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413 절망과 고독에서 핀 꽃
2013.04.13 06:55
||0||0130413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욥기19:1-29
. 내 용: 빌닷의 두 번째 조언에 대한 욥의 답변
1. 빌닷의 두 번째 조언에 대한 답변을 통해 친구들의 무정함을 언급(1-6)하였고
2. 이어 고난을 주시는 하느님에 대하여 탄식하는 모습(7-12)과 고독한 자신에 대하여 한탄(13-22). 구속자에 대한 구원을 호소함(23-29).
. 묵상 말씀: “그러나 나는 확신한다. 내 구원자가 살아계신다”(욥19:25).
1. 절망과 고독
반복되는 친구들의 질책과 욥의 답변이 조금은 지루하게 진행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 고통을 직접 당한 욥의 처지에서는 그러한 질책과 답변을 통해 고통에 대한 생각과 느낌들이 정리되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욥은 자신의 고통을 탄식으로 쏟아놓고 있습니다. 먼저 자신에게 조언을 해주는 친구들에 대하여 학대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느님으로부터 온 몸을 두들겨 맞는 듯 한 고통을 하소연하면서 절망 속에서 탄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13절부터는 고독을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가족들과 친구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특히 부인으로부터 외면받는(내가 숨 쉬는 것을 싫어하고..) 처지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사람을 죽음으로 이르게 하는 가장 큰 병(病), 두 개를 들라면 절망과 고독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둘을 따로 떼어놓을 수는 없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은 조금씩 다릅니다. 욥은 이 둘을 다 겪고 있었던 것입니다. 어쩌면, 죽지 않고 살아있는 것이 기적입니다.
2. 절망 속에서 핀 꽃
절대자와의 합일을 통해 인간은 구원을 체험하고 진정한 자유를 누립니다. 문제는 그 절대자와의 합일을 위한 전제입니다. 그 절대자는 우리 인간의 한계를 인식하는데서 인식된다는 사실입니다. 결국 절대자라는 개념은 상대적인 세상의 원리와 현상 속에서 인식되는 이성과 의지의 산물인 셈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욥이 찾아내고 고백한 '구원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구원자가 그렇게 절실하게 자신의 삶에 다가온 것은 바로 욥이 당한 고통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고통의 깊이가 더할수록 그 구원자는 “살아계심”으로 체험되고 자신을 우뚝 세워주실 것이라는 “희망”으로 승화되고 있습니다. 나아가 자신에게 고통만 안겨주었던 친구들을 보면서 ‘하느님의 분노’와 ‘심판하시는 그 분의 존재감’도 확신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희미하게, 어렴풋이 보이던 그 분이, 이제 삶 속에 명료하게 다가오고 있는 것입니다. 이게 바로 절망 속에서 핀 꽃이 아닐까요? 관념 속에 머물던 하느님이 이제 삶의 주관자로 자리매김을 한 것입니다.
. 읽은 말씀: 욥기19:1-29
. 내 용: 빌닷의 두 번째 조언에 대한 욥의 답변
1. 빌닷의 두 번째 조언에 대한 답변을 통해 친구들의 무정함을 언급(1-6)하였고
2. 이어 고난을 주시는 하느님에 대하여 탄식하는 모습(7-12)과 고독한 자신에 대하여 한탄(13-22). 구속자에 대한 구원을 호소함(23-29).
. 묵상 말씀: “그러나 나는 확신한다. 내 구원자가 살아계신다”(욥19:25).
1. 절망과 고독
반복되는 친구들의 질책과 욥의 답변이 조금은 지루하게 진행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 고통을 직접 당한 욥의 처지에서는 그러한 질책과 답변을 통해 고통에 대한 생각과 느낌들이 정리되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욥은 자신의 고통을 탄식으로 쏟아놓고 있습니다. 먼저 자신에게 조언을 해주는 친구들에 대하여 학대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느님으로부터 온 몸을 두들겨 맞는 듯 한 고통을 하소연하면서 절망 속에서 탄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13절부터는 고독을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가족들과 친구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특히 부인으로부터 외면받는(내가 숨 쉬는 것을 싫어하고..) 처지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사람을 죽음으로 이르게 하는 가장 큰 병(病), 두 개를 들라면 절망과 고독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둘을 따로 떼어놓을 수는 없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은 조금씩 다릅니다. 욥은 이 둘을 다 겪고 있었던 것입니다. 어쩌면, 죽지 않고 살아있는 것이 기적입니다.
