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0722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19:31-40

. 내 용: 바르실래라는 노인

1. 예루살렘으로의 귀환을 위해 요단강을 건너려할 때 다윗과 바르실래가 만남.

2. 다윗이 마하나임에 피신해 있을 때 음식을 제공했던 바르실래에게 예루살렘에 함께 갈 것을 권유했지만, 바르실래는 정중히 거절하고 대신, 아들 김함을 데려 갈 것을 요청함.

 

. 묵상 말씀: “ 이 종이 높으신 임금님께 다시 짐이 되어서야 되겠습니까?”(삼하19:35).

1. 은혜를 갚는 다윗

은혜는 돌에 새겨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은혜를 갚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과, 은혜는 꼭 갚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오늘 본문 다윗은 마하나임에 피신해 있는 동안 먹을 양식을 대 준 바르실래에게 은혜를 갚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예루살렘에 함께 가자는 제안이었습니다. 왕이 잘 대접하겠다는 것은 식사 한 번 접대 하겠다는 뜻은 아닐 것입니다. 그런 다윗 왕의 제안에 대한 바르실래의 답변도 참 인상 깊게 남습니다. 임금님께 짐이 되지 않겠다는 게 바르실래의 답변이었습니다. 의와 선을 행한 것은 그 어떤 보상을 위한 게 아니었음을 분명히 한 것입니다. 선을 베푼 것, 그것 하나로 만족하는 모습입니다. 과연 은혜를 베푼 사람다운 성품이 엿보입니다. 속고 속이는 세상 속에서 그렇게 진실한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정말, 큰 축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2. 아버지 덕에 길이 열리는 김함

 

함께 예루살렘으로 가자는 왕의 제안을 정중히 거절한 바르실래는 대신, 자기 아들 김함을 데려갈 것을 요청했습니다. 다윗은 흔쾌히 바르실래의 요청을 받아들였습니다. 김합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었으나 다윗에게는 그런 것은 중요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바르실래의 요청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성서에 나타나는 중보자에 대한 개념을 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중보자의 본질과 속성은 온전함입니다. 중보자의 온전함이 또 다른 이들의 구원의 조건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태생적으로 부족함과 한계를 지니고 살아가는 인간에게 있어 구원의 필수 요건이기도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바로 그 역할을 하신 것입니다. 아무튼 아버지 바르실래의 요청으로 아들 김함은 길이 열립니다. 왕이 아버지 대신 잘 대접하겠다는 것은 요즘 표현으로 출세를 의미합니다. 아비 덕에 복을 누린 이삭(26:24)이나 아버지 요나단 덕분에 왕자의 신분을 유지한 므비보셋(삼하9:7)과 같은 경우입니다. 자신의 삶을 온전하게 가꾸어 나가는 일, 그것은 자녀의 길을 열어주는 일이기도 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240722 바르실래라는 노인(삼하19:31-40) file 이주현 2024.07.22 76
2050 240717 시므이와 무비보셋을 만난 다윗(삼하19장:18b-30) file 이주현 2024.07.17 118
2049 240716 다윗의 귀환 준비(삼하19:8-18) file 이주현 2024.07.16 78
2048 240715 다윗에 대한 요압의 항의(삼하19:1-8) file 이주현 2024.07.15 80
2047 240710 압살롬의 죽음을 슬퍼하는 다윗(삼하18:19-33) 이주현 2024.07.10 867
2046 240709 압살롬의 죽음(삼하18:1-18) file 이주현 2024.07.09 862
2045 240708 다윗을 돕는 이들(삼하17:15-29) file 이주현 2024.07.08 740
2044 240703 아히도벨과 후새의 제안(삼하17:1-14) file 이주현 2024.07.03 734
2043 240702 책사 후새와 아히도벨(삼하16:15-23) file 이주현 2024.07.02 735
2042 240701 다윗을 저주한 시므이(삼하16:5-14) file 이주현 2024.07.01 775
2041 240629 다윗과 무비보셋의 시종 시바의 만남(삼하16:1-4) file 이주현 2024.06.29 1526
2040 240628 다시 도망자가 된 다윗(삼하15:13-37) file 이주현 2024.06.28 1424
2039 240627 압살롬의 반란 준비(삼하15:1-12) file 이주현 2024.06.27 1439
2038 240626 다윗과 압살롬의 어설픈 화해(삼하14:18-33) file 이주현 2024.06.26 1412
2037 240625 다윗을 설득한 드고아 여인(삼하14:1-17) file 이주현 2024.06.25 1678
2036 240624 암논을 살해한 압살롬(삼하13:23-39) file 이주현 2024.06.24 1429
2035 240622 얼빠진 암논(삼하13:1-22) file 이주현 2024.06.22 1418
2034 240621 요압 장군의 처세술(삼하12:26-31) file 이주현 2024.06.21 1413
2033 240620 다윗 아들의 죽음(삼하12:15-25) file 이주현 2024.06.20 1624
2032 240619 나단의 책망과 하느님의 징계(삼하12:1-15) file 이주현 2024.06.19 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