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18 또 불거진 문제들
2012.07.18 06:40
||0||0120718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하15:32-38
. 내 용: 유다 왕 요담의 행적
1. 웃시야(아사랴)의 뒤를 이어 유다의 11대 왕이 된 요담은 나병에 걸린 웃시야를 대신하여 유다를 다스린 경험이 있었음.
2. 아버지가 한 것을 그대로 하여 주님 보시기에 선한 왕으로 이름을 남겼지만 동시에 산당을 없애지 못한 흠을 남김.
3. 그 벌로 시리아와 이스라엘 연합군으로부터 예루살렘 침공을 당함.
. 묵상 말씀: "그는 아버지 웃시야가 한 것을 그대로 본받아, 주님께서 보시기에 올바른 일을 하였다"(왕하15:34).
1. 주님께서 보시기에..
역대 유다 왕들의 행적을 기록한 열왕기 기자의 기록에 후렴구처럼 나타나는 내용이 바로 "주님께서 보시기에.."입니다. 대체로 올바른 일을 한 왕들에 대한 기록입니다만, 후렴구처럼 등장하는 그러한 표현을 보면서 성서에서 제시하는 삶의 평가와 그 기준이 뭔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세상적인 평가와 성서가 제시하는 평가 기준이 다르다는 뜻이겠지요. 요담은 나병이 걸린 아버지 웃시야를 돌보면서 대리통치를 해온 왕이었습니다. 그 아버지의 뒤를 따라 올바른 길을 간 것으로 나타납니다만, 역시 후렴구처럼 등장하는 흠이 있었습니다.
2. 또 산당..
역시 요담도 인간이기에 어찌할 수 없는 부분이 있었겠습니다만, 오늘 본문은 아버지 웃시야가 해결하지 못한 산당 문제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가나안 인들이 유산이기도 한 산당을 없애는 게 그토록 힘든 일이었나,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어쨌든 요담도 전체적으로는 올바른 길을 간 왕으로 평가는 받고 있습니다만, 산당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그 벌로 시리아와 이스라엘 연합군으로부터 공격을 받는 일이 생겼습니다. 성전의 윗 대문을 세우는 등 하느님에 대한 신앙과 그에 대한 평가가 남다른 요담이었는데, 왜 산당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는지 참 의아스럽습니다. 하긴 사람 일에 이해할 수 없는 게 어디 한 둘입니까 만, 반복되는 산당 문제를 보며 세상에 완벽한 인간은 없구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읽은 말씀: 열왕기하15:32-38
. 내 용: 유다 왕 요담의 행적
1. 웃시야(아사랴)의 뒤를 이어 유다의 11대 왕이 된 요담은 나병에 걸린 웃시야를 대신하여 유다를 다스린 경험이 있었음.
2. 아버지가 한 것을 그대로 하여 주님 보시기에 선한 왕으로 이름을 남겼지만 동시에 산당을 없애지 못한 흠을 남김.
3. 그 벌로 시리아와 이스라엘 연합군으로부터 예루살렘 침공을 당함.
. 묵상 말씀: "그는 아버지 웃시야가 한 것을 그대로 본받아, 주님께서 보시기에 올바른 일을 하였다"(왕하15:34).
1. 주님께서 보시기에..
역대 유다 왕들의 행적을 기록한 열왕기 기자의 기록에 후렴구처럼 나타나는 내용이 바로 "주님께서 보시기에.."입니다. 대체로 올바른 일을 한 왕들에 대한 기록입니다만, 후렴구처럼 등장하는 그러한 표현을 보면서 성서에서 제시하는 삶의 평가와 그 기준이 뭔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세상적인 평가와 성서가 제시하는 평가 기준이 다르다는 뜻이겠지요. 요담은 나병이 걸린 아버지 웃시야를 돌보면서 대리통치를 해온 왕이었습니다. 그 아버지의 뒤를 따라 올바른 길을 간 것으로 나타납니다만, 역시 후렴구처럼 등장하는 흠이 있었습니다.
2. 또 산당..
역시 요담도 인간이기에 어찌할 수 없는 부분이 있었겠습니다만, 오늘 본문은 아버지 웃시야가 해결하지 못한 산당 문제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가나안 인들이 유산이기도 한 산당을 없애는 게 그토록 힘든 일이었나,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어쨌든 요담도 전체적으로는 올바른 길을 간 왕으로 평가는 받고 있습니다만, 산당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그 벌로 시리아와 이스라엘 연합군으로부터 공격을 받는 일이 생겼습니다. 성전의 윗 대문을 세우는 등 하느님에 대한 신앙과 그에 대한 평가가 남다른 요담이었는데, 왜 산당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는지 참 의아스럽습니다. 하긴 사람 일에 이해할 수 없는 게 어디 한 둘입니까 만, 반복되는 산당 문제를 보며 세상에 완벽한 인간은 없구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51 | 120730 이해하기 힘든 므낫세 | 이주현 | 2012.07.30 | 728 |
250 | 120728 잠시 틈을 보인 히스기야 | 이주현 | 2012.07.28 | 705 |
249 | 120727 의인의 간절한 기도 | 이주현 | 2012.07.27 | 727 |
248 |
120726 하느님의 명성(왕하19:20-36)
![]() | 이주현 | 2012.07.26 | 753 |
247 | 120725 고난과 시련 대처법 | 이주현 | 2012.07.25 | 704 |
246 | 120724 밤도 온다 | 이주현 | 2012.07.24 | 731 |
245 | 120723 다윗의 길 | 이주현 | 2012.07.23 | 793 |
244 | 120721 종교적 인간과 하느님 신앙 | 이주현 | 2012.07.21 | 813 |
243 | 120720 하느님의 진노와 백성들의 완고함 | 이주현 | 2012.07.20 | 847 |
242 | 120719 한심한 제사장 우리야 | 이주현 | 2012.07.19 | 792 |
» | 120718 또 불거진 문제들 | 이주현 | 2012.07.18 | 743 |
240 | 120717 예고된 몰락과 이스라엘의 혼란 | 이주현 | 2012.07.17 | 774 |
239 | 120716 나병 걸린 아사랴 | 이주현 | 2012.07.16 | 784 |
238 | 120714 인생의 참된 선택 | 이주현 | 2012.07.14 | 758 |
237 | 120713 교만은 패망의 지름길 | 이주현 | 2012.07.13 | 770 |
236 | 120712 하느님의 자비와 언약 | 이주현 | 2012.07.12 | 755 |
235 | 120711 엘리사의 죽음이 남긴 것 | 이주현 | 2012.07.11 | 832 |
234 | 120710 하느님의 신실하심 | 이주현 | 2012.07.10 | 742 |
233 | 120709 요아스의 반쪽 신앙 | 이주현 | 2012.07.09 | 810 |
232 | 120707 인생의 첫 단추 | 이주현 | 2012.07.07 | 7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