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1106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14:19-31

. 내 용: 르호보암과 남유다의 타락

1. 북 이스라엘의 타락에 이어 르호보암이 다스렸던 남 유다도 타락했음을 지적하고 있음.

2. 남 유다의 타락도 북 이스라엘과 마찬가지로 높은 언덕과 푸른 나무 아래에 산당을 짓고 돌과 나무로 우상을 만들었음.

3. 이집트의 시삭 왕을 통해 솔로몬 때 모아둔 금은보석을 다 잃음.

 

. 묵상 말씀: "그들도 높은 언덕과 푸른 나무 아래마다, 산당들과 돌 우상과 아세라 목상을 만들었다"(왕상14:23).

1. 남 유다의 타락상

북 이스라엘이 타락한 것은 그럴 수밖에 없는 역사적 배경과 물리적인 이유가 존재합니다. 여로보암의 탐욕에 의한 무리한 정책이 타락을 불러온 배경이 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루살렘이 중심부에 버티고 있고 다윗과 솔로몬의 정신적, 신앙적 유산을 계승한 남 유다의 타락이 북 이스라엘과 같이 진행되었다는 것은 좀 놀랍습니다. 물론 솔로몬 시대에 그러한 조짐이 보이긴 했지만 북 이스라엘과 끊임없이 전쟁을 치렀던 르호보암이 남 유다 백성들의 신뢰와 원활한 통치를 위해서라도 북 이스라엘과는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했을 터이나, 그렇게 하지 못했음을 짐작하게 합니다. 하긴 르호보암은 전혀 준비가 안 된 왕이었기에 그런 기대가 무리일 수도 있습니다만, 그 당시 예언자들 그리고 종교 지도자들은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 참 궁금합니다.

 

2. 높은 언덕과 푸른 나무 아래

'높은 언덕과 푸른 나무 아래'마다 산당을 만들고 돌과 나무로 우상을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왜 하필이면 높은 언덕과 푸른 나무 아래일까요? 오늘날도 마찬가지입니다. 종교시설이 위치한 곳은 대부분 그런 곳입니다. 사람들에게 물리적 환경이 주는 최대한의 혜택을 누리려는 인간의 바램, 또는 욕구가 스며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하느님의 말씀과 뜻을 구하는 '하느님 신앙'은 좀 다릅니다. 귀를 기우려 말씀을 청종하고 그 말씀을 삶 속에 행하는 하느님 신앙의 전통은 경치 좋고 몫 좋은 곳이 아니라, 거친 광야였고 고통의 십자가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전통 대신 높은 언덕과 푸른 나무 아래를 찾았다 함은 하느님의 권능과 말씀의 권위보다는 물리적 환경을 의지했다는 것이요, 그것은 하느님의 뜻보다는 인간의 욕구가 우선했다는 데까지 이릅니다. 결국 하느님의 뜻을 좇고 그 분의 뜻에 순종하려는 하느님 신앙의 본질이 왜곡된 것입니다. 신앙의 원리가 왜곡될 때 생기는 것, 그것이 바로 우상 아닐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12 241210 나봇의 포도원 이야기(왕상21:1-16) file 이주현 2024.12.10 326
2111 241209 아합을 야단친 한 예언자(왕상20장35-43) file 이주현 2024.12.09 319
2110 241204 시리아의 두 번째 공격(왕상20:23-34) file 이주현 2024.12.04 307
2109 241203 시리아와 북이스라엘과의 1차 전쟁(왕상20:1-22) file 이주현 2024.12.03 312
2108 241202 부름에 대한 엘리사의 반응(왕상19:19-21) file 이주현 2024.12.02 353
2107 241127 엘리야의 낙심과 위로(왕상19:1-28) file 이주현 2024.11.27 333
2106 241126 비를 내리게 한 엘리야의 기도(왕상18:41-46) file 이주현 2024.11.26 449
2105 241125 갈멜산 결전(왕상18:21-40) file 이주현 2024.11.25 327
2104 241120 엘리야 선지자와 아합 왕의 만남(왕상18:1-20) file 이주현 2024.11.20 331
2103 241119 악한 시대, 산소 같은 이야기(왕상17:1-24) file 이주현 2024.11.19 335
2102 241118 악한 왕 오므리, 더 악한 왕 아합(왕상16:21-34) file 이주현 2024.11.18 317
2101 241113 북이스라엘 왕, 엘라와 시므리(왕상16:8-20) 이주현 2024.11.13 331
2100 241112 북이스라엘 왕, 나납과 바아사(왕상15:25-16:7) file 이주현 2024.11.12 318
2099 241111 유다 왕, 아비야와 아사(왕상15:1-24) file 이주현 2024.11.11 324
» 241106 르호보암과 남유다의 타락(왕상14:19-31) file 이주현 2024.11.06 346
2097 241105 하느님의 격발(왕상13:33-14:18) 이주현 2024.11.05 321
2096 241104 베델의 늙은 예언자(왕상13:11-32) file 이주현 2024.11.04 399
2095 241030 여로보암을 심판한 참 예언자(왕상12:32-13:10) 이주현 2024.10.30 313
2094 241029 두 사람의 탐욕이 부른 참사(왕상12:21-31) 이주현 2024.10.29 324
2093 241028 북쪽 지파의 저항(왕상12:1-20) file 이주현 2024.10.28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