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225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단
2012.02.25 06:53
||0||0120225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19:18b~30
. 내 용: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결
1.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는 다윗에게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는 시므이.
2. 다윗은 마중 나온 므비보셋에게 그간의 일들에 대하여 해명을 요청했고 므비보셋은 시바의 말이 사실이 아니었음을 밝힘.
3. 시므이를 용서하고 므비보셋에게 시바에게 준 밭의 반을 갖게 한 다윗.
. 묵상 말씀: “너는 어찌하여 그 이야기를 또 꺼내느냐? 나는 이렇게 결정하였다.”(삼하19:29)
1. 예루살렘 귀환 중에 일어난 일
압살롬과 그의 반란군을 물리치고 온 이스라엘의 환영을 받으며 귀환하는 다윗, 당당함과 뿌듯함이 교차했을 것입니다. 압살롬의 반란과 죽음에 대하여 정리되지 않은 마음도 있었을 테지만, 예전과 달리 더욱 확고해진 자신의 위치에 대한 여유로움도 있었을 터입니다. 그 와중에 일어난 일들이 본문의 내용입니다. 먼저 시므이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있습니다. 시므이가 터무니없는 모함으로 다윗을 저주한 것은 다윗의 시대가 끝났을 것이라는 확신에서 비롯된 듯싶습니다. 그러한 시므이를 처음에도 그러했듯, 이번에도 용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다음, 므비보셋입니다. 그의 종으로부터 들은 바에 대하여 해명을 요청했고, 그 과정에서 다윗은 므비보셋의 진정성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의 판결이 참 희한합니다. 시므이에게 준 밭의 반을 갖게 한 것입니다.
2. 다윗의 판결
다윗이 시므이와 므비보셋에게 내린 결정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아들 압살롬에 대한 배신감과 안타까움, 권력 앞에서 비굴해지는 인간의 속성 등을 보면서 다윗의 가치관에 조금은 변화가 온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하느님과 이스라엘 군대를 모욕하는 골리앗과 맞서는 다윗의 용맹스러움과 세상을 보는 날카로움이 많이 누그러진 것 같은 생각도 들고, 한편 완숙해졌다는 느낌도 듭니다. 왕에 대한 시므이의 행위는 누가 봐도 벌 받을 짓이었습니다만, 그의 돌출적인 행위를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으로 보질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윗 자신이 지녀왔던 사울 집안에 대한 부채의식과 도덕적 책임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므비보셋 건은 압살롬의 반역으로 인한 충격이 어느 정도 반영된 판결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피신하는 가운데서 들었던 시바의 증언이나 귀환 도중 들었던 므비보셋의 증언 가운데 무엇이 진실인지는 이미 판단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시바에 줬던 밭을 반을 갖게 한 결정은 최종적인 판단을 유보한 모습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왠지 그 결정 속에서는 아들 압살롬으로부터 배신을 당한 다윗의 깊은 상처가 묻어납니다.
. 읽은 말씀: 사무엘하19:18b~30
. 내 용: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결
1.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는 다윗에게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는 시므이.
2. 다윗은 마중 나온 므비보셋에게 그간의 일들에 대하여 해명을 요청했고 므비보셋은 시바의 말이 사실이 아니었음을 밝힘.
3. 시므이를 용서하고 므비보셋에게 시바에게 준 밭의 반을 갖게 한 다윗.
