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20919 성막 앞에서 (레17:1-16)

2022.09.19 06:31

이주현 조회 수:9

220919 새벽 묵상

.읽은 말씀: 레위기 171~16

.내용: 성막 앞에서

1. 성막 앞에서

2. 피는 먹지 못한다

 

.묵상 말씀:

이스라엘 집안에 속한 사람은, 누구든지 소나 양이나 염소를 잡을 때에는, 진 안에서 잡든지 진 바깥에서 잡든지, 그것을 회막 어귀로 가져와서, 주의 성막 앞에서 주에게 제물로 바쳐야만 한다(3~4).

백성은 더이상, 그들이 잡은 짐승을 숫염소 귀신들에게 제물로 바치는 음행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 이것은 그들이 대대로 영원히 지켜야 할 규례이다(7).

 

1. 성막 앞에서

당시 광야 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집트와 다양한 고대 근동의 우상에 노출되어 살아왔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래서 염소를 숭배하거나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서 잡는 것은 보편적인 문화나 인식이었을 것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이집트에서 나온 것이지만, 수 만 명의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공동체, 유목 생활을 하던 그 공동체에서는, 자신들만의 문화와 생활방식이 존재했을 것입니다. 그들에게 하느님은 그들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내려놓을 때만 하느님으로 계실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다 아셨습니다. 그들이 염소를 잡아서, 그들만의 우상을 숭배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셨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우려하셨습니다. 당신께서 선택하시고, 당신께서 데리고 나온 그 백성들이 당신이 아닌 다른 신을 숭배하며, 자유가 아닌 파멸의 길을 걷는 것을 원치 않으셨습니다.

염소를 잡을 때에는 어디에서 잡든지 그것을 회막 어귀로 가져와서, 주의 성막 앞에서 주에게 제물로 바쳐야 합니다(4). 제물은 성막 앞에서 바쳐져야 합니다. 그것이 하느님께서 정하신 방식이고, 그렇게 해야만 그들이 온전한 예배를 드릴 수 있다는 것을 그분은 아셨습니다.

오늘날의 우리 생활에서도 같은 오류가 반복됩니다. 우리의 열정과 돈, 재능, 마음을 우리는 다른 곳에 사용합니다. 하느님이 아닌 우상에게 우리의 모든 것을 투자합니다. 아무 곳에서나 염소를 잡고, 잡은 염소를 하느님이 아닌 다른 신에게 제물로 바쳐서, 하느님이 원치 않으시는 삶을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염소를 잡았다고 해서 예배가 아닙니다. 제물을 바쳤다고 해서 예배가 아닙니다. 성막 앞에서 온전히 그분께 드려지는 것이 진정한 예배입니다.

 

2. 피는 먹지 못한다

피 속에는 생물의 생명이 있습니다(11). 그래서 그저 제단에 바쳐야 하고, 어느 누구도 피를 먹으면 안 됩니다(12). 이것이 이스라엘의 규례였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하느님의 백성에게서 끊어진다고 하셨습니다(14).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 일을 뒤집으셨습니다. 당신의 살과 피를 받아서 먹으라고 친히 말씀하시면서 우리에게 모든 것을 내어주셨습니다. 자신의 생명을 우리에게 고스란히 건네주셨습니다. 놀라운 은혜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3 221022 재물을 대하는 바른 태도(눅12:13-21) file 오목사 2022.10.23 17
1742 221021 환난을 이기는 신앙( 눅12:1-12) file 오목사 2022.10.21 22
1741 221020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들을 향한 책망(눅11:37-54) file 오목사 2022.10.21 17
1740 221019 순종과 축복(레26:1-13) file 이주현 2022.10.19 20
1739 221018 약자를 대하는 법(레25:35-55) file 이주현 2022.10.18 9
1738 221017 토지에 관한 규례(레25:14-34) file 이주현 2022.10.17 9
1737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file 오목사 2022.10.16 4
1736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오목사 2022.10.16 9
1735 221014 참된 행복(눅11:24-28) file 오목사 2022.10.16 9
1734 221013 바알세불 논쟁(눅11:14-23) file 오목사 2022.10.16 49
1733 221012 안식년과 희년 규례(레25:1-13) file 이주현 2022.10.12 16
1732 221011 외국인 규례와 응보의 법칙(레24:10-23) file 이주현 2022.10.11 15
1731 221010 성소 등불과 과자 제물(레24:1-9) file 이주현 2022.10.10 17
1730 221008 기도에 대한 가르침(눅11:1-13) file 오목사 2022.10.09 2
1729 221007 마르다와 마리아(눅10:38-42) file 오목사 2022.10.09 3
1728 221006 그대로 행하라(눅10:25-37) file 오목사 2022.10.06 1
1727 221005 속죄일과 초막절 규례(레23:26-44) file 이주현 2022.10.05 7
1726 221004 하느님이 정하신 절기들(레23:1-25) file 이주현 2022.10.04 9
1725 221003 흠 없는 제물(레22:17-33) file 이주현 2022.10.03 8
1724 221001 칠십 인의 선교 보고(눅10:17-24) file 오목사 2022.10.0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