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40227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상17:1-11

. 내 용: 블레셋과의 전쟁과 골리앗의 등장

1. 유다의 소고에 집결한 블레셋 군인과 엘라 평지에 진을 친 이스라엘 군대가 서로 대치

2. 블레셋 군인 가운데 골리앗이라는 장군이 나타나 이스라엘과 하느님을 모욕하나 누구도 대적하지 못함.

 

. 묵상 말씀: “사울과 온 이스라엘은 그 블레셋 사람이 하는 말을 듣고, 몹시 놀라서 떨기만 하였다.”(17:11)

1. 또 전쟁을 일으킨 블레셋과 골리앗

블레셋과의 전쟁은 사사시대부터 계속해서 충돌해 왔던 나라입니다. 이스라엘이 승리할 때도 있었고 패할 때도 있었습니다. 함족 계열로 분류되는 해양 민족이었던 블레셋은 이스라엘에 비해 월등한 제련 기술로 인해 우월한 군사력을 보유할 수 있었고, 우상을 섬기던 민족이었던 관계로 이스라엘과는 결코 가까이할 수 없었던 부족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오늘 본문에서는 전쟁을 일으켰다고 표현했습니다.(17:1) 이스라엘은 이집트에서 탈출하여 가나안에 정착하기까지 하느님의 인도하심을 받았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다른 부족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군사력이었지만 기적과 같이 승리를 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기상천외한 방법들(큰 천둥소리를 일으켜 당황하게 함, 삼상7:10)이었고 그러한 방법 배경엔 철저히 하느님에 대한 신뢰와 하느님의 말씀에 귀를 기우리고 순종하는 이스라엘 백성이 있었습니다. 그런 이스라엘을 수백 년 간 블레셋과 반복되는 전투를 치르게 하신 이유가 뭘까, 궁금합니다.

 

2. 몸에 가시

 

바울은 내가 교만해지지 못하게 하시려고 몸에 가시를 주셨다’(고전12:7)고 고백합니다. 그것을 고쳐 달라고 기도했지만 하느님은 내 은혜가 네게 족하다”(고전12:9)고 하셨습니다. 몸에 가시가 아프긴 하지만 오히려 그 가시를 통해 자신이 온전해지는 경험과 깨달음을 얻은 것입니다. 블레셋이라는 나라,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몸에 가시와 같은 존재였습니다만, 이스라엘이 흐트러질 때마다 바르게 세우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나로 뭉치게 했고 기도하게 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바울의 몸에 있던 가시 역할을 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런 시각에서 볼 때 블레셋의 침공과 골리앗의 등장은 다윗이라는 걸출한 인물을 등장시키기 위한 배경이 된 셈입니다. 다윗을 통해 하느님의 존재를 드러내시고 바른길로 인도하시려는 깊은 뜻을 보게 됩니다. 그러고 보면 하느님을 신뢰하는 사람들에겐 악한 것도 버릴 것도 없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 220818 아론의 염치(레10:12-20) file 이주현 2022.08.25 5
42 220816 제사장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레10:1-11) file 이주현 2022.08.25 5
41 220815 아론의 첫 제사와 하느님 반응(레9:1-24) file 이주현 2022.08.25 5
40 220811 주님이 명하신 대로(레8:1-21) file 이주현 2022.08.11 5
39 220617 세례 요한의 탄생(눅1:57-66) file 오목사 2022.06.19 5
38 220404 무슨 권한으로...(막11:27~33) file 오목사 2022.04.07 5
37 240528 다윗이 전쟁을 치르는 방식(삼하5:13-25) file 이주현 2024.05.28 4
36 231218 두 아들의 악행과 엘리의 반응(삼상2:22-26) file 이주현 2023.12.18 4
35 230407고난주간특별새벽기도회(5) - 사랑의 왕(막15:1-15) file 오목사 2023.04.07 4
34 230225 가나의 혼인잔치(요2:1-12) file 오목사 2023.02.26 4
33 230204 예수님의 재판(눅23:1-25) file 오목사 2023.02.06 4
32 221216 바리새파 사람과 세리의 비유(눅18:9-14) file 오목사 2022.12.18 4
31 221215 과부와 재판관의 비유(눅18:1-8) file 오목사 2022.12.18 4
30 221028 마지막 때를 준비하라(눅12:35-48) file 오목사 2022.10.30 4
29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file 오목사 2022.10.16 4
28 220923 누가 큰가?(눅9:46-50) file 오목사 2022.09.25 4
27 220624 낮은 곳에 임한 기쁨의 소식(눅2:8-21) file 오목사 2022.06.26 4
26 230223 세례 요한과 예수님(요1:19-34) file 오목사 2023.02.26 3
25 230218 말씀으로 오신 예수님(요1:1-18) file 오목사 2023.02.19 3
24 230216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눅24:13-35) file 오목사 2023.02.1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