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004 은혜와 복을 주신 이유
2013.10.04 10:18
||0||0131004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시편67:1-7
. 내 용: 은혜와 복을 주신 이유
1. 주님께서 우리들에게 은혜와 복을 주신 이유를 나타냄.
2. 온 세상이 주님의 뜻을 알고 모든 민족이 주님의 구원을 알게 하는 것과 모든 민족들이 주님을 찬송하게 하는 것.
. 묵상 말씀: “모든 민족들이 주님을 찬송하게 하십시오”(시67:3).
1. 왜 사는가?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가려면 인생의 목적을 알아야 합니다. 인생의 목적을 알고 산다는 것은 길을 제대로 찾고 사는 그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 다시 말해 왜, 살아야 하는지를 알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순서를 왜곡시켜 “어떻게”에만 집중합니다. “왜”가 생략된 “어떻게”는 목표를 상실한 채 표류하는 배와 같다고 할까요? 그렇습니다. 우리는 매사에 그 목적을 알고 살아야 합니다. 그 목적을 알지 못하는 경우, 우리는 삶이 왜곡되거나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시편 기자는 주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은혜와 복의 이유와 목적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은혜와 복은 모두 하느님의 영역이라는 것과 그 것 없이는 사람이 살 수 없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결국 복과 은혜를 주신 이유를 안다는 것은 하느님이 우리를 이 땅에 내신 이유와 목적을 아는 것이 되는 것이죠. 왜 사는지도 모르면서 잘살려고 발버둥치는 삶, 그 속에서 혼란과 왜곡이 생기는 것이지요.
2. 어떻게 사는가?
‘왜 사는가’에 대한 답을 얻은 이들은 ‘어떻게 사는가’에 대한 답을 찾게 마련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기자는 그 답변에 대하여 이렇게 언급합니다. “온 세상이 주님의 뜻을 알고 모든 민족이 주님의 구원을 알게 하여 주십시오”(2). 그렇습니다. 주님께서 복과 은혜를 주신 이유는 다른 게 아닙니다. 바로 주님의 뜻과 주님의 구원을 알게 하시려는 것이지요. 주님의 뜻과 구원을 알게 하시기 위해 복과 은혜를 주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흔히 복과 은혜에 대하여 우리의 위상을 올려주고 편안하게 해주는 달콤한 그 어떤 것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련을 당하거나 고난 중에 있는 사람을 복 받았다거나 은혜 받았다고 하질 않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시련과 고난을 통해서 주님의 뜻과 구원을 알게 되었다면 그것은 곧 복과 은혜가 되는 것이지요. 반대로 주님의 뜻과 은혜를 모른다면, 그 어떤 부요와 평안도 그에게 은혜와 복이 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렇게 주님의 복과 은혜를 알게 된 이는 주님을 경외하며(7) 주님을 찬송하게 됩니다(3). 삶이 반듯하게 자리를 잡아가는 것이지요.
. 읽은 말씀: 시편67:1-7
. 내 용: 은혜와 복을 주신 이유
1. 주님께서 우리들에게 은혜와 복을 주신 이유를 나타냄.
2. 온 세상이 주님의 뜻을 알고 모든 민족이 주님의 구원을 알게 하는 것과 모든 민족들이 주님을 찬송하게 하는 것.
. 묵상 말씀: “모든 민족들이 주님을 찬송하게 하십시오”(시67:3).
