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00713 공평과 상생의 원리

2020.07.13 08:47

이주현 조회 수:9

200713 새벽 묵상

.읽은 말씀: 디모데전서 517~62

.내용: 공평과 상생의 원리

 

1. 편견 없이, 공평하게

2. 상생

 

.묵상 말씀: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내가 엄숙히 명령합니다. 그대는 편견 없이 이것들을 지키고, 어떤 일이든지 공평하게 처리하십시오(21).

신도인 주인을 섬기는 종들은, 그 주인이 신도라고 해서 가볍게 여겨서는 안됩니다. 오히려, 주인을 더 잘 섬겨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섬김에서 이익을 얻는 이들이 동료 신도요, 사랑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2).

 

편견 없이, 공평하게

공동체를 이루어 사는 우리는, 판단해야 할 일도, 처리해야 할 일도 많습니다. 모든 순간을 살며 판단과 결정, 행동의 연속선 상에 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바울은 장로를 대하는 태도, 죄인들을 대하는 태도가 어떠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언급합니다. 말씀을 전파하는 일과 가르치는 일에 수고하는 장로들을 존경해야 한다고, 장로에 대한 고발은 신중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판단하는 주체는, 모든 상황을 객관적으로 고려하기가 어렵습니다. 자신에게 보여지는 상황과 자신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상황을 우선 선택하여 판단하고 싶은 것이 사람이 가진 본능일 것입니다. 하지만 바울은 하느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엄숙히 명령합니다. 모든 판단에는 편견이 없어야 하고, 모든 일은 공평하게 처리되어야 한다고 말입니다.

하느님의 시선이 필요한 일입니다. 하느님의 시선은, 나의 시선과 정반대에 놓여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나의 이익과 나의 유리함을 위해서 보장되는 여러 가지 규칙들을 보면 그런 규칙이 있는 것이 당연한 것만 같고, 입에 달게 느껴집니다. 나의 이익과 유리함을 내려놓고, 내가 높아지기 위한 어떠한 시도와 노력도 다 내려놓고, 내 앞에 놓여진 상황을 바라보는 하느님의 시선을 구해야 합니다. 그것이 편견 없이, 공평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일을 처리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2. 상생

종은 주인이 신도라고 해서 주인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고 바울은 말합니다. 주인 또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여러 관계를 바탕으로 우리는, 공동체로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같이 살아야 합니다. 함께 살아야 하는 것은 물론, 서로에 의해서 서로가 세워져야 하며, 서로에 의해서 사랑 안에 들어가야 합니다. 그것이 같이 사는 것이고, 하느님께서 우리를 공동체로 부르신 목적입니다. 상대의 필요를 채워주는 것도 섬김이지만,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도 섬김이고, 상대방을 향한 하느님의 마음을 나의 마음으로 삼고 그를 대하는 것도 섬김입니다. 서로를 살리는 공동체를 이루어갈 때, 세상 사람들이 우리 공동체의 가르침과 행동을 비난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안에 계신 하느님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231002 에브라임의 칭찬과 숙곳의 보복(삿8:1-17) file 이주현 2023.10.02 8
103 231003 기드온의 불편한 행적들(삿8:18-35) file 이주현 2023.10.03 10
102 231004 스스로 왕이 된 아비멜렉(삿9:1-21) file 이주현 2023.10.04 18
101 231009 아비멜렉의 최후(삿9:22-57) file 이주현 2023.10.09 11
100 231010 사사 입다의 등장 배경(삿10:1-18) file 이주현 2023.10.10 12
99 231011 창녀의 아들 입다(삿11:1-28) file 이주현 2023.10.11 17
98 231016 입다의 비극(삿11:29-40) file 이주현 2023.10.16 11
97 231017 입다와 에브라임 지파의 갈등(삿12:1-15) file 이주현 2023.10.17 13
96 231019 삼손의 출생 이야기(삿13:1-25) file 이주현 2023.10.19 13
95 231023 삼손의 파혼(삿14:1-20_ file 이주현 2023.10.23 10
94 231025 라맛레히와 엔학고레 사연(삿15:1-20) file 이주현 2023.10.25 10
93 231030 삼손과 들릴라(삿16:1-22) file 이주현 2023.10.30 10
92 231031 삼손의 기도와 최후(삿16:23-31) file 이주현 2023.10.31 17
91 231101 사사시대 이스라엘의 타락상(삿17:1-13) file 이주현 2023.11.01 14
90 231106 거할 땅을 찾는 단 지파(삿18:1-10) file 이주현 2023.11.06 9
89 231107 영혼 없는 제사장과 라이스의 멸망(삿18:11-31) 이주현 2023.11.07 8
88 231108 왕이 없던 시대의 타락상(삿19:1-30) file 이주현 2023.11.08 11
87 231113 최악의 선택을 한 베냐민 지파(삿20:1-17) file 이주현 2023.11.13 8
86 231114 이스라엘의 패배와 승리(삿20:18-48) file 이주현 2023.11.14 9
85 231115 베냐민 지파 구하기(삿21:1-14) file 이주현 2023.11.1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