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70710 고소하는 사탄과 새싹

2017.07.11 23:11

이주현목사 조회 수:18

170710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스가랴3:1-9

. 내 용: 스가랴에게 보여준 네 번째 환상

1. 주님 앞에서 선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초라한 모습(불에서 꺼낸 타다 남은 나무토막).

2. 대제사장의 사역을 완성할 메시아의 사역에 대한 예언.

 

. 묵상 말씀: “나 만군의 주가 말한다. 내가 여호수아 앞에 돌 한 개를 놓는다”(스가랴3:9).

1. 고소하는 사탄

성령의 역사가 사실이듯, 이 세상에서는 사탄의 역사도 실재하는 사실임을 성서는 가르치고 있습니다. 우리 맘에 끊임없이 일어나는 죄책감과 수치심, 그래서 바로 설 수 없도록 우리 맘에 진을 치고 참소하는 존재로 성서는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한 사도는 그러한 사탄에 대하여 우리의 동료들을 헐뜯는 자, 우리 하나님 앞에서 밤낮으로 그들을 헐뜯는 자가 내쫓겼다”(12:10)라고 언급하면서 주님의 날에 정죄 받는 사탄의 존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스가랴 예언자가 본 사탄의 모습도 그런 모습이었습니다. 죄악으로 심판과 징계를 받은 이스라엘의 모습을 불에서 꺼낸 타다 남은 나무토막”(2)과 같은 모습을 한 여호수아의 모습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옆에서 사탄이 고소하면서 말입니다. 고소나 참소, 헐뜯는다는 것은 성서에서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입니다. 바로 사탄의 속성을 나타내는 표현이지요. 초췌한 여호수아의 모습은 재기 불능의 이스라엘의 모습입니다. 다시 회복시켜주신 다는 하느님의 언약을 불신하게 만드는 사탄의 속삭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새싹이라 부른 나의 종

그렇게 고소하는 사탄과는 다른 주님의 모습을 본문에서 환상을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상징적인 모습이 바로 새싹입니다. “내가 이제 새싹이라고 부르는 나의 종을 보내겠다”(8). 새싹이라고 부른 나의 종이란 메시야, 곧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새싹과 함께 동시에 보여준 돌 한 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스라엘의 완전한 회복을 의미하는 환상을 보여주신 셈입니다. 그 새싹과 돌의 역할은 이 땅의 죄를 하루 만에 없애버리는 것’(9)입니다. 그래서 자기 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 아래로 이웃을 초대”(10)하는 것입니다. 결국 초라한 여호수아,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대제사장에게 깨끗한 관을 씌워주고 거룩한 예식 옷을 입혀주는 하느님께서 때가 되면 완전한 대제사장, 단 한 번의 제물로 모든 죄를 사하시는 하느님의 구속 사역을 완성시킬 새싹을 보내실 것을 환상을 통해 보여주신 셈입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참소하고 헐뜯어서 무너뜨리려는 사탄의 세력과 당신의 구원받은 자녀로 살게 하시려는 하느님의 자비로우심이 대비되는 말씀으로 와 닿습니다. 그 새싹이라는 표현에서 말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3 211002 에서의 축복을 가로챈 야곱(창27:1-29) file 이주현 2021.10.02 32
1182 220127 이적의 한계와 바로의 고집(출7:8-13) file 이주현 2022.01.27 32
1181 220413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3) - 가상칠언 3언의 말씀(요19:26-27) file 오목사 2022.04.13 32
1180 221208 제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눅17:1-10) file 오목사 2022.12.08 32
1179 221220 하느님의 징벌과 모세의 기도(민16:36-50) file 이주현 2022.12.20 32
1178 230123 슬로보핫의 딸과 모세 후계자 이야기(민27:1-23) file 이주현 2023.01.23 32
1177 200617 믿음을 방해하는 세력들 이주현 2020.06.17 33
1176 201020 방주를 짓는 노아 file 이주현 2020.10.20 33
1175 210325 믿음의 사람은 지치지 않습니다.(행28:11-16) file 오목사 2021.03.25 33
1174 210524 일곱대접 재앙(계16:1-21) file 이주현 2021.05.24 33
1173 211019 야곱의 도주와 라반의 추격(창31:17-42) file 이주현 2021.10.19 33
1172 211021가장 큰 계명(마22:34-46) file 오목사 2021.10.21 33
1171 211217 요셉의 아들을 축복하는 야곱(창48:1-22) file 이주현 2021.12.17 33
1170 220104 누구를 위한 안식일인가?(막2:23-28) file 오목사 2022.01.05 33
1169 220122 주님 명하신대로(출6:28-7:7) file 이주현 2022.01.22 33
1168 220201 고향에서 배척 당하신 예수님(막6:1~6) file 오목사 2022.02.01 33
1167 220224 구름 기둥과 불기둥(출13:17-22) file 이주현 2022.02.24 33
1166 220405 불의한 농부 비유(막12:1~12) file 오목사 2022.04.07 33
1165 221116 12지파의 봉헌 예물(민7:1-89) file 이주현 2022.11.16 33
1164 230127 마지막 만찬(눅22:14-23) file 오목사 2023.01.29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