2239 250902 솔로몬의 죽음과 북쪽 지파의 반란(대하9:29-10:19) file 이주현 2025.09.02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