2. 절망 속에서 핀 꽃
절대자와의 합일을 통해 인간은 구원을 체험하고 진정한 자유를 누립니다. 문제는 그 절대자와의 합일을 위한 전제입니다. 그 절대자는 우리 인간의 한계를 인식하는데서 인식된다는 사실입니다. 결국 절대자라는 개념은 상대적인 세상의 원리와 현상 속에서 인식되는 이성과 의지의 산물인 셈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욥이 찾아내고 고백한 '구원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구원자가 그렇게 절실하게 자신의 삶에 다가온 것은 바로 욥이 당한 고통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고통의 깊이가 더할수록 그 구원자는 “살아계심”으로 체험되고 자신을 우뚝 세워주실 것이라는 “희망”으로 승화되고 있습니다. 나아가 자신에게 고통만 안겨주었던 친구들을 보면서 ‘하느님의 분노’와 ‘심판하시는 그 분의 존재감’도 확신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희미하게, 어렴풋이 보이던 그 분이, 이제 삶 속에 명료하게 다가오고 있는 것입니다. 이게 바로 절망 속에서 핀 꽃이 아닐까요? 관념 속에 머물던 하느님이 이제 삶의 주관자로 자리매김을 한 것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38 | 130424 욥이 말하는 지혜와 슬기 [1] | 이주현 | 2013.04.24 | 747 |
437 | 130423 근거 있는 자신감 [1] | 이주현 | 2013.04.23 | 603 |
436 | 130422 하느님의 권능과 인간의 한계 [1] | 이주현 | 2013.04.22 | 644 |
435 | 130420 빌닷의 세 번째 충고 [1] | 이주현 | 2013.04.20 | 633 |
434 | 130419 하느님 심판에 대한 태도 [1] | 이주현 | 2013.04.19 | 589 |
433 | 130418 욥의 변화 [1] | 이주현 | 2013.04.18 | 599 |
432 | 130417 무지와 억지, 그리고 고집 [1] | 이주현 | 2013.04.17 | 651 |
431 | 130416 유일한 위로 [1] | 이주현 | 2013.04.16 | 652 |
430 | 130415 소발의 두 번째 조언 [1] | 이주현 | 2013.04.15 | 708 |
» | 130413 절망과 고독에서 핀 꽃 [1] | 이주현 | 2013.04.13 | 723 |
428 | 130412 빌닷의 두 번째 조언 [2] | 이주현 | 2013.04.12 | 735 |
427 | 130411 매우 혼돈스러운 욥 [1] | 이주현 | 2013.04.11 | 732 |
426 | 130410 욥의 변호인과 중재자 [1] | 이주현 | 2013.04.10 | 760 |
425 | 130408 엘리바스의 이어지는 충고 [1] | 이주현 | 2013.04.08 | 737 |
424 | 130406 엘리바스의 두 번째 조언 [1] | 이주현 | 2013.04.06 | 623 |
423 | 130405 이어지는 욥의 기도 [1] | 이주현 | 2013.04.05 | 612 |
422 | 130404 욥의 기도 [1] | 이주현 | 2013.04.04 | 634 |
421 | 130403 계속되는 욥의 답변 [1] | 이주현 | 2013.04.03 | 620 |
420 | 130402 하느님의 지혜와 권능 [1] | 이주현 | 2013.04.02 | 670 |
419 | 130401 소발의 충고에 대한 욥의 답변1 [1] | 이주현 | 2013.04.01 | 628 |
절망과 고독을 겪고, 당한 고통 때문에
아이러니 하게도 희망의 끈과 구원자의 살아계심을 체험하는 욥...
그래서 고난과 역경이 축복으로 다가오는 건가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