1. 왜 사는가?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가려면 인생의 목적을 알아야 합니다. 인생의 목적을 알고 산다는 것은 길을 제대로 찾고 사는 그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 다시 말해 왜, 살아야 하는지를 알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순서를 왜곡시켜 “어떻게”에만 집중합니다. “왜”가 생략된 “어떻게”는 목표를 상실한 채 표류하는 배와 같다고 할까요? 그렇습니다. 우리는 매사에 그 목적을 알고 살아야 합니다. 그 목적을 알지 못하는 경우, 우리는 삶이 왜곡되거나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시편 기자는 주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은혜와 복의 이유와 목적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은혜와 복은 모두 하느님의 영역이라는 것과 그 것 없이는 사람이 살 수 없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결국 복과 은혜를 주신 이유를 안다는 것은 하느님이 우리를 이 땅에 내신 이유와 목적을 아는 것이 되는 것이죠. 왜 사는지도 모르면서 잘살려고 발버둥치는 삶, 그 속에서 혼란과 왜곡이 생기는 것이지요.
2. 어떻게 사는가?
‘왜 사는가’에 대한 답을 얻은 이들은 ‘어떻게 사는가’에 대한 답을 찾게 마련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기자는 그 답변에 대하여 이렇게 언급합니다. “온 세상이 주님의 뜻을 알고 모든 민족이 주님의 구원을 알게 하여 주십시오”(2). 그렇습니다. 주님께서 복과 은혜를 주신 이유는 다른 게 아닙니다. 바로 주님의 뜻과 주님의 구원을 알게 하시려는 것이지요. 주님의 뜻과 구원을 알게 하시기 위해 복과 은혜를 주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흔히 복과 은혜에 대하여 우리의 위상을 올려주고 편안하게 해주는 달콤한 그 어떤 것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련을 당하거나 고난 중에 있는 사람을 복 받았다거나 은혜 받았다고 하질 않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시련과 고난을 통해서 주님의 뜻과 구원을 알게 되었다면 그것은 곧 복과 은혜가 되는 것이지요. 반대로 주님의 뜻과 은혜를 모른다면, 그 어떤 부요와 평안도 그에게 은혜와 복이 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렇게 주님의 복과 은혜를 알게 된 이는 주님을 경외하며(7) 주님을 찬송하게 됩니다(3). 삶이 반듯하게 자리를 잡아가는 것이지요.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51 | 131023 하느님의 공정한 판결 | 이주현 | 2013.10.23 | 456 |
550 | 131021 환난 때 드리는 기도 | 이주현 | 2013.10.21 | 434 |
549 | 131019 주님과 함께 하는 사람 | 이주현 | 2013.10.19 | 439 |
548 | 131018 어느 시인의 고민 | 이주현 | 2013.10.18 | 452 |
547 | 131017 축복 받는 왕 | 이주현 | 2013.10.17 | 442 |
546 | 131016 재난과 불행을 흥겨운 노래로 | 이주현 | 2013.10.16 | 434 |
545 | 131015 주님만이 나의 희망 | 이주현 | 2013.10.15 | 423 |
544 | 131012 기도하는 다윗의 삶 | 이주현 | 2013.10.12 | 444 |
543 | 131011 주님을 더 기쁘게 하는 것 | 이주현 | 2013.10.11 | 428 |
542 | 131010 잘 알고 계신 하느님 | 이주현 | 2013.10.10 | 389 |
541 | 131009 다윗의 간절한 기도 제목 | 이주현 | 2013.10.09 | 593 |
540 | 131008 짐을 대신 져주시는 하느님 | 이주현 | 2013.10.08 | 420 |
539 | 131005 주님의 식구들 | 이주현 | 2013.10.05 | 404 |
» | 131004 은혜와 복을 주신 이유 | 이주현 | 2013.10.04 | 410 |
537 | 131003 주님의 놀라운 일 | 이주현 | 2013.10.03 | 384 |
536 | 130928 주님을 마땅히 찬양함 | 이주현 | 2013.09.28 | 410 |
535 | 130927 악인들의 착각 | 이주현 | 2013.09.27 | 423 |
534 | 130926 생명보다 더 소중한 것 | 이주현 | 2013.09.26 | 414 |
533 | 130924 흔들리지 않는 삶 | 이주현 | 2013.09.24 | 422 |
532 | 130923 서원한 것을 지키는 다윗 | 이주현 | 2013.09.23 | 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