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0515 아브넬의 배반(삼하3장1-21)

2024.05.15 06:43

이주현 조회 수:10

240515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3:2-21

. 내 용: 아브넬의 배반

1. 다윗 세력과의 전쟁을 통해 세력이 커진 아브넬, 그는 그의 권력을 이용하여 사울 왕의 후궁 리스바를 범함. 이를 꾸짖는 이스보셋과 결별을 선언하고 다윗을 찾음

2. 다윗은 미갈을 데려올 것을 조건으로 아브넬을 만나겠다고 전했고, 이스라엘 장로들과 베냐민 지파의 뜻을 모아 다윗을 섬기기로 하고 다윗을 만나 그 뜻을 전함

 

. 묵상 말씀: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에, 사울 집안에서는 아브넬이 점점 더 세력을 잡았다.”(삼하3:6)

1. 전쟁을 통해 권력을 강화한 아브넬

인간 역사상 왜곡된 인간의 심성과 권력의 매카니즘이 만들어낸 가장 큰 오류가 바로 전쟁이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인간들끼리 생명을 죽고 죽이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서도 합리화 될 수 없는 일이지만, 권력의 속성 상, 전쟁은 늘 존재했습니다. 전쟁을 통해 득을 보고 이권을 챙기는 세력들이 반드시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동족 간의 전쟁에서 권력을 챙기는 아브넬의 모습을 봅니다. 사람들이 죽어가면서 권력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이 참 아이러니하게 와 닿습니다. 결국 전쟁은 예나 지금이나 기득권의 권력 놀음,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님을 알게 됩니다. 사울 왕의 군대 장관이었던 아브넬은 동족 간의 전쟁을 시작하고 또 끝내려는 세력 중심에 있었던 셈입니다. 권력의 틈바구니에서 이리 붙었다 저리 붙었다 하는 아브넬의 모습 속에서 권력의 속성과 무상함을 배웁니다.

 

2. 심지가 굳은 사람

 

아브넬의 모습을 보면서 언뜻 떠오르는 단어가 있습니다. “심지(心志)”라는 단어입니다. “마음과 뜻. 마음에 지니는 의지라는 뜻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주님께 의지하는 사람들은 늘 한결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니..”라고 말씀하시면서 심지가 굳은 사람을 가르치셨습니다. 성서적 관점이나 역사적 맥락에서 보면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이 되는 게 맞습니다. 아브넬도 그런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스보셋을 왕으로 세웠고 다윗 세력과 전쟁을 벌였습니다. 전쟁을 통해 확장된 권력을 이용하여 아브넬은 사울 왕의 후궁을 범했고, 그 사실을 꾸짖는 이스보셋과 결별을 하게 됩니다. 그가 하느님의 뜻을 알고 있으면서 그의 행동이 왜, 반대로 움직였는지를 알게 하는 대목입니다. 후에 다윗을 찾아가 왕으로 섬기겠다는 그의 충성 서약도 그런 면에서 진정성이 보이질 않습니다. 심지가 굳은 사람, 하느님을 의지하는 사람들은 권력을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습니다. 명분과 가치를 따라 움직이는 사람, 그런 사람이 심지가 굳은 사람들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8 240611 다윗의 전쟁을 보는 시각(삼하8:1-18) newfile 이주현 2024.06.11 0
2027 240610 다윗의 감사 기도(삼하7:18-29) file 이주현 2024.06.10 2
2026 240605 다윗의 성전 건축에 대한 하느님의 반응(삼하7:1-17) file 이주현 2024.06.05 9
2025 240604 법궤로 인한 다윗과 미갈의 갈등(삼하6:16-23) file 이주현 2024.06.04 6
2024 240603 법궤로 인한 소동과 교훈(삼하6:1-15) file 이주현 2024.06.03 7
2023 240528 다윗이 전쟁을 치르는 방식(삼하5:13-25) file 이주현 2024.05.28 8
2022 240527 점점 강해지는 다윗(삼하5:1-12) file 이주현 2024.05.27 8
2021 240522 살해당한 이스보셋(삼하4:1-12) file 이주현 2024.05.22 9
2020 240521 다윗이 치뤄준 아브넬의 장례식(삼하3:31-39) file 이주현 2024.05.21 8
2019 240520 아브넬을 죽인 요압(삼하3:22-30) file 이주현 2024.05.20 8
» 240515 아브넬의 배반(삼하3장1-21) file 이주현 2024.05.15 10
2017 240514 명분 없는 싸움과 그 비극(삼하2:8-32) file 이주현 2024.05.14 13
2016 240513 왕이 된 다윗이 한 일(삼하2:1-7) file 이주현 2024.05.13 11
2015 240508 사울과 요나단을 위한 다윗의 조가(삼하1:17-27) file 이주현 2024.05.08 17
2014 240507 사울 왕의 죽음과 다윗의 반응(삼하1:1-16) file 이주현 2024.05.07 15
2013 240506 사울과 세 아들의 비극적인 최후(삼상31:1-13) file 이주현 2024.05.06 17
2012 240501 낙오자를 대하는 다윗의 기준(삼상30:21-31) file 이주현 2024.05.01 15
2011 240430 곤경을 극복한 다윗(삼상30:1-20) file 이주현 2024.04.30 14
2010 240429 진퇴양난에 빠진 다윗(삼상29:1-11) file 이주현 2024.04.29 15
2009 240422 무당을 찾은 사울 왕(삼상28:1-25) file 이주현 2024.04.2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