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220601 새벽 묵상

.읽은 말씀: 출애굽기 2935~46

.내용: 속죄 제물과 번제

 

1. 깨끗하게, 거룩하게

2. 매일 드리는 번제

 

.묵상 말씀:

너는 이레 동안 제단 위에 속죄제물을 드려서, 제단을 거룩하게 하여라. 그렇게 하면 그 제단은 가장 거룩하게 되고, 그 제단에 닿는 것도 모두 거룩하게 될 것이다(37).

네가 제단 위에 바쳐야 할 것은 이러하다. 일 년 된 어린 숫양 두 마리를 날마다 바쳐야 한다(38).

 

1. 깨끗하게, 거룩하게

제사장 위임식은 7일 동안 지속되어야 했고, 날마다 수송아지 한 마리씩을 바쳐서 속죄제를 드려야 했습니다.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원하시는 것은 깨끗해지는 것, 거룩해지는 것이었습니다.

죄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그에 상대적으로 하느님께서 얼마나 깨끗하고 거룩한 존재인지 그것을 깨달아 알게 하시려는 하느님의 의도인 듯합니다. 수송아지 한 마리를 매일 바치는 작업 그것은 매일 반복되는 귀찮고 복잡한 과정이지만, 그 과정을 통해서 하느님을 주인으로 인정해야 함을 알려 주고 싶으셨을 것입니다. 죄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하느님과 마주할 수 없음을 알려 주고 싶으셨을 것입니다.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정결과 거룩은 하느님과 마주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죄를 인정하는 것, 그리고 정결하게 해주시기를 간구하고 거룩히 여김을 받는 과정, 그것이 예배의 시작입니다.

 

2. 매일 드리는 번제

제사장은 일 년 된 어린 숫양 두 마리를 날마다 바쳐야 합니다. 숫양 한 마리를 아침에 바치고, 다른 한 마리 숫양은 저녁에 바쳐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만나주시겠다고 하셨고, 말씀하시겠다고 하셨습니다. 거기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만나시고, 당신의 영광을 나타내어 그곳이 거룩한 곳이 되게 하겠다고 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 일주일에 한 번, 한 달에 한 번이 아닌 그 제사를 매일요구하셨습니다.

우리의 예배 또한 이와 같지 않을까요?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하느님 앞에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이미 마련해주셨고, 우리를 예배의 자리로 부르고 계십니다. 문제는 우리입니다. 우리가 매일 모든 순간 하느님 앞에 서려고 하는지, 그 여부입니다. 각종 상황을 핑계로, 피곤함을 핑계로 하느님의 부르심을 애써 외면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것을 돌아봐야 할 것입니다.

 

구원은 출애굽이라는 사건으로 일단락되는 그런 종류의 문제가 아닙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베풀어주신 구원은, 매일 모든 순간 우리가 하느님을 인정하는 것, 그래서 하느님의 자녀로 모든 혜택을 모든 순간마다 누리고 사는 것 그것입니다. 거룩히 여김을 모든 순간 받는 것, 그래서 우리를 택하신 하느님을 경험으로 깨닫고 만나는 것, 그것이 하느님께서 베푸신 구원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04 201214 말에 실수가 없도록 하라 file 이주현 2020.12.14 16
1703 201221 하느님의 법을 대하는 태도 file 이주현 2020.12.23 16
1702 201229 복음 전파를 위하여 file 오목사 2020.12.31 16
1701 210129 복음의 능력 file 오목사 2021.01.29 16
1700 210313 인도하시는 하느님(행27:1-8) file 오목사 2021.03.13 16
1699 210901 믿음으로 나아가라(마17:14-27) file 오목사 2021.09.02 16
1698 211022 낮추는 사람이 큰 사람(마23:1-12) file 오목사 2021.10.26 16
1697 220219 절기를 제정하신 하느님(출12:43-13:16) file 이주현 2022.02.19 16
1696 220301 예수님은 누구인가? (막8:27~30) file 오목사 2022.03.02 16
1695 220310 만나를 통해 주신 교훈(출16:17-36) file 이주현 2022.03.10 16
1694 220504 안식년과 인식일에 관한 법(출23:10-13) file 이주현 2022.05.04 16
» 220601 속죄 제물과 매일 드리는 번제(출29:35-46) file 이주현 2022.06.01 16
1692 220620 모세의 중보 기도(출32:25-35) file 이주현 2022.06.20 16
1691 221012 안식년과 희년 규례(레25:1-13) file 이주현 2022.10.12 16
1690 221109 레위 자손의 역할 분담(민4:1-49) file 이주현 2022.11.09 16
1689 230307 십계명 원리와 교훈(신5:1-22) file 이주현 2023.03.07 16
1688 230321 주님을 기억하고 시험치 말라(신6:10-25) file 이주현 2023.03.21 16
1687 230509 도피성과 경계선(신19:1-21) file 이주현 2023.05.09 16
1686 230517 다양한 문화와 규례들(신23:1-25) file 이주현 2023.05.17 16
1685 230531 불순종하여 받는 저주(신28:15-68) file 이주현 2023.05.3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