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70817 예수의 피신과 헤롯의 만행

2017.08.17 07:45

이주현목사 조회 수:94

170817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마태복음2:13-23

. 내 용: 예수의 이집트 피신과 헤롯의 만행

1. 박사들이 떠난 후 이집트로 피신해서 헤롯이 죽을 때까지 머물렀던 예수와 그의 가족.

2. 박사들이 떠난 후, 베들레헴 부근의 아이들을 살해하는 헤롯의 만행.

 

. 묵상 말씀: “주님의 천사가 이집트에 있는 요셉에게 꿈에 나타나서 말하였다”(2:19).

1. 헤롯의 만행

오늘 본문은 동방박사가 아기 예수를 경배한 후 일어난 일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요셉은 주님의 천사의 말을 듣고 이집트로 피신하였고 헤롯은 동박박사들이 떠난 뒤 분노했다고 했습니다. 아기 예수가 낳은 곳을 가르쳐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 분노는 만행으로 이어졌습니다. 베들레헴 주변 두 살 이하의 아이들을 모두 살해한 것입니다. 성서 기자는 그것을 두고 예언이 이루어진 것으로 사실을 전하고 있으나, 이 기사를 접하는 독자들은 의문이 남습니다. 이집트로 피신하라고 하신 주님께서 왜, 헤롯의 만행을 묵인하셨느냐는 것 말입니다. 아기 예수를 피신시키신 주님이 왜, 무고한 아이들이 살해되도록 방치하셨느냐는 그런 질문 말입니다. 깊으신 하느님의 뜻을 모두 헤아린다는 것이 어찌 가능하겠습니까만, 이 땅의 권세를 잡고 있는 사탄과 악마의 권세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큰 줄기의 역사는 하느님이 주관하시지만, 이 세상 권세는 하느님의 선하신 역사를 방해하는 악마의 권세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2. 주님의 음성

메시아의 피신은 아주 독특한 개념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세상을 구원하실 메시야가 고난을 받는다는 구조도 마찬가지입니다. 철저하게 인간의 몸으로 오신 인간들 가운데 거하시는 낮아지신 하느님의 깊으신 사랑의 모습이 아닌가 싶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하고 싶은 것은 그 예수를 피신시키는 과정입니다. 바로 요셉이 주님의 천사 음성을 듣고 이집트로 피신하였고, 헤롯이 죽자 다시 이스라엘로 돌아왔습니다. 모두가 다 주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헤롯은 베들레헴 주변의 아이들을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똑같은 메시아의 탄생을 두고 벌어지는 이 두 가지 상반된 태도를 보고 많은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극명하게 대조를 이루는 헤롯과 요셉의 태도는 누구의 소리를 듣고 살았느냐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야고보 기자는 하느님께 복종하고 악마를 물리치십시오”(4:7)라고 했습니다. 인간이 이 세상에서 행하는 그 행위의 본질을 성서는 그런 식으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주님의 음성을 듣는 사람과 악마의 음성을 듣는 사람으로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마음 보좌에 누가 앉아있는지 죽는 날까지 성찰해야 할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3 200613 예수 재림의 시기와 자세 이주현 2020.06.16 125
1182 200610 예수의 재림과 소망 이주현 2020.06.10 91
1181 200609 그리스도인의 삶의 지침들 이주현 2020.06.10 112
1180 200608 바울의 위로와 중보기도 이주현 2020.06.08 108
1179 200603 시역자가 사는 법 이주현 2020.06.04 91
1178 200602 복음을 대하는 태도 이주현 2020.06.04 94
1177 200601 사역자 바울 이주현 2020.06.04 80
1176 200527 소문 난 데살로니가 교회(데살로니가 전서) 이주현 2020.06.04 95
1175 170822 세례 요한의 등장 이주현목사 2017.08.22 94
» 170817 예수의 피신과 헤롯의 만행 이주현목사 2017.08.17 94
1173 170816 예수의 탄생 이야기2 이주현목사 2017.08.16 94
1172 170815 예수의 탄생 이야기1(마태복음) [1] 이주현목사 2017.08.16 98
1171 170807 다시 보내실 엘리야 예언자 [1] 이주현목사 2017.08.07 1700
1170 170805 비망록에 기록된 사람들 [1] 이주현목사 2017.08.06 109
1169 170802 십일조 정신과 신앙 [1] 이주현목사 2017.08.06 101
1168 170801 얼굴에 똥칠을 한 제사장 [1] 이주현목사 2017.08.06 91
1167 170731 하느님 사랑에 대한 의심과 그 결과(말라기) [1] 이주현목사 2017.08.06 144
1166 170727 스가랴의 마지막 메시지, 새로운 질서 [1] 이주현목사 2017.07.27 105
1165 170726 내 백성, 나의 하느님 [1] 이주현목사 2017.07.26 1280
1164 170725 은혜와 용서의 영 [1] 이주현목사 2017.07.26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