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1001 솔로몬의 연설(왕상8:14-21)

2024.10.01 06:51

이주현 조회 수:65

241001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 8:14-21

. 내 용: 솔로몬의 연설

1.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긴 후 백성들에게 연설을 하는 솔로몬. 성전을 주 이스라엘 하느님의 이름을 기릴 성전으로, “주님의 언약이 들어 있는 궤를 놓아 둘 장소로 규정.

2. 성전 건축을 주님께서 이제 그 약속을 이루신 것으로 고백하는 솔로몬.

 

. 묵상 말씀: “주 이스라엘 하느님의 이름을 기릴 이 성전을 지었으니, 주님께서는 이제 그 약속을 이루셨습니다”(왕상8:20).

1. 벅찬 감동을 전하는 솔로몬

그토록 대망하던 성전을 짓고 성전 앞에 모여든 백성들을 향해 무슨 말을 했을까요? 오늘 본문은 크게 두 가지로 그 내용을 전하고 있습니다. 먼저 주 이스라엘 하느님의 이름을 기릴 성전”(17, 20)이란 반복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그 이름을 기릴 장소란 하느님께 예배(제사)하는 장소란 뜻입니다. 제사를 드릴 경우, 그 제사를 받는 분의 이름을 기억할 수밖에 없는 정신구조를 염두에 둔 표현입니다. 그래서 영어성경(TEV)에서는 “the Temple for the worship of the Lord God of Isreal"로 번역했습니다. 그리고 성전 건축을 주님께서 이제 그 약속을 이루신 것(20)으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사실, 예루살렘 성전은 다윗이 계획하고 그 아들 솔로몬이 완공시킨 것입니다. 그러나 솔로몬은 철저하게 자기의 이름은 빼고 하느님의 약속을 전면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그의 벅찬 감동은 온전히 하느님을 향해 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2. 그의 이름을 기리는 삶

 

하느님과 인간은 조물주(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라는 사실을 성서는 가르치고 있습니다. 하느님과 인간의 본질적인 관계는 생명을 만든 이와 그 생명을 받은 이로 나누어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느님을 ()”님으로 부릅니다. 주님으로 부르는 것은 그분의 뜻을 따라 살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호칭이기도 합니다. 오늘 본문, 솔로몬의 태도는 그런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기가 하지 않은 일도 했다고 내세우며 대접받기를 원하는 게 보통 인간의 태도입니다. 더구나 누가 봐도 자신이 이룬 일임에도 그 공을 다른 곳으로 돌린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더구나 성전 건축을 주님이 그 약속을 이루셨다는 것은 성전 건축의 주체와 공적을 온전히 그 분께 돌려드린다는 의미 외에 모든 일을 하느님의 약속이라는 관점에서 풀어나가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 약속은 주님이 일방적으로 내리신 하느님의 주권입니다. 그 것은 이해와 믿음의 대상이지 분석과 선택의 대상이 아닙니다. 오늘 본문에서 솔로몬의 연설은 그런 태도를 잘 가르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89 241016 솔로몬의 부귀 영화(왕상10:14-29) file 이주현 2024.10.16 38
2088 241015 솔로몬의 지혜와 스바여왕의 방문(왕상10:1-13) file 이주현 2024.10.15 36
2087 241014 솔로몬의 업적들(왕상9:10-28) file 이주현 2024.10.14 41
2086 241010 성전 봉헌 후 주신 말씀(왕상9:1-9) file 이주현 2024.10.10 54
2085 241009 솔로몬의 성전 봉헌 마무리 예식(왕상8:62-66) file 이주현 2024.10.09 50
2084 241008 솔로몬의 축복기도(왕상8:54-61) file 이주현 2024.10.08 56
2083 241007 솔로몬의 기도Ⅱ(왕상8:37-53) file 이주현 2024.10.07 37
2082 241002 솔로몬의 기도(왕상8:22-36) file 이주현 2024.10.02 74
» 241001 솔로몬의 연설(왕상8:14-21) file 이주현 2024.10.01 65
2080 240930 성전으로 옮긴 언약궤(왕상8:1-13) file 이주현 2024.09.30 59
2079 240925 성전 기구들과 창고(왕상7:40-51) file 이주현 2024.09.25 73
2078 240924 놋쇠 받침대와 대야(왕상7:27-39) file 이주현 2024.09.24 77
2077 240923 놋쇠 물통에 담긴 의미(왕상7:23-26) file 이주현 2024.09.23 71
2076 240718 성전 두 기둥, 야긴과 보아스(왕상7:15-22) file 이주현 2024.09.18 263
2075 240917 솔로몬 왕궁에 담긴 교훈(왕상7:1-12) file 이주현 2024.09.17 153
2074 240916 정금 같은 신앙(왕상6:15-38) file 이주현 2024.09.16 112
2073 240911 솔로몬의 성전 건축(왕상6:1-14) file 이주현 2024.09.11 61
2072 240910 히람 왕의 환대(왕상5:1-18) file 이주현 2024.09.10 48
2071 240909 솔로몬의 영화(왕상4:20-34) file 이주현 2024.09.09 68
2070 240904 솔로몬의 신하들(왕상4:1-19) file 이주현 2024.09.09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