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0329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

의인의 기도(5:16)

그러므로 여러분은 서로 죄를 고백하고, 서로를 위하여 기도하십시오. 그러면 여러분은 낫게 될 것입니다. 의인이 간절히 비는 기도는 큰 효력을 냅니다.

 

<역사하는 힘이 큰 기도, 그 전제>

예수님과 온전한 관계

역사하는 힘이 큰 기도의 첫 번째 전제 조건은 예수님과 온전한 관계입니다.

* “너희가 내 안에 머물러 있고, 내 말이 너희 안에 머물러 있으면, 너희가 무엇을 구하든지 다 그대로 이루어질 것이다.”(15:7)

우리가 주님 안에 머물러 있고 주님의 말씀이 내 안에 머물러 있다는 게 바로 그런 뜻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기도하면서 주님과의 관계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온전한 관계 회복이 우선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과 우리가 온전히 하나가 된 관계, 내 마음이 예수님 마음과 같은 상태가 되면 그 기도에 응답하시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입니다.

 

믿음의 기도

우리가 기도해도 하느님을 무시하며 기도하면 안 됩니다. 좋은 의사 만나면 질병에 대한 근심 없어집니다.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와 늘 함께하시는 주님, 그분이 우리를 가장 선한 길로 인도하시는 주님이십니다. 그런 믿음을 갖고 기도하는 사람은 기다릴 줄 압니다. 자신의 기도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낙심하지 않습니다. 그것도 기도 응답이라는 믿음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순종의 기도

* “우리가 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느님에게서 받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느님의 계명을 지키고, 하느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을 하기 때문입니다.”(요일3:22)

부모 말에 매번 불순종하는 자녀에게 원하는 대로 다 해줄 부모가 있을까요? 우리가 기도하면서 반드시 점검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기도가 이뤄지는가 점검만 하기 전 우리 자신이 하느님 말씀에 얼마나 순종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주의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의 기도에 응답하심으로 하느님의 뜻을 이 땅에 이루어 가시기 때문입니다.

 

의인의 기도

오늘 본문 구절에서 의인의 기도는 역사하는 힘이 크다고 했습니다. 역사하는 힘이 큰 기도는 모두가 바라는 바입니다. 문제는 그 전제입니다. 의인의 기도라는 점입니다. 누가 의인인가요? 여기서 말하는 의인은 죄의 문제를 해결한 사람, 해결되었다는 믿음을 가진 사람입니다. 죄는 주님과의 관계를 가로막는 걸림돌. 장애물입니다.

* “내가 마음속으로 악한 생각을 품었더라면, 주님께서 나에게 응답하지 않으셨을 것이다.”(66:18)

 

자신의 죄를 완전히 해결한 사람의 모습을 오늘 본문 구절 전반에 열거하고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것입니다. 그게 하느님 앞에서 죄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 사람의 모습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9 2406112 무비보셋을 보살핀 다윗(삼하9:1-13) file 이주현 2024.06.12 3
2028 240611 다윗의 전쟁을 보는 시각(삼하8:1-18) file 이주현 2024.06.11 3
2027 240610 다윗의 감사 기도(삼하7:18-29) file 이주현 2024.06.10 4
2026 240605 다윗의 성전 건축에 대한 하느님의 반응(삼하7:1-17) file 이주현 2024.06.05 10
2025 240604 법궤로 인한 다윗과 미갈의 갈등(삼하6:16-23) file 이주현 2024.06.04 7
2024 240603 법궤로 인한 소동과 교훈(삼하6:1-15) file 이주현 2024.06.03 7
2023 240528 다윗이 전쟁을 치르는 방식(삼하5:13-25) file 이주현 2024.05.28 8
2022 240527 점점 강해지는 다윗(삼하5:1-12) file 이주현 2024.05.27 8
2021 240522 살해당한 이스보셋(삼하4:1-12) file 이주현 2024.05.22 9
2020 240521 다윗이 치뤄준 아브넬의 장례식(삼하3:31-39) file 이주현 2024.05.21 8
2019 240520 아브넬을 죽인 요압(삼하3:22-30) file 이주현 2024.05.20 8
2018 240515 아브넬의 배반(삼하3장1-21) file 이주현 2024.05.15 11
2017 240514 명분 없는 싸움과 그 비극(삼하2:8-32) file 이주현 2024.05.14 14
2016 240513 왕이 된 다윗이 한 일(삼하2:1-7) file 이주현 2024.05.13 12
2015 240508 사울과 요나단을 위한 다윗의 조가(삼하1:17-27) file 이주현 2024.05.08 17
2014 240507 사울 왕의 죽음과 다윗의 반응(삼하1:1-16) file 이주현 2024.05.07 15
2013 240506 사울과 세 아들의 비극적인 최후(삼상31:1-13) file 이주현 2024.05.06 17
2012 240501 낙오자를 대하는 다윗의 기준(삼상30:21-31) file 이주현 2024.05.01 15
2011 240430 곤경을 극복한 다윗(삼상30:1-20) file 이주현 2024.04.30 14
2010 240429 진퇴양난에 빠진 다윗(삼상29:1-11) file 이주현 2024.04.2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