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10922 새벽묵상- 사람을 사람답게 움직이게 하는 것

2011.09.17 21:20

웹관리자 조회 수:1341

||0||0110922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룻기1:1-22
. 내     용: 모압 여인 룻이 베들레헴이 오게 된 경위
1. 아브라함의 조카 롯의 후예로 알려진 모압은 사해동편에 자리 잡은 지역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괴롭히던 족속이었습니다.
2. 그 지역으로 베들레헴에 살던 나오미 가족이 남편과 두 아들을 데리고 이주를 함.
3. 모압에서 남편과 아들을 잃고 두 며느리만 남게 되자 나오미는 두 며느리에게 떠나서 재혼하여 살 것을 진심으로 요청함.    
4. 두 며느리 중 오르바는 떠나고 룻은 어머니를 따라 베들레헴까지 오게 됨.

. 묵상 말씀: : “어머님이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님이 머무르시는 곳에 나도 머무르겠습니다.”(룻1:16)
1. 나오미의 기구한 인생 역정과 며느리 룻
기근을 피해 모압 땅까지 오게 된 나오미의 가족은 남편 엘리멜렉과  두 아들 말론과 기룐은 다 죽고, 나오미와 현지에서 얻은 두 며느리만 남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오미는 다시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그럴 때 두 며느리가 동행을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두 며느리를 불러 놓고 제발 나를 떠나 새 남편을 만나 사는 게 더 자연스러운 일일 터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두 며느리에게 취한 나오미의 행동은 적절했습니다. 그러나 룻은 끝까지 남아 시어머니 나오미와 동행을 하여 낯선 베들레헴까지 동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룻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성서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만, 제발 나를 떠나라는 시어머니의 부탁에 감동을 받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룻이 취한 행동은 강요한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2. 감동,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힘이 그 곳에 있습니다.
사람을 사람답게 움직이게 하는 근원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인간의 탐욕을 충족시키는 돈이나 권력이나 명예는 아닙니다. 탐욕이라는 영역과 자발적인 희생이나 양보, 깊은 신뢰와 사랑은 그 근원이 다른 영역입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이념이나 철학도 가능할 수 있지만, 그것을 위해 자신의 삶을 던지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인간 심연 깊은 곳으로부터 울컥하고 울려나오는 감동이라는 것, 바로 그게 아닐까요? 뭐라 한 마디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온 몸을 던질 수도 있고, 생명과도 바꿀 수 있는 그 무엇이 있다면 내 삶을 전율시키는 바로 감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실이라는 것으로 뭉쳐있는 삶 속에서 뿜어 나오는 깊은 사랑과 신뢰감, 나오미는 그걸 룻에게 줬고 룻은 그게 감동으로 와 닿았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예수님의 제자가 스승으로부터 느꼈던 그런 감동은 어떤 논리나 교리나 이념이 아니었습니다. 그 분의 삶에서 풍기는 감동, 그 자체가 아니었을까요? 그걸 먹고 사는 사람이 바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 220822 거룩한 백성이 되는 비결(레11:1-47) file 이주현 2022.08.25 5
43 220818 아론의 염치(레10:12-20) file 이주현 2022.08.25 5
42 220816 제사장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레10:1-11) file 이주현 2022.08.25 5
41 220815 아론의 첫 제사와 하느님 반응(레9:1-24) file 이주현 2022.08.25 5
40 220811 주님이 명하신 대로(레8:1-21) file 이주현 2022.08.11 5
39 220617 세례 요한의 탄생(눅1:57-66) file 오목사 2022.06.19 5
38 220404 무슨 권한으로...(막11:27~33) file 오목사 2022.04.07 5
37 231218 두 아들의 악행과 엘리의 반응(삼상2:22-26) file 이주현 2023.12.18 4
36 230407고난주간특별새벽기도회(5) - 사랑의 왕(막15:1-15) file 오목사 2023.04.07 4
35 230225 가나의 혼인잔치(요2:1-12) file 오목사 2023.02.26 4
34 230204 예수님의 재판(눅23:1-25) file 오목사 2023.02.06 4
33 221216 바리새파 사람과 세리의 비유(눅18:9-14) file 오목사 2022.12.18 4
32 221215 과부와 재판관의 비유(눅18:1-8) file 오목사 2022.12.18 4
31 221028 마지막 때를 준비하라(눅12:35-48) file 오목사 2022.10.30 4
30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file 오목사 2022.10.16 4
29 220923 누가 큰가?(눅9:46-50) file 오목사 2022.09.25 4
28 220624 낮은 곳에 임한 기쁨의 소식(눅2:8-21) file 오목사 2022.06.26 4
27 230223 세례 요한과 예수님(요1:19-34) file 오목사 2023.02.26 3
26 230218 말씀으로 오신 예수님(요1:1-18) file 오목사 2023.02.19 3
25 230216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눅24:13-35) file 오목사 2023.02.1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