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0514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2:8-32

. 내 용: 명분 없는 싸움과 그 비극

1. 사울왕이 죽은 뒤, 사울 왕의 군대 사령관이었던 아브넬이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을 왕으로 삼고 유다를 제외한 이스라엘 전역을 다스리게 함

2. 다윗의 외조카인 요압은 다윗의 부하를 데리고 아브넬과 전투를 벌임

3. 전투에서 진 아브넬이 쫓겨가다 요압에게 휴전을 제안함

 

. 묵상 말씀: “우리가 언제까지 이렇게 싸워야 하겠소? 이렇게 싸우다가는 마침내 우리 둘 다 비참하게 망하고 말지 않겠소?”(삼하2: 26)

1. 명분 없는 싸움

사울 왕이 죽고, 이스라엘은 정치적 지형이 변했습니다. 다윗은 헤브론으로 가서 유다 지파의 왕이 되었고, 사울 왕의 군대 장관이었던 아브넬이 이스보셋을 나머지 이스라엘 지파의 왕으로 삼았습니다. 잠시 동안의 분열이지만 이러한 분열은 혼란을 가져왔고, 그 혼란은 다윗과 사울 집안 간의 전투 양상으로 번졌습니다. 다윗 편에서는 다윗의 누이였던 스루야의 아들 요압이 나섰고 사울 편에서는 그의 군대 장관이었던 아브넬이 나서서 대리전을 치른 셈입니다. 후에 요압은 다윗의 군대 총사령관으로 권력을 잡고 그를 보좌하지만, 다윗과의 정서적 차이로 인한 불편한 관계는 끝내 해소하지 못했습니다. 이스보셋이 왕으로 집권했던 2년 동안 자연스럽게 동족 간의 싸움은 지속되었습니다. 불필요한 전쟁이었고, 명분 없는 싸움이었습니다. 전쟁 때마다 하느님의 뜻을 물으며 성전을 치르던 전통은 이때부터 자취를 감춥니다. 사무엘이 왕을 세우게 해달라고 요청했을 때 주님이 말씀하신 것이 이뤄진 셈입니다.(삼상8:11-18)

 

2. 의미와 재미

 

아브넬과 요압 간의 싸움은 누가 봐도 명분이 없는 무의미한 싸움이었습니다. 그 싸움은 전쟁으로 번졌고 많은 400여 명의 아까운 인명 피해와 상처를 남겼습니다. 그 싸움의 발단은 하나의 왕정이 수립되지 못한 채 유다와 이스라엘의 분열 통치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은 그 싸움의 초기 단계의 모습입니다. 그 명분 없는 싸움은 사실 재미로 시작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두 진영이 대치하는 가운데 양 진영에서 12명의 장정을 보내서 힘을 겨루는 데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힘을 겨루어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런 싸움의 무의미함을 아브넬이 뒤쫓아오는 요압에게 하는 말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싸우다가는 마침내 우리 둘 다 비참하게 망하고 말지 않겠소?”(26) 재미로 시작한 일이 둘 다 망하는 데까지 나아간 모습입니다. 다윗은 사울 왕이 죽은 뒤에 자신의 조국 이스라엘로 들어갈 수 있었지만, 그것도 하느님께 물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들어갈 지명까지 물었습니다. 그러나 그런다윗과 달리 그의 부하들은 자기들 멋대로 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재미로 사람을 죽이는 일이 생겼고 무의미한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믿음으로 사는 사람들은 재미가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는 사람들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8 240611 다윗의 전쟁을 보는 시각(삼하8:1-18) newfile 이주현 2024.06.11 0
2027 240610 다윗의 감사 기도(삼하7:18-29) file 이주현 2024.06.10 2
2026 240605 다윗의 성전 건축에 대한 하느님의 반응(삼하7:1-17) file 이주현 2024.06.05 9
2025 240604 법궤로 인한 다윗과 미갈의 갈등(삼하6:16-23) file 이주현 2024.06.04 6
2024 240603 법궤로 인한 소동과 교훈(삼하6:1-15) file 이주현 2024.06.03 7
2023 240528 다윗이 전쟁을 치르는 방식(삼하5:13-25) file 이주현 2024.05.28 8
2022 240527 점점 강해지는 다윗(삼하5:1-12) file 이주현 2024.05.27 8
2021 240522 살해당한 이스보셋(삼하4:1-12) file 이주현 2024.05.22 9
2020 240521 다윗이 치뤄준 아브넬의 장례식(삼하3:31-39) file 이주현 2024.05.21 8
2019 240520 아브넬을 죽인 요압(삼하3:22-30) file 이주현 2024.05.20 8
2018 240515 아브넬의 배반(삼하3장1-21) file 이주현 2024.05.15 10
» 240514 명분 없는 싸움과 그 비극(삼하2:8-32) file 이주현 2024.05.14 13
2016 240513 왕이 된 다윗이 한 일(삼하2:1-7) file 이주현 2024.05.13 11
2015 240508 사울과 요나단을 위한 다윗의 조가(삼하1:17-27) file 이주현 2024.05.08 17
2014 240507 사울 왕의 죽음과 다윗의 반응(삼하1:1-16) file 이주현 2024.05.07 15
2013 240506 사울과 세 아들의 비극적인 최후(삼상31:1-13) file 이주현 2024.05.06 17
2012 240501 낙오자를 대하는 다윗의 기준(삼상30:21-31) file 이주현 2024.05.01 15
2011 240430 곤경을 극복한 다윗(삼상30:1-20) file 이주현 2024.04.30 14
2010 240429 진퇴양난에 빠진 다윗(삼상29:1-11) file 이주현 2024.04.29 15
2009 240422 무당을 찾은 사울 왕(삼상28:1-25) file 이주현 2024.04.2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