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922 새벽묵상- 사람을 사람답게 움직이게 하는 것
2011.09.17 21:20
||0||0110922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룻기1:1-22
. 내 용: 모압 여인 룻이 베들레헴이 오게 된 경위
1. 아브라함의 조카 롯의 후예로 알려진 모압은 사해동편에 자리 잡은 지역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괴롭히던 족속이었습니다.
2. 그 지역으로 베들레헴에 살던 나오미 가족이 남편과 두 아들을 데리고 이주를 함.
3. 모압에서 남편과 아들을 잃고 두 며느리만 남게 되자 나오미는 두 며느리에게 떠나서 재혼하여 살 것을 진심으로 요청함.
4. 두 며느리 중 오르바는 떠나고 룻은 어머니를 따라 베들레헴까지 오게 됨.
. 묵상 말씀: : “어머님이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님이 머무르시는 곳에 나도 머무르겠습니다.”(룻1:16)
1. 나오미의 기구한 인생 역정과 며느리 룻
기근을 피해 모압 땅까지 오게 된 나오미의 가족은 남편 엘리멜렉과 두 아들 말론과 기룐은 다 죽고, 나오미와 현지에서 얻은 두 며느리만 남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오미는 다시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그럴 때 두 며느리가 동행을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두 며느리를 불러 놓고 제발 나를 떠나 새 남편을 만나 사는 게 더 자연스러운 일일 터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두 며느리에게 취한 나오미의 행동은 적절했습니다. 그러나 룻은 끝까지 남아 시어머니 나오미와 동행을 하여 낯선 베들레헴까지 동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룻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성서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만, 제발 나를 떠나라는 시어머니의 부탁에 감동을 받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룻이 취한 행동은 강요한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2. 감동,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힘이 그 곳에 있습니다.
사람을 사람답게 움직이게 하는 근원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인간의 탐욕을 충족시키는 돈이나 권력이나 명예는 아닙니다. 탐욕이라는 영역과 자발적인 희생이나 양보, 깊은 신뢰와 사랑은 그 근원이 다른 영역입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이념이나 철학도 가능할 수 있지만, 그것을 위해 자신의 삶을 던지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인간 심연 깊은 곳으로부터 울컥하고 울려나오는 감동이라는 것, 바로 그게 아닐까요? 뭐라 한 마디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온 몸을 던질 수도 있고, 생명과도 바꿀 수 있는 그 무엇이 있다면 내 삶을 전율시키는 바로 감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실이라는 것으로 뭉쳐있는 삶 속에서 뿜어 나오는 깊은 사랑과 신뢰감, 나오미는 그걸 룻에게 줬고 룻은 그게 감동으로 와 닿았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예수님의 제자가 스승으로부터 느꼈던 그런 감동은 어떤 논리나 교리나 이념이 아니었습니다. 그 분의 삶에서 풍기는 감동, 그 자체가 아니었을까요? 그걸 먹고 사는 사람이 바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봅니다.
. 읽은 말씀: 룻기1:1-22
. 내 용: 모압 여인 룻이 베들레헴이 오게 된 경위
1. 아브라함의 조카 롯의 후예로 알려진 모압은 사해동편에 자리 잡은 지역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괴롭히던 족속이었습니다.
2. 그 지역으로 베들레헴에 살던 나오미 가족이 남편과 두 아들을 데리고 이주를 함.
3. 모압에서 남편과 아들을 잃고 두 며느리만 남게 되자 나오미는 두 며느리에게 떠나서 재혼하여 살 것을 진심으로 요청함.
4. 두 며느리 중 오르바는 떠나고 룻은 어머니를 따라 베들레헴까지 오게 됨.
. 묵상 말씀: : “어머님이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님이 머무르시는 곳에 나도 머무르겠습니다.”(룻1:16)
1. 나오미의 기구한 인생 역정과 며느리 룻
기근을 피해 모압 땅까지 오게 된 나오미의 가족은 남편 엘리멜렉과 두 아들 말론과 기룐은 다 죽고, 나오미와 현지에서 얻은 두 며느리만 남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오미는 다시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그럴 때 두 며느리가 동행을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두 며느리를 불러 놓고 제발 나를 떠나 새 남편을 만나 사는 게 더 자연스러운 일일 터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두 며느리에게 취한 나오미의 행동은 적절했습니다. 그러나 룻은 끝까지 남아 시어머니 나오미와 동행을 하여 낯선 베들레헴까지 동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룻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성서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만, 제발 나를 떠나라는 시어머니의 부탁에 감동을 받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룻이 취한 행동은 강요한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2. 감동,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힘이 그 곳에 있습니다.
