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409 '야긴과 보아스'라는 두 성전 기둥
2012.04.09 06:34
||0||0120409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왕상7:15-22
. 내 용: 성전기둥, 야긴과 보아스
1. 두로의 후람을 통해 18자 높이의 놋쇠 기둥인 야긴과 보아스를 성전 현관에다 세움.
2. 두 기둥 꼭대기에 석류와 나리꽃 장식을 함.
. 묵상 말씀: “후람은 이렇게 해서 만든 두 기둥을 선전의 현관에다 세웠다”(왕상7:21).
1. 놋쇠 기둥 둘과 장식
솔로몬은 성전을 건축한 후 성전 현관 앞에 놋쇠기둥 둘을 만들어 세우게 하였습니다. 기둥의 높이가 열여덟 자이니, 서른 자 높이의 성전보다 절반보다 좀 높은 기둥입니다. 그 기둥에 이름을 붙였는데, 그 하나는 야긴(왼쪽, 남쪽 방향)이라하고, 또 하나는 보아스(오른쪽, 북쪽 방향)라고 하였습니다. 성서에 나온 대로 야긴은 “그가 세우다”는 뜻이고, 보아스는 “그에게 힘이 있다”는 뜻입니다. 기둥 꼭대기에는 석류와 나리꽃 장식을 했는데, 그 장식도 의미가 있습니다. 석류는 진실을 의미하고 나리꽃(백합)은 순결과 순수를 의미합니다. 성전을 다 지은 후, 세운 기둥이기에 지붕을 떠받치거나 건물을 지탱하는 용도는 아닙니다. 그렇다면 두로에서 놋쇠 장인을 불러다가 세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2. 성전을 세운 이와 드나드는 이
기둥은 성전을 세운 주체를, 그 장식은 성전을 드나드는 이의 자세를 뜻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건축물에서 기둥이 의미하는 바와 장식이 의미하는 바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둥은 그야말로 중추적인 역할이고 장식은 말 그대로 치장입니다. 따라서 기둥에 담긴 의미는 절대자 하느님에 대한 고백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기둥 꼭대기의 장식은 성전을 드나드는 이의 자세를 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모두가 다 하느님에 대한 고백이라는 공통점은 있습니다. 야긴과 보아스라는 두 기둥에 담긴 의미는 힘이 되신 하느님이 세우셨다는 하느님에 대한 솔로몬의 고백이 아닐까요? 아버지 다윗이 계획하고 솔로몬 자신이 성전 건축을 마무리했지만, 그 것을 정말 세우시고 주고나하신 이는 하느님이라는 그 런 고백 말입니다. 또한 그 성전에 드나드는 사람들은 진실함과 순결함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라고 봅니다. 진실과 순결은 하느님 앞에서 지녀야 할 하느님 백성들의 기본적인 태도입니다. 더러운 그릇에는 음식을 담을 수 없듯, 하느님 앞에 나가는 자는 진실과 순결이라는 그릇을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솔로몬 성전이 야긴과 보아스 라는 두 기둥을 세움으로 완성되었듯이 우리 맘속에도 그런 두 기둥과 장식이 세워져 있어야 할 것입니다.
. 읽은 말씀: 왕상7:15-22
. 내 용: 성전기둥, 야긴과 보아스
1. 두로의 후람을 통해 18자 높이의 놋쇠 기둥인 야긴과 보아스를 성전 현관에다 세움.
2. 두 기둥 꼭대기에 석류와 나리꽃 장식을 함.
. 묵상 말씀: “후람은 이렇게 해서 만든 두 기둥을 선전의 현관에다 세웠다”(왕상7:21).
