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복음을 전하는 자인가? 방해자인가?

 

읽은 말씀 : 사도행전 17:10-15

 

묵상 말씀 :

10. 신도들은 곧바로 그날 밤으로 바울과 실라를 베뢰아로 보냈다. 두 사람은 거기에 이르러서, 유대 사람의 회당으로 들어갔다.

11. 베뢰아의 유대 사람ㄷ르은 데살로니가의 유대 사람들보다 더 고상한 사람들이어서, 아주 기꺼이 말씀을 받아들이고, 그것이 사실인지 알아보려고,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였다.

13. 데살로니가의 유대 사람들은, 바울이 베뢰아에서도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을 알고서, 거기에도 가서, 무리를 선동하여 소동을 벌였다.

 

1. 각오하고 복음을 전합니다.

데살로니가에서 복음을 전하다 긴급히 베뢰아로 이동을 합니다. 그리고 여전히 그곳에서 회당에 들어가 복음을 전합니다. 그런데 회당에서 복음을 전하다 좋은 일보다 나쁜 일이 더 많았습니다. 그렇지만, 바울은 여전히 회당에서 복음을 전합니다. 분명히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을 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회당에 들어갑니다. 왜요? 그것이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하는 최선의 방법이니까 그렇게 했습니다.

바울은 회당에 가는 것이 위험하지만, 복음을 위하여 각오하였습니다.

나는 복음을 위하여 무엇을 각오하였는가? 편하고 내가 하고 싶은 것만 하지는 않았는가? 생각해 봅니다.

 

2. 신앙인 : 고상한 사람, 기꺼이 말씀을 받아들이는 사람,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는 사람.

베뢰아의 유대 사람들을 성경은 3가지를 들어 칭찬합니다. 고상한 사람들, 기꺼이 말씀을 받아 들이는 사람들,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는 사람들이라고 칭찬합니다.

이는 온전한 신앙인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신앙인 자기 마음내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마음을 잘 다스리고 다른 이들을 배려하는 고상함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은혜를 은혜로 받을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날마다 말씀을 가까이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정한 신앙인입니다.

 

3. 복음 전파를 방해하는 자.

데살로니가의 유대 사람들이 베뢰아까지와서 복음을 전하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하느님을 몰라서 이런 일을 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을 아는데.. 온전히 알지 못합니다. 자신이 믿고 싶은 하느님만 믿는 것입니다. 하느님이 진짜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는 자신과 상관이 없습니다. 오직 자신의 의로 살아가기 때문에 복음 전파의 방해자가 되었습니다.

 

 

과연 나는 복음을 각오하고 복음을 전하는 자인가? 내 뜻으로 복음 전파를 방해하는 자인가?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6 210122 하느님의 뜻이라면... file 오목사 2021.01.22 26
1325 210130 내가 하지 않아도 하느님이 하십니다. file 오목사 2021.01.30 26
1324 210209 거짓예언자와 교사의 정체 file 이주현 2021.02.09 26
1323 210301 하느님의 자녀 된 사람들(요일2;28~3:10) file 이주현 2021.03.01 26
1322 210429 보복하지 말라(마5:38-42) file 오목사 2021.04.29 26
1321 210619 참 안식(창2:1-3) file 이주현 2021.06.19 26
1320 210724 노아의 후손들(창10:1-32) file 이주현 2021.07.24 26
1319 210813 아브람과의 계약 갱신(창17:1-14) file 이주현 2021.08.13 26
1318 210908 용서를 모르는 악한 종(마18:21-35) file 오목사 2021.09.08 26
1317 211028 형, 에서와의 만남 준비(창32:1-21) file 이주현 2021.10.28 26
1316 211123 실현된 요셉의 꿈(창42:1-25) file 이주현 2021.11.23 26
1315 211220 하느님의 나라를 위하여(막1:14-20) file 오목사 2021.12.20 26
1314 220212 열 번째 재앙 예고(출11:1-10) file 이주현 2022.02.12 26
1313 220218 실현된 열 번째 재앙과 그 결과(출12:29-42) file 이주현 2022.02.18 26
1312 220614 하느님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출32:7-14) file 이주현 2022.06.14 26
1311 220714 병든 사람을 고치신 예수님(눅4:38-44) file 오목사 2022.07.14 26
1310 230124 하느님이 정하신 절기와 제사(민28:1-31) file 이주현 2023.01.24 26
1309 160920 하느님의 공정한 심판 lsugk 2016.09.20 27
1308 170211 우리의 병약함을 떠맡으시고, 질병을 짊어 지신 예수님. lsugk 2017.02.11 27
1307 170307 무감각한 세대를 향한 책망 lsugk 2017.03.0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