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426 욥의 독백과 탄식
2013.04.26 06:37
||0||0130426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욥기30:1-31
. 내 용: 욥의 독백과 호소
1. 고난으로 인해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조롱하는 현실을 수용하면서 탄식함.(1-19)
2. 부르짖어도 응답하지 않는다는 탄식을 통해 자신의 고통의 강도를 고백함.(20-24)
3. 고통스러운 나날을 탄식함.(25-31)
. 묵상 말씀: “하느님이 나를 진흙 속에 던지시니 내가 진흙이나 쓰레기보다 나을 것이 없다”(욥30:19).
1. 동정
오늘 본문에서 첫 번째로 와 닿는 인상은 ‘동정’입니다. 욥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하는 그런 느낌 말입니다. 과거 번영을 구가하고 풍요롭게 살 때는 멀리서 쳐다만 보던 자들로부터 조롱당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그들이 욥에게 침을 뱉는다고 했습니다. 육신의 고통도 고통이지만 정신적으로 당하는 고통은 사람을 죽음의 구렁텅이로 몰아넣게 마련입니다. 만신창이가 된 몸과 정신, 그래서 쓰레기와 진흙만도 못한 존재가 된 자신을 탄식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이 정도 처지에 다다르면 무슨 일을 벌일지 모릅니다. 그나마 욥이 목숨을 부지하고 있는 게 기적처럼 보입니다. 이는 욥이 그동안 쌓아온 신앙의 내공 덕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결과론적인 이야기입니다만, 사람이 살다가 이렇게 자신의 밑바닥까지 내려가는-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는 그런 곳-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 어쩌면 그 것도 삶의 자산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회계 원리에서 자산은 자본과 빚(부채)를 포함하듯 말입니다.
2. 불신과 무지
지난 29장에서 욥은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면서 과거의 영화는 하느님이 함께해주심으로 인한 은총임을 고백하였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욥은 자신의 고통을 바라보는 시각도 그런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즉, 자신의 고난을 ‘하느님의 부재’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부르짖어도 하느님은 들은 체도 않으신다’(20)고 했고, ‘힘이 세신 주님께서 나를 핍박하신다’(21)고 했습니다. 욥은 자신의 고난 속에서 그 고난의 주관자를 고백하고 있습니다. 하느님이 그리하셨다는 말입니다. 그러면서 힘으로 짓누르고 핍박하는 하느님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정말 그런 하느님일까요? 이러한 탄식은 일종의 역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 하느님에 대한 존재 부정으로 나아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고난을 주시던 핍박을 하시던 하느님을 인정한다는 것은 또 다른 희망의 근원입니다. 하느님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는 그런 고백을 못합니다. 존재 부정으로 인한 탄식은 절망을 만들어 내지만 무지로 인한 탄식은 희망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하느님에 대한 원망과 탄식처럼 보이지만 나에게 간절한 호소로 와 닿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 읽은 말씀: 욥기30:1-31
. 내 용: 욥의 독백과 호소
1. 고난으로 인해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조롱하는 현실을 수용하면서 탄식함.(1-19)
2. 부르짖어도 응답하지 않는다는 탄식을 통해 자신의 고통의 강도를 고백함.(20-24)
3. 고통스러운 나날을 탄식함.(25-31)
. 묵상 말씀: “하느님이 나를 진흙 속에 던지시니 내가 진흙이나 쓰레기보다 나을 것이 없다”(욥30:19).
1. 동정
오늘 본문에서 첫 번째로 와 닿는 인상은 ‘동정’입니다. 욥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하는 그런 느낌 말입니다. 과거 번영을 구가하고 풍요롭게 살 때는 멀리서 쳐다만 보던 자들로부터 조롱당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그들이 욥에게 침을 뱉는다고 했습니다. 육신의 고통도 고통이지만 정신적으로 당하는 고통은 사람을 죽음의 구렁텅이로 몰아넣게 마련입니다. 만신창이가 된 몸과 정신, 그래서 쓰레기와 진흙만도 못한 존재가 된 자신을 탄식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이 정도 처지에 다다르면 무슨 일을 벌일지 모릅니다. 그나마 욥이 목숨을 부지하고 있는 게 기적처럼 보입니다. 이는 욥이 그동안 쌓아온 신앙의 내공 덕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결과론적인 이야기입니다만, 사람이 살다가 이렇게 자신의 밑바닥까지 내려가는-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는 그런 곳-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 어쩌면 그 것도 삶의 자산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회계 원리에서 자산은 자본과 빚(부채)를 포함하듯 말입니다.
