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1209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20:35-43

. 내 용: 아합을 야단친 한 예언자

1. 아합이 시리아 왕 벤하닷을 놓아준 것을 두고 한 예언자가 하느님의 심판 예언함.

2. 동료에게 자신을 때리라고 하고, 눈에 붕대를 감는 등 기이한 행동을 한 예언자는 아합을 만나 벤하닷을 놓아준 것을 두고, 그와 그의 나라가 당할 심판을 아합과 이스라엘이 당할 것을 전함.

 

. 묵상 말씀: "네가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지 않았으니, 네가 나를 떠날 때에 사자가 너를 죽일 것이다"(왕상20:36).

1. 한 예언자의 기이한 행동

예언자들은 철저하게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 말씀을 전하는 방법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기이한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죄와 유다의 죄악을 고발하기 위해 좌우로 누워서 430일 동안 누어서 지냈던 에스겔 선지자나(4:4-6), 멍에를 메고 거짓 예언자를 고발한 예레미야(27:2)가 대표적인 모습들입니다. 그러한 행동들로 인해 많은 고난이 따라오기도 했습니다. 오늘 본문의 한 예언자의 행위도 기이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주님의 명령임을 전제로 '자신을 때리라'고 하고, 때리지 않은 동료가 죽게 될 것을 예언하고, 눈에 붕대를 감고 아합 왕을 기다리고, 하는 행위들이 참으로 기이하게 보입니다.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려면 아합이 봤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행동들은 아합이 보는 앞에서 행해진 행동들이 아니었습니다. 결코 하고 싶어서 한 행동도 아닐 테고 보여주려고 한 행동도 아닌데 묵묵히 순종하는 모습을 보면서, 하느님 앞에서 살았던 한 예언자의 진정성을 봅니다.

 

2. 아합이 지은 죄

 

아합은 역대 이스라엘 왕 가운데 가장 악한 왕 중에 한 사람으로 평가됩니다. 오늘 본문의 직접적인 배경이 된 사건을 보면 하느님 뜻을 분별하지 못한 죄로 나타납니다. 시리아 왕 벤하닷을 죽이는 게 분명 하느님의 뜻이었습니다만, 그를 '형제'로 맞이하며 그 뜻을 거스른 것입니다. 자비를 베푸는 승자의 여유는 좋지만, 이스라엘의 승리는 분명 시리아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이었다는 사실을 아합이 무시를 한 것입니다. 하느님의 뜻을 분별하는 게 그 사람의 지적 역량이나 탁월한 능력에 좌우되는 것이라면, 그게 죄가 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공평과 평등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느님께서는 그 사람의 종합적인 역량 안에서 공평하게 그 뜻을 분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아합이 저지른 죄는 하느님의 뜻을 분별하지 '못한 죄'가 아니라 '않은 죄'가 맞습니다. 그 뜻을 분별할 수 있는 기회를 수차례 줬지만 아합이 거부를 한 셈입니다. 그러고 보면 주님의 뜻을 분별하고 그 뜻을 따르는 것 자체가 주님의 은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저 감사할 따름이라는 고백이 그래서 나오는 것이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19 241225 성탄절 새벽 예배(마2:1-12) file 이주현 2024.12.25 32
2118 241224 아하시야의 죽음(왕하1:1-18) file 이주현 2024.12.24 31
2117 241223 여호사밧과 아하시야의 행적(왕상22:41-53) file 이주현 2024.12.23 27
2116 241218 아합왕의 죽음(왕상22:29-40) file 이주현 2024.12.18 58
2115 241217 미가야의 이중 예언(왕상22:13-28) file 이주현 2024.12.17 28
2114 241216 주님의 뜻을 따른다는 것(왕상22:1-12) file 이주현 2024.12.16 25
2113 241211 갑자기 겸손해진 아합 왕(왕상21:16-29) file 이주현 2024.12.11 36
2112 241210 나봇의 포도원 이야기(왕상21:1-16) file 이주현 2024.12.10 183
» 241209 아합을 야단친 한 예언자(왕상20장35-43) file 이주현 2024.12.09 185
2110 241204 시리아의 두 번째 공격(왕상20:23-34) file 이주현 2024.12.04 175
2109 241203 시리아와 북이스라엘과의 1차 전쟁(왕상20:1-22) file 이주현 2024.12.03 175
2108 241202 부름에 대한 엘리사의 반응(왕상19:19-21) file 이주현 2024.12.02 193
2107 241127 엘리야의 낙심과 위로(왕상19:1-28) file 이주현 2024.11.27 188
2106 241126 비를 내리게 한 엘리야의 기도(왕상18:41-46) file 이주현 2024.11.26 284
2105 241125 갈멜산 결전(왕상18:21-40) file 이주현 2024.11.25 187
2104 241120 엘리야 선지자와 아합 왕의 만남(왕상18:1-20) file 이주현 2024.11.20 187
2103 241119 악한 시대, 산소 같은 이야기(왕상17:1-24) file 이주현 2024.11.19 195
2102 241118 악한 왕 오므리, 더 악한 왕 아합(왕상16:21-34) file 이주현 2024.11.18 183
2101 241113 북이스라엘 왕, 엘라와 시므리(왕상16:8-20) 이주현 2024.11.13 194
2100 241112 북이스라엘 왕, 나납과 바아사(왕상15:25-16:7) file 이주현 2024.11.12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