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528 주님의 뜻을 '분별하지 않은' 죄

2012.05.28 06:41

이주현 조회 수:807

||0||0120528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20:35-43
. 내     용: 아합을 야단친 한 예언자
1. 아합이 시리아 왕 벤하닷을 놓아준 것을 두고 한 예언자가 하느님의 심판 예언함.
2. 동료에게 자신을 때리라고 하고, 눈에 붕대를 감는 등 기이한 행동을 한 예언자는 아합을 만나 벤하닷을 놓아준 것을 두고, 그와 그의 나라가 당할 심판을 아합과 이스라엘이 당할 것을 전함.

. 묵상 말씀: "네가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지 않았으니, 네가 나를 떠날 때에 사자가 너를 죽일 것이다"(왕상20:36).
1. 한 예언자의 기이한 행동
예언자들은 철저하게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 말씀을 전하는 방법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기이한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죄와 유다의 죄악을 고발하기 위해 좌우로 누워서 430일 동안 누어서 지냈던 에스겔 선지자나(겔4:4-6), 멍에를 메고 거짓 예언자를 고발한 예레미야(렘27:2)가 대표적인 모습들입니다. 그러한 행동들로 인해 많은 고난이 따라오기도 했습니다. 오늘 본문의 한 예언자의 행위도 기이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주님의 명령임을 전제로 '자신을 때리라'고 하고, 때리지 않은 동료가 죽게 될 것을 예언하고, 눈에 붕대를 감고 아합 왕을 기다리고, 하는 행위들이 참으로 기이하게 보입니다.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려면 아합이 봤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행동들은 아합이 보는 앞에서 행해진 행동들이 아니었습니다. 결코 하고 싶어서 한 행동도 아닐 테고 보여주려고 한 행동도 아닌데 묵묵히 순종하는 모습을 보면서, 하느님 앞에서 살았던 한 예언자의 진정성을 봅니다.
2. 아합이 지은 죄
아합은 역대 이스라엘 왕 가운데 가장 악한 왕 중에 한 사람으로 평가됩니다. 오늘 본문의 직접적인 배경이 된 사건을 보면 하느님 뜻을 분별하지 못한 죄로 나타납니다. 시리아 왕 벤하닷을 죽이는 게 분명 하느님의 뜻이었습니다만, 그를 '형제'로 맞이하며 그 뜻을 거스른 것입니다. 자비를 베푸는 승자의 여유는 좋지만, 이스라엘의 승리는 분명 시리아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이었다는 사실을 아합이 무시를 한 것입니다. 하느님의 뜻을 분별하는 게 그 사람의 지적 역량이나 탁월한 능력에 좌우되는 것이라면, 그게 죄가 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공평과 평등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느님께서는 그 사람의 종합적인 역량 안에서 공평하게 그 뜻을 분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아합이 저지른 죄는 하느님의 뜻을 분별하지 '못한 죄'가 아니라 '않은 죄'가 맞습니다. 그 뜻을 분별할 수 있는 기회를 수차례 줬지만 아합이 거부를 한 셈입니다. 그러고 보면 주님의 뜻을 분별하고 그 뜻을 따르는 것 자체가 주님의 은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저 감사할 따름이라는 고백이 그래서 나오는 것이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89 200810 교회 지도자 상 이주현 2020.08.12 14
1788 200825 예언자보다 크신 예수(히브리서) 이주현 2020.08.28 14
1787 201116 징계하시는 하느님 file 이주현 2020.11.16 14
1786 210225 죽이려는 사람, 살리시는 하느님 file 오목사 2021.02.25 14
1785 210309 사랑의 사실(요일4:7-16) file 이주현 2021.03.09 14
1784 210316 영원한 생명을 지닌 사람들(요일5:13~21) file 이주현 2021.03.16 14
1783 210608 형식을 버리고 믿음으로 살자(마9:14-26) file 오목사 2021.06.08 14
1782 210628 안식일 논쟁(마12:1-8) file 오목사 2021.06.29 14
1781 211015 야곱의 아이들과 가정사(창29:31~30:24) file 이주현 2021.10.15 14
1780 211105 베델로 올라간 야곱(창35:1-29) file 이주현 2021.11.05 14
1779 220325 오직 한 분, 우리 하느님(출20:3-6) file 이주현 2022.03.25 14
1778 220401 부모공경 계명(출20:12) file 이주현 2022.04.01 14
1777 220531 화목제에 대한 규례(출29:19-34) file 이주현 2022.05.31 14
1776 220602 부활하신 예수님(막16:1-8) file 오목사 2022.06.05 14
1775 220813 열매 맺는 삶(눅6:43-49) file 오목사 2022.08.13 14
1774 230110 발람과 그의 나귀(민23:21-40) file 이주현 2023.01.10 14
1773 230206 가나안 땅 앞에서 주신 말씀(민33:1-56) file 이주현 2023.02.06 14
1772 230329 구원의 이유(신9:1-29) file 이주현 2023.03.29 14
1771 230417 하느님을 섬기는 법(신11:31-12:28) file 이주현 2023.04.17 14
1770 230419 하느님의 백성이니(신14:1-29) file 이주현 2023.04.1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