1. 놋쇠 기둥 둘과 장식
솔로몬은 성전을 건축한 후 성전 현관 앞에 놋쇠기둥 둘을 만들어 세우게 하였습니다. 기둥의 높이가 열여덟 자이니, 서른 자 높이의 성전보다 절반보다 좀 높은 기둥입니다. 그 기둥에 이름을 붙였는데, 그 하나는 야긴(왼쪽, 남쪽 방향)이라하고, 또 하나는 보아스(오른쪽, 북쪽 방향)라고 하였습니다. 성서에 나온 대로 야긴은 “그가 세우다”는 뜻이고, 보아스는 “그에게 힘이 있다”는 뜻입니다. 기둥 꼭대기에는 석류와 나리꽃 장식을 했는데, 그 장식도 의미가 있습니다. 석류는 진실을 의미하고 나리꽃(백합)은 순결과 순수를 의미합니다. 성전을 다 지은 후, 세운 기둥이기에 지붕을 떠받치거나 건물을 지탱하는 용도는 아닙니다. 그렇다면 두로에서 놋쇠 장인을 불러다가 세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2. 성전을 세운 이와 드나드는 이
기둥은 성전을 세운 주체를, 그 장식은 성전을 드나드는 이의 자세를 뜻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건축물에서 기둥이 의미하는 바와 장식이 의미하는 바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둥은 그야말로 중추적인 역할이고 장식은 말 그대로 치장입니다. 따라서 기둥에 담긴 의미는 절대자 하느님에 대한 고백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기둥 꼭대기의 장식은 성전을 드나드는 이의 자세를 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모두가 다 하느님에 대한 고백이라는 공통점은 있습니다. 야긴과 보아스라는 두 기둥에 담긴 의미는 힘이 되신 하느님이 세우셨다는 하느님에 대한 솔로몬의 고백이 아닐까요? 아버지 다윗이 계획하고 솔로몬 자신이 성전 건축을 마무리했지만, 그 것을 정말 세우시고 주고나하신 이는 하느님이라는 그 런 고백 말입니다. 또한 그 성전에 드나드는 사람들은 진실함과 순결함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라고 봅니다. 진실과 순결은 하느님 앞에서 지녀야 할 하느님 백성들의 기본적인 태도입니다. 더러운 그릇에는 음식을 담을 수 없듯, 하느님 앞에 나가는 자는 진실과 순결이라는 그릇을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솔로몬 성전이 야긴과 보아스 라는 두 기둥을 세움으로 완성되었듯이 우리 맘속에도 그런 두 기둥과 장식이 세워져 있어야 할 것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71 | 120420 솔로몬의 축복기도 | 이주현 | 2012.04.20 | 942 |
170 | 120419 이방인을 위한 기도 | 이주현 | 2012.04.19 | 996 |
169 | 120417 솔로몬의 기도 | 이주현 | 2012.04.17 | 933 |
168 | 120416 솔로몬의 연설 | 이주현 | 2012.04.16 | 939 |
167 | 120414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김 | 이주현 | 2012.04.14 | 1020 |
166 | 120413 성전 창고 | 이주현 | 2012.04.13 | 995 |
165 | 120411 놋쇠받침대와 대야 [1] | 이주현 | 2012.04.11 | 1153 |
164 | 120410 놋쇠 물통을 만들다 | 이주현 | 2012.04.10 | 988 |
» | 120409 '야긴과 보아스'라는 두 성전 기둥 | 이주현 | 2012.04.09 | 1269 |
162 | 120407 고난주간- 가상칠언 묵상 7 | 이주현 | 2012.04.07 | 1009 |
161 | 120406 고난주간- 가상칠언 묵상 6 | 이주현 | 2012.04.06 | 980 |
160 | 120405 고난주간- 가상칠언 묵상 5 | 이주현 | 2012.04.05 | 1010 |
159 | 120404 고난주간-가상칠언 묵상 3,4 | 이주현 | 2012.04.04 | 929 |
158 | 120403 고난주간 -가상칠언 묵상1,2 | 이주현 | 2012.04.03 | 939 |
157 | 120331 솔로몬 왕궁의 교훈 | 이주현 | 2012.03.31 | 1067 |
156 | 120330 정금 같은 신앙 | 이주현 | 2012.03.30 | 949 |
155 | 120329 솔로몬에게 주어진 숙제 | 이주현 | 2012.03.29 | 914 |
154 | 120327 솔로몬의 성전건축 준비 | 이주현 | 2012.03.27 | 986 |
153 | 120324 솔로몬의 영화 | 이주현 | 2012.03.24 | 932 |
152 | 120323 참 난감한 본문 | 이주현 | 2012.03.23 | 9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