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505 두 사람의 탐욕
2012.05.05 06:08
||0||0120505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12:21-31
. 내 용: 두 사람의 탐욕
1. 르호보암에게서 등을 돌린 북 이스라엘을 치기 위해 유다와 베냐민 지파에서 정병 18만명을 동원했으나 스마야 예언자를 통해 돌아가게 함.
2. 북 이스라엘을 장악한 여로보암은 베델과 단에 금송아지를 섬기는 산당을 만들어 예루살렘으로 제사를 드리러 가는 것을 막고 레위 지파가 아닌 일반백성 가운데서 제사장을 세움.
. 묵상 말씀: “나 주가 말한다. 일이 이렇게 된 것은, 내가 시킨 것이다...이스라엘과 싸우지 말고, 저마다 자기 집으로 돌아가거라”(왕상12:24).
1. 탐욕은 죄를 낳고
남 유다의 르호보암과 북 이스라엘의 여로보암의 출발은 썩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분열의 의미를 되새기며 하느님의 뜻을 헤아리는 것을 기대하기에는 너무 모자라는 사람들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르호보암은 자신에게서 등을 돌린 북 이스라엘을 치기 위해 18만 명의 정병을 선발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스마야 예언자를 통해 집으로 돌아가게 하였습니다. 남북 분열은 하느님이 시킨 일이기에 그 일은 사실상 하느님의 뜻에 정면 도전이었습니다. 어쨌든 르호보암은 그 일로 인해 백성들로부터 신뢰를 잃었을 뿐 아니라 권위도 실추되었습니다. 여로보암은 경우는 다르지만 르호보암과 같은 탐욕을 부렸습니다. 북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루살렘에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베델과 단에 금송아지 산당을 만들고 제사장을 일반백성에게서 뽑는 일을 했습니다. 백성들의 마음이 남 유다 르호보암에게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그와 같은 꼼수를 부린 것입니다. 여로보암의 꼼수는 결국 죄를 짓게 하였습니다.
2. 하느님 대신 자신의 뜻을 앞세우는 사람들
오늘 본문에서 두 사람은 하느님의 뜻 보다는 자신들의 탐욕을 앞세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탐욕은 하느님 뜻보다는 자신의 뜻을 앞세우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탐욕의 끝은 파멸이라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그렇게 가는 것을 보면 인간 내면에 자리한 탐욕의 뿌리가 참으로 깊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탐욕을 교묘히 이용하여 사람들은 우상을 만들었습니다. 그 우상을 통해 자신의 탐욕을 투영하며 자신의 약점과 부족을 피해보려는 술수까지 부립니다. 하느님은 그런 모습에 대하여 강력하게 경고하셨고 실제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런 일로 수 없이 심판을 당했습니다. 계명을 주시고 약속의 말씀을 주신 이유는 무엇일가요? 어떤 경우에서든 하느님의 뜻을 앞세우고 나가라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탐욕은 본능적입니다. 그것을 절재하고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하느님의 뜻을 앞에 세우는 일 밖에는 없습니다.
. 읽은 말씀: 열왕기상12:21-31
. 내 용: 두 사람의 탐욕
1. 르호보암에게서 등을 돌린 북 이스라엘을 치기 위해 유다와 베냐민 지파에서 정병 18만명을 동원했으나 스마야 예언자를 통해 돌아가게 함.
2. 북 이스라엘을 장악한 여로보암은 베델과 단에 금송아지를 섬기는 산당을 만들어 예루살렘으로 제사를 드리러 가는 것을 막고 레위 지파가 아닌 일반백성 가운데서 제사장을 세움.
. 묵상 말씀: “나 주가 말한다. 일이 이렇게 된 것은, 내가 시킨 것이다...이스라엘과 싸우지 말고, 저마다 자기 집으로 돌아가거라”(왕상12:24).