사람을 사람답게 움직이게 하는 근원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인간의 탐욕을 충족시키는 돈이나 권력이나 명예는 아닙니다. 탐욕이라는 영역과 자발적인 희생이나 양보, 깊은 신뢰와 사랑은 그 근원이 다른 영역입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이념이나 철학도 가능할 수 있지만, 그것을 위해 자신의 삶을 던지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인간 심연 깊은 곳으로부터 울컥하고 울려나오는 감동이라는 것, 바로 그게 아닐까요? 뭐라 한 마디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온 몸을 던질 수도 있고, 생명과도 바꿀 수 있는 그 무엇이 있다면 내 삶을 전율시키는 바로 감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실이라는 것으로 뭉쳐있는 삶 속에서 뿜어 나오는 깊은 사랑과 신뢰감, 나오미는 그걸 룻에게 줬고 룻은 그게 감동으로 와 닿았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예수님의 제자가 스승으로부터 느꼈던 그런 감동은 어떤 논리나 교리나 이념이 아니었습니다. 그 분의 삶에서 풍기는 감동, 그 자체가 아니었을까요? 그걸 먹고 사는 사람이 바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1 | 111019 청년 사울의 인간 됨됨이 | 웹관리자 | 2011.10.19 | 1252 |
50 | 111018 하느님의 통치를 거부한 이스라엘 | 웹관리자 | 2011.10.18 | 1290 |
49 | 111017 두 사건에서 보는 하느님의 두 모습 | 웹관리자 | 2011.10.17 | 1479 |
48 | 111015 되돌려진 법궤 | 웹관리자 | 2011.10.15 | 1303 |
47 | 111014 빼앗은 법궤로 인해 고통당하는 블레셋 | 웹관리자 | 2011.10.14 | 1192 |
46 | 111013 엘리 제사장의 죽음과 이가봇 | 웹관리자 | 2011.10.13 | 1520 |
45 | 111012 언약궤를 빼앗긴 이스라엘 | 웹관리자 | 2011.10.12 | 1593 |
44 | 111011사무엘이 전한 하느님 음성 | 웹관리자 | 2011.10.11 | 1344 |
43 | 111010 새벽묵상- 사무엘을 부르시는 하느님 | 웹관리자 | 2011.10.10 | 1386 |
42 | 111006 새벽묵상- 엘리 집안에 내린 저주와 교훈 | 웹관리자 | 2011.10.06 | 1734 |
41 | 111005 새벽묵상- 벌 받을 짓 | 웹관리자 | 2011.10.05 | 1385 |
40 | 111003 새벽묵상- 한나에게 내린 축복 | 웹관리자 | 2011.10.05 | 1247 |
39 | 111001 새벽묵상- 하느님 무시 | 웹관리자 | 2011.10.01 | 1242 |
38 | 110929 새벽묵상- 한나의 찬양 | 웹관리자 | 2011.09.29 | 1418 |
37 | 110928 새벽 묵상- 한나의 진실한 믿음과 헌신 | 웹관리자 | 2011.09.28 | 1264 |
36 | 110927 새벽묵상- 한나의 슬픔과 기도 | 웹관리자 | 2011.09.27 | 1215 |
35 | 110926 새벽묵상- 보아스의 선택 | 웹관리자 | 2011.09.27 | 1256 |
34 | 110924 새벽묵상- 행복의 비결 | 웹관리자 | 2011.09.19 | 1211 |
33 | 110923 새벽묵상- 복 받을 사람 | 웹관리자 | 2011.09.18 | 1231 |
» | 110922 새벽묵상- 사람을 사람답게 움직이게 하는 것 | 웹관리자 | 2011.09.17 | 13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