. 묵상 말씀: “너는 어찌하여 그 이야기를 또 꺼내느냐? 나는 이렇게 결정하였다.”(삼하19:29)
1. 예루살렘 귀환 중에 일어난 일
압살롬과 그의 반란군을 물리치고 온 이스라엘의 환영을 받으며 귀환하는 다윗, 당당함과 뿌듯함이 교차했을 것입니다. 압살롬의 반란과 죽음에 대하여 정리되지 않은 마음도 있었을 테지만, 예전과 달리 더욱 확고해진 자신의 위치에 대한 여유로움도 있었을 터입니다. 그 와중에 일어난 일들이 본문의 내용입니다. 먼저 시므이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있습니다. 시므이가 터무니없는 모함으로 다윗을 저주한 것은 다윗의 시대가 끝났을 것이라는 확신에서 비롯된 듯싶습니다. 그러한 시므이를 처음에도 그러했듯, 이번에도 용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다음, 므비보셋입니다. 그의 종으로부터 들은 바에 대하여 해명을 요청했고, 그 과정에서 다윗은 므비보셋의 진정성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의 판결이 참 희한합니다. 시므이에게 준 밭의 반을 갖게 한 것입니다.
2. 다윗의 판결
다윗이 시므이와 므비보셋에게 내린 결정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아들 압살롬에 대한 배신감과 안타까움, 권력 앞에서 비굴해지는 인간의 속성 등을 보면서 다윗의 가치관에 조금은 변화가 온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하느님과 이스라엘 군대를 모욕하는 골리앗과 맞서는 다윗의 용맹스러움과 세상을 보는 날카로움이 많이 누그러진 것 같은 생각도 들고, 한편 완숙해졌다는 느낌도 듭니다. 왕에 대한 시므이의 행위는 누가 봐도 벌 받을 짓이었습니다만, 그의 돌출적인 행위를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으로 보질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윗 자신이 지녀왔던 사울 집안에 대한 부채의식과 도덕적 책임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므비보셋 건은 압살롬의 반역으로 인한 충격이 어느 정도 반영된 판결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피신하는 가운데서 들었던 시바의 증언이나 귀환 도중 들었던 므비보셋의 증언 가운데 무엇이 진실인지는 이미 판단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시바에 줬던 밭을 반을 갖게 한 결정은 최종적인 판단을 유보한 모습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왠지 그 결정 속에서는 아들 압살롬으로부터 배신을 당한 다윗의 깊은 상처가 묻어납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1 | 120322 솔로몬의 재판 | 이주현 | 2012.03.22 | 959 |
150 | 120321 솔로몬의 꿈 이야기 | 이주현 | 2012.03.21 | 1071 |
149 | 120320 시므이의 죽음 | 이주현 | 2012.03.20 | 1121 |
148 | 120319 아비아달과 요압의 최후 | 이주현 | 2012.03.19 | 1050 |
147 | 120316 파멸을 부른 아도니야의 꼼수 | 이주현 | 2012.03.16 | 991 |
146 | 120315 다윗의 유언 | 이주현 | 2012.03.15 | 939 |
145 | 120314 제단뿔 붙잡은 아도니야 | 이주현 | 2012.03.14 | 1036 |
144 | 120313 아도니야의 실수 | 이주현 | 2012.03.13 | 969 |
143 | 120312 은 50세겔의 의미 [1] | 이주현 | 2012.03.12 | 1343 |
142 | 120309 인구조사 | 이주현 | 2012.03.09 | 983 |
141 | 120308 사랑과 진실 | 이주현 | 2012.03.08 | 1009 |
140 | 120307 시인의 마음 | 이주현 | 2012.03.07 | 985 |
139 | 120306 다윗이 만난 하느님 | 이주현 | 2012.03.06 | 979 |
138 | 120305 다윗에게 주어진 상 | 이주현 | 2012.03.05 | 973 |
137 | 120302 이스라엘의 등불, 다윗 | 이주현 | 2012.03.02 | 1028 |
136 | 120301 기브온 사람과 이스라엘의 화해 | 이주현 | 2012.03.01 | 998 |
135 | 120229 아마사와 세바의 죽음 | 이주현 | 2012.02.29 | 1098 |
134 | 120228 지역감정 | 이주현 | 2012.02.28 | 998 |
133 | 120227 다윗과 바르실래 | 이주현 | 2012.02.27 | 1236 |
» | 120225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단 | 이주현 | 2012.02.25 | 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