1. 탐욕은 죄를 낳고
남 유다의 르호보암과 북 이스라엘의 여로보암의 출발은 썩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분열의 의미를 되새기며 하느님의 뜻을 헤아리는 것을 기대하기에는 너무 모자라는 사람들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르호보암은 자신에게서 등을 돌린 북 이스라엘을 치기 위해 18만 명의 정병을 선발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스마야 예언자를 통해 집으로 돌아가게 하였습니다. 남북 분열은 하느님이 시킨 일이기에 그 일은 사실상 하느님의 뜻에 정면 도전이었습니다. 어쨌든 르호보암은 그 일로 인해 백성들로부터 신뢰를 잃었을 뿐 아니라 권위도 실추되었습니다. 여로보암은 경우는 다르지만 르호보암과 같은 탐욕을 부렸습니다. 북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루살렘에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베델과 단에 금송아지 산당을 만들고 제사장을 일반백성에게서 뽑는 일을 했습니다. 백성들의 마음이 남 유다 르호보암에게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그와 같은 꼼수를 부린 것입니다. 여로보암의 꼼수는 결국 죄를 짓게 하였습니다.
2. 하느님 대신 자신의 뜻을 앞세우는 사람들
오늘 본문에서 두 사람은 하느님의 뜻 보다는 자신들의 탐욕을 앞세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탐욕은 하느님 뜻보다는 자신의 뜻을 앞세우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탐욕의 끝은 파멸이라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그렇게 가는 것을 보면 인간 내면에 자리한 탐욕의 뿌리가 참으로 깊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탐욕을 교묘히 이용하여 사람들은 우상을 만들었습니다. 그 우상을 통해 자신의 탐욕을 투영하며 자신의 약점과 부족을 피해보려는 술수까지 부립니다. 하느님은 그런 모습에 대하여 강력하게 경고하셨고 실제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런 일로 수 없이 심판을 당했습니다. 계명을 주시고 약속의 말씀을 주신 이유는 무엇일가요? 어떤 경우에서든 하느님의 뜻을 앞세우고 나가라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탐욕은 본능적입니다. 그것을 절재하고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하느님의 뜻을 앞에 세우는 일 밖에는 없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91 | 120518 엘리야와 아합의 만남 | 이주현 | 2012.05.18 | 947 |
190 | 120517 악한 시대, 산소 같은 이야기 | 이주현 | 2012.05.17 | 853 |
189 | 120516 악한 왕 오므리, 더 악한 왕 아합 | 이주현 | 2012.05.16 | 931 |
188 | 120515 북이스라엘 왕, 엘라와 시므리(왕상16:8-20) | 이주현 | 2012.05.15 | 1108 |
187 | 120514 북 이스라엘 왕, 나답과 바아사 | 이주현 | 2012.05.14 | 899 |
186 | 120512 유다 왕, 아비야와 아사 | 이주현 | 2012.05.12 | 898 |
185 | 120511 르호보암과 남유다의 타락 | 이주현 | 2012.05.11 | 878 |
184 | 120510 하느님의 분노 격발 | 이주현 | 2012.05.10 | 876 |
183 | 120509 베델의 늙은 예언자 | 이주현 | 2012.05.09 | 926 |
182 | 120508 여로보암이 벌을 받다 | 이주현 | 2012.05.08 | 996 |
» | 120505 두 사람의 탐욕 | 이주현 | 2012.05.05 | 949 |
180 | 120504 준비가 안 된 왕, 르호보암 | 이주현 | 2012.05.04 | 917 |
179 | 120503 여로보암의 출현과 솔로몬의 죽음 | 이주현 | 2012.05.03 | 983 |
178 | 120502 솔로몬의 두 대적 | 이주현 | 2012.05.02 | 991 |
177 | 120501 하느님을 배신한 솔로몬 | 이주현 | 2012.05.01 | 891 |
176 | 120430 솔로몬의 부요 | 이주현 | 2012.04.30 | 935 |
175 | 120427 참 지혜, 참 믿음 | 이주현 | 2012.04.27 | 917 |
174 | 120426 일의 우선 순위 | 이주현 | 2012.04.26 | 974 |
173 | 120423 신앙의 출발점 | 이주현 | 2012.04.23 | 953 |
172 | 120421 14일 간의 성전 봉헌 예식 | 이주현 | 2012.04.21 | 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