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528 주님의 뜻을 '분별하지 않은' 죄

2012.05.28 06:41

이주현 조회 수:807

||0||0120528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20:35-43
. 내     용: 아합을 야단친 한 예언자
1. 아합이 시리아 왕 벤하닷을 놓아준 것을 두고 한 예언자가 하느님의 심판 예언함.
2. 동료에게 자신을 때리라고 하고, 눈에 붕대를 감는 등 기이한 행동을 한 예언자는 아합을 만나 벤하닷을 놓아준 것을 두고, 그와 그의 나라가 당할 심판을 아합과 이스라엘이 당할 것을 전함.

. 묵상 말씀: "네가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지 않았으니, 네가 나를 떠날 때에 사자가 너를 죽일 것이다"(왕상20:36).
1. 한 예언자의 기이한 행동
예언자들은 철저하게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 말씀을 전하는 방법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기이한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죄와 유다의 죄악을 고발하기 위해 좌우로 누워서 430일 동안 누어서 지냈던 에스겔 선지자나(겔4:4-6), 멍에를 메고 거짓 예언자를 고발한 예레미야(렘27:2)가 대표적인 모습들입니다. 그러한 행동들로 인해 많은 고난이 따라오기도 했습니다. 오늘 본문의 한 예언자의 행위도 기이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주님의 명령임을 전제로 '자신을 때리라'고 하고, 때리지 않은 동료가 죽게 될 것을 예언하고, 눈에 붕대를 감고 아합 왕을 기다리고, 하는 행위들이 참으로 기이하게 보입니다.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려면 아합이 봤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행동들은 아합이 보는 앞에서 행해진 행동들이 아니었습니다. 결코 하고 싶어서 한 행동도 아닐 테고 보여주려고 한 행동도 아닌데 묵묵히 순종하는 모습을 보면서, 하느님 앞에서 살았던 한 예언자의 진정성을 봅니다.
2. 아합이 지은 죄
아합은 역대 이스라엘 왕 가운데 가장 악한 왕 중에 한 사람으로 평가됩니다. 오늘 본문의 직접적인 배경이 된 사건을 보면 하느님 뜻을 분별하지 못한 죄로 나타납니다. 시리아 왕 벤하닷을 죽이는 게 분명 하느님의 뜻이었습니다만, 그를 '형제'로 맞이하며 그 뜻을 거스른 것입니다. 자비를 베푸는 승자의 여유는 좋지만, 이스라엘의 승리는 분명 시리아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이었다는 사실을 아합이 무시를 한 것입니다. 하느님의 뜻을 분별하는 게 그 사람의 지적 역량이나 탁월한 능력에 좌우되는 것이라면, 그게 죄가 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공평과 평등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느님께서는 그 사람의 종합적인 역량 안에서 공평하게 그 뜻을 분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아합이 저지른 죄는 하느님의 뜻을 분별하지 '못한 죄'가 아니라 '않은 죄'가 맞습니다. 그 뜻을 분별할 수 있는 기회를 수차례 줬지만 아합이 거부를 한 셈입니다. 그러고 보면 주님의 뜻을 분별하고 그 뜻을 따르는 것 자체가 주님의 은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저 감사할 따름이라는 고백이 그래서 나오는 것이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3 230327 이유 있는 광야 생활(신8:1-10) file 이주현 2023.03.27 19
1842 230322 하느님의 선택과 그 이유(신7:1-11) file 이주현 2023.03.22 19
1841 230321 주님을 기억하고 시험치 말라(신6:10-25) file 이주현 2023.03.21 16
1840 230320 쉐마- 하느님 사랑과 명령(신6:1-9) file 이주현 2023.03.20 12
1839 230313 하느님을 마주한 백성들의 심정(신5:23-33) file 이주현 2023.03.19 12
1838 230307 십계명 원리와 교훈(신5:1-22) file 이주현 2023.03.07 16
1837 230306 하느님의 존재와 소통 방식(신4:15-49) file 이주현 2023.03.06 12
1836 230306 하느님의 존재와 소통 방식(신4:15-49) 이주현 2023.03.06 12
1835 230301 슬기롭고 위대한 민족(신4:1-14) file 이주현 2023.03.01 11
1834 230228 비스가 산에서 드린 모세의 기도(신3:23-29) file 이주현 2023.02.28 12
1833 230227 추가된 요단 동편 땅과 경계(신3:1-22) file 이주현 2023.02.27 17
1832 230225 가나의 혼인잔치(요2:1-12) file 오목사 2023.02.26 4
1831 230224 예수님의 제자들(요1:35-51) file 오목사 2023.02.26 5
1830 230223 세례 요한과 예수님(요1:19-34) file 오목사 2023.02.26 3
1829 230222 시혼과의 전쟁(신2:26-37) file 이주현 2023.02.22 36
1828 230221 다시 가나안을 향해(신2:1-25) file 이주현 2023.02.21 23
1827 230220 가데스바네아의 비극(신1:34-45) file 이주현 2023.02.20 15
1826 230218 말씀으로 오신 예수님(요1:1-18) file 오목사 2023.02.19 3
1825 230217 예수님의 마지막 부탁(눅24:36-53) file 오목사 2023.02.19 7
1824 230216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눅24:13-35) file 오목사 2023.02.1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