2. 불신과 무지
지난 29장에서 욥은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면서 과거의 영화는 하느님이 함께해주심으로 인한 은총임을 고백하였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욥은 자신의 고통을 바라보는 시각도 그런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즉, 자신의 고난을 ‘하느님의 부재’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부르짖어도 하느님은 들은 체도 않으신다’(20)고 했고, ‘힘이 세신 주님께서 나를 핍박하신다’(21)고 했습니다. 욥은 자신의 고난 속에서 그 고난의 주관자를 고백하고 있습니다. 하느님이 그리하셨다는 말입니다. 그러면서 힘으로 짓누르고 핍박하는 하느님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정말 그런 하느님일까요? 이러한 탄식은 일종의 역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 하느님에 대한 존재 부정으로 나아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고난을 주시던 핍박을 하시던 하느님을 인정한다는 것은 또 다른 희망의 근원입니다. 하느님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는 그런 고백을 못합니다. 존재 부정으로 인한 탄식은 절망을 만들어 내지만 무지로 인한 탄식은 희망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하느님에 대한 원망과 탄식처럼 보이지만 나에게 간절한 호소로 와 닿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51 | 130510 짐승들 속에 나타난 하느님의 지혜 | 이주현 | 2013.05.10 | 576 |
450 | 130509 하느님의 지혜 [1] | 이주현 | 2013.05.09 | 562 |
449 | 130508 엘리후의 마지막 발언 [1] | 이주현 | 2013.05.08 | 603 |
448 | 130507 엘리후의 착각 | 이주현 | 2013.05.07 | 604 |
447 | 130506 엘리후의 세 번째 발언 | 이주현 | 2013.05.06 | 584 |
446 | 130504 엘리후의 정죄와 저주 [1] | 이주현 | 2013.05.04 | 592 |
445 | 130503 욥을 고발하는 엘리후 [1] | 이주현 | 2013.05.03 | 572 |
444 | 130502 엘리후의 고난관 [1] | 이주현 | 2013.05.02 | 543 |
443 | 130430 욥의 잘못과 하느님 응답 [3] | 이주현 | 2013.04.30 | 594 |
442 | 130429 젊은 엘리후의 등장 [1] | 이주현 | 2013.04.29 | 594 |
441 | 130427 욥이 말한 '자기 의' [1] | 이주현 | 2013.04.27 | 581 |
» | 130426 욥의 독백과 탄식 [1] | 이주현 | 2013.04.26 | 603 |
439 | 130425 욥의 과거 회상 [1] | 이주현 | 2013.04.25 | 613 |
438 | 130424 욥이 말하는 지혜와 슬기 [1] | 이주현 | 2013.04.24 | 745 |
437 | 130423 근거 있는 자신감 [1] | 이주현 | 2013.04.23 | 602 |
436 | 130422 하느님의 권능과 인간의 한계 [1] | 이주현 | 2013.04.22 | 642 |
435 | 130420 빌닷의 세 번째 충고 [1] | 이주현 | 2013.04.20 | 627 |
434 | 130419 하느님 심판에 대한 태도 [1] | 이주현 | 2013.04.19 | 586 |
433 | 130418 욥의 변화 [1] | 이주현 | 2013.04.18 | 594 |
432 | 130417 무지와 억지, 그리고 고집 [1] | 이주현 | 2013.04.17 | 649 |
자산=자본+부채
내 삶의 자산은 자본이 클까 부채가 클까 생각해 봅니다.
또한 내 삶의 자산을 늘리는 방법으로 자본을 늘리는 방향을 고민해 봅니다.
앞으로의 삶에서 불신앙으로 인한 탄식은 최소한 하지 않으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