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50126 반역과 교만

2015.01.26 23:28

목사 조회 수:77

150126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이사야36:1-10

. 내 용: 하느님의 심판과 징계 사유

1. 이집트를 믿고 의지하던 유다의 불신앙을 지적하는 앗시라아의 랍사게 장군.

2. 자신의 힘만 의지하던 앗시리아의 교만함과 예루살렘 침공이 하느님의 심판임을 암시하는 랍사게의 발언.

 

. 묵상 말씀: “네가 지금 누구를 믿고 반역하느냐?”(36:5).

1. 유다의 반역

그동안 35장까지는 불의한 백성과 반역하는 민족에 대한 하느님의 보편적인 심판과 징계, 그리고 남은 자들에 대한 구원과 회복을 이사야의 예언을 통해 선포되었습니다. 그러나 36장부터는 역사적인 사실을 통해 하느님께 불의한 백성들과 반역하는 민족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느님의 심판이 철저하게 역사적인 사실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셈입니다. 유다에 대한 산헤립(B.C.705~681)1차 침공(B.C.701)에 이어 오늘 본문은 랍사게를 통한 앗시리아의 2차 침공과 예루살렘 공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막강한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 함락을 앞둔 랍사게는 히스기야 왕의 신하들에게 하느님에 대한 불신앙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네가 지금 누구를 믿고 반역하느냐”(5) 혼란한 시국 속에서 입만 열면 하느님을 찾던 유다 백성들이 앗시리아를 견제하기 위해 이집트를 의지하는 모습을 빗대어 한 말입니다. ‘부러진 갈대와 같은 이집트를 의지하는 것, 이는 유다에 대한 하느님의 직접적인 심판 원인이 되었습니다. 바로 하느님에 대한 불신앙이자 반역 때문입니다

2. 앗시리아의 교만

부러진 갈대와 같은 이집트를 의지하는 유다의 불신앙을 지적한 것은 바로 앗시리아 랍사게였습니다. 하느님의 징계의 도구로 사용된 앗시라아 군대와 랍사게, 그들의 입을 통해 선포된 유다의 불신앙이 참으로 아니러니 합니다. 랍사게의 입에서 나온 이집트에 대한 언급 속에는 하늘을 찌르는 듯 한 앗시리아의 교만이 담겨있습니다. 우리를 대적할 자가 이 세상에는 없다는 것이지요. 나아가 그들은 유다가 믿고 의지하는 하느님에 대한 도전도 서슴지 않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이제 나의 상전이신 앗시리아 임금님과 겨루어 보아라”(8). 랍사게가 예루살렘에 있는 이 제단 앞에서만 경배하여야 한다며 산당과 제단들을 다 헐어버린 히스기야 왕에게 한 말입니다. 산당제사가 횡횡하던 시절, 히스기야가 일으킨 종교개혁을 염두에 두고 한 조롱 섞인 말입니다. 유다의 불신앙도 문제지만, 앗시리아의 끝 모를 교만도 문제임을 부각시키고 있는 모습입니다. 결국 유다의 불신앙과 앗시리아의 교만은 그 뿌리가 하나임을 보여준 셈이지요. 하느님을 알면서도 의지하지 않는 사람이나 모르면서 교만에 빠진 사람이나 매 한가지란 뜻이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3 211001 이삭의 삶과 하느님(창26:26~35) file 이주현 2021.10.01 31
1202 211011 혼인 잔치의 비유(마22:1-14) file 오목사 2021.10.11 31
1201 211122 총리가 된 요셉(창41:37-57) file 이주현 2021.11.22 31
1200 211223 야곱의 죽음과 장례(창49:29~50:14) file 이주현 2021.12.23 31
1199 220107 부름받은 모세의 반응(출3:13-22) file 이주현 2022.01.07 31
1198 220322 섬기는 사람이 되라.(막10:32~45) file 오목사 2022.03.23 31
1197 220525 예수님의 장례(막15:42-47) file 오목사 2022.05.25 31
1196 220615 모세의 반응과 아론의 변명(출32:15-24) file 이주현 2022.06.15 31
1195 220618 사가랴의 예언(눅1:67-80) file 오목사 2022.06.19 31
1194 220825 용서받은 여인의 사랑(눅7:36-50) file 오목사 2022.08.26 31
1193 221117 낮아지는 삶(눅14:7-14) file 오목사 2022.11.17 31
1192 221128 첫 번째 행군(민10:11-36) file 이주현 2022.11.28 31
1191 221206 여호수아와 갈렙의 관점(민14:1-25) file 이주현 2022.12.06 31
1190 221219 모세의 분노와 기도(민16:15-35) file 이주현 2022.12.19 31
1189 161025 암사자와 포도나무 비유 이주현목사 2016.10.26 32
1188 200714 영적으로 병든 이들을 위한 교훈 이주현 2020.07.14 32
1187 200728 말세의 타락상 이주현 2020.07.29 32
1186 210510 두루마리를 먹어라(계10:1-11) file 이주현 2021.05.10 32
1185 210531 하느님의 큰 잔치(계19:11-21) file 이주현 2021.05.31 32
1184 210702 생명나무를 지키시는 하느님(창3:22-24) file 이주현 2021.07.02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