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225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단

2012.02.25 06:53

이주현 조회 수:995

||0||0120225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19:18b~30
. 내     용: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결
1.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는 다윗에게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는 시므이.
2. 다윗은 마중 나온 므비보셋에게 그간의 일들에 대하여 해명을 요청했고 므비보셋은 시바의 말이 사실이 아니었음을 밝힘.
3. 시므이를 용서하고 므비보셋에게 시바에게 준 밭의 반을 갖게 한 다윗.

. 묵상 말씀: “너는 어찌하여 그 이야기를 또 꺼내느냐? 나는 이렇게 결정하였다.”(삼하19:29)
1. 예루살렘 귀환 중에 일어난 일
압살롬과 그의 반란군을 물리치고 온 이스라엘의 환영을 받으며 귀환하는 다윗, 당당함과 뿌듯함이 교차했을 것입니다. 압살롬의 반란과 죽음에 대하여 정리되지 않은 마음도 있었을 테지만, 예전과 달리 더욱 확고해진 자신의 위치에 대한 여유로움도 있었을 터입니다. 그 와중에 일어난 일들이 본문의 내용입니다. 먼저 시므이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있습니다. 시므이가 터무니없는 모함으로 다윗을 저주한 것은 다윗의 시대가 끝났을 것이라는 확신에서 비롯된 듯싶습니다. 그러한 시므이를 처음에도 그러했듯, 이번에도 용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다음, 므비보셋입니다. 그의 종으로부터 들은 바에 대하여 해명을 요청했고, 그 과정에서 다윗은 므비보셋의 진정성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의 판결이 참 희한합니다. 시므이에게 준 밭의 반을 갖게 한 것입니다.
2. 다윗의 판결
다윗이 시므이와 므비보셋에게 내린 결정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아들 압살롬에 대한 배신감과 안타까움, 권력 앞에서 비굴해지는 인간의 속성 등을 보면서 다윗의 가치관에 조금은 변화가 온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하느님과 이스라엘 군대를 모욕하는 골리앗과 맞서는 다윗의 용맹스러움과 세상을 보는 날카로움이 많이 누그러진 것 같은 생각도 들고, 한편 완숙해졌다는 느낌도 듭니다. 왕에 대한 시므이의 행위는 누가 봐도 벌 받을 짓이었습니다만, 그의 돌출적인 행위를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으로 보질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윗  자신이 지녀왔던 사울 집안에 대한 부채의식과 도덕적 책임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므비보셋 건은 압살롬의 반역으로 인한 충격이 어느 정도 반영된 판결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피신하는 가운데서 들었던 시바의 증언이나 귀환 도중 들었던 므비보셋의 증언 가운데 무엇이 진실인지는 이미 판단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시바에 줬던 밭을 반을 갖게 한 결정은 최종적인 판단을 유보한 모습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왠지 그 결정 속에서는  아들 압살롬으로부터 배신을 당한 다윗의 깊은 상처가 묻어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240129 버림받게 된 사울 왕(삼상13:1-14) file 이주현 2024.01.29 11
170 240116 사울이 왕으로 지목될 때 일어난 일(삼상10:17-27) file 이주현 2024.01.16 11
169 240109 하느님의 통치를 거부한 이스라엘(삼상8:1-22) file 이주현 2024.01.09 11
168 231204 엘가나의 두 아내(삼상1:1-8) file 이주현 2023.12.04 11
167 231121 나오미의 판단과 룻의 선택(룻1:1-15) file 이주현 2023.11.21 11
166 231115 베냐민 지파 구하기(삿21:1-14) file 이주현 2023.11.15 11
165 231108 왕이 없던 시대의 타락상(삿19:1-30) file 이주현 2023.11.08 11
164 231016 입다의 비극(삿11:29-40) file 이주현 2023.10.16 11
163 231009 아비멜렉의 최후(삿9:22-57) file 이주현 2023.10.09 11
162 230920 사사 드보라와 바락의 찬양(삿5:1-31) file 이주현 2023.09.20 11
161 230904 여호수아의 고별사(수23:1-16) file 이주현 2023.09.04 11
160 230825 지파 간의 오해와 화해(수22:10-34) file 이주현 2023.08.25 11
159 230301 슬기롭고 위대한 민족(신4:1-14) file 이주현 2023.03.01 11
158 230109 발락의 사주를 받은 발람(민22:1-20) file 이주현 2023.01.09 11
157 230102 가데스에서 생긴 일(민20:1-13) file 이주현 2023.01.02 11
156 221226 봉사하라고 주신 선물(민18:1-7) file 이주현 2022.12.26 11
155 220912 여자가 부정하게 되는 경우(레15:19-33) file 이주현 2022.09.12 11
154 220720 곡식 제물 규례(레2:1-16) file 이주현 2022.07.20 11
153 220719 번제 규례(레1:1-17) file 이주현 2022.07.19 11
152 211207 끝까지 충성한 사람(마27:57-66) file 오목사 2021.12.0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