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926 불합리한 세상 일
2014.09.26 06:08
||0||0140926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전도서8:9-14
. 내 용: 불합리한 세상 일
1.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불합리하다는 사실을 언급함.
2. 의인이 잘 살아야 할 텐데 그렇지 못하고, 오히려 악인이 잘사는 세상의 헛된 모습들.
. 묵상 말씀: “이 세상에서 헛된 일이 벌어지고 있다”(전8:14).
1.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합당하지 못하고 불합리 하다는 사실을 전도서 기자는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죠. ‘권력 쥔 사람이 따로 고통 받는 사람 따로’(9)라는 것입니다. 또한 ‘악한 사람이 죽어 장사지냈는데, 장지에서 돌아오는 길, 그것도 악한 일을 한 그 곳에서 그 사람을 칭찬하더라’(10)는 이야기입니다. 권선징악(勸善懲惡), 착하게 사는 사람을 칭찬하고 악하게 사는 사람을 징계하는 그런 세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 세상의 모습은 그렇질 못하다는 것이지요. 의인이 받아야 할 몫을 악한 사람이 받더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불합리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라는 뜻일까요? 불합리한 세상이지만 착하고 의롭게 살아야할 사람들이 바로 하느님의 백성들 아닌가요? 불합리 하다고 막 살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궁극적으로 이 세상의 모습이 그러하니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이 세상에 둬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요. 모든 일들이 다 때가 있음을 기다리며 끝까지 포기하지는 말아야하겠지만,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두기에는 이 세상이 적절치는 않다는 것입니다.
2. 그리 아니하실지라도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다니엘의 세 친구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유명한 고백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동방의 신흥대국 바벨론 왕 느브갓네살의 서슬 퍼런 권력 앞에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당신이 만든 신상 앞에 절하지 않겠다’는 고백 말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이 구원해 주실 것이기 때문’(단3:17)입니다. 거기서 끝났다면 그들의 고백은 우리에게 감동으로 남아있지 않았을 겁니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고백은 우리에게 진정한 신앙이 어떤 모습인지를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비록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단3:18), 즉 하느님이 우리를 구원해 주시지 아니하실지라도 절하지 않겠다는 뜻이지요. 의인에게 베푸시는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을 우리는 믿습니다. 언젠가 때가 되면 믿음으로 뿌린 씨앗들이 결실을 맺게 될 것입니다. 이는 성서의 가르침이고 자연의 원리이기도 합니다. 사실 이 세상에서는 ‘선하게 사는 게 좋다’는 정도의 보편적인 가치와 상식 수준에서 살아가는 것도 힘든 세상입니다만 오늘 본문의 가르침은 그 이상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뜻으로 와 닿습니다. 의롭지 않은 세상이지만 의롭게 살라는 그런 말씀 말입니다.
. 읽은 말씀: 전도서8:9-14
. 내 용: 불합리한 세상 일
1.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불합리하다는 사실을 언급함.
2. 의인이 잘 살아야 할 텐데 그렇지 못하고, 오히려 악인이 잘사는 세상의 헛된 모습들.
. 묵상 말씀: “이 세상에서 헛된 일이 벌어지고 있다”(전8:14).
1.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합당하지 못하고 불합리 하다는 사실을 전도서 기자는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죠. ‘권력 쥔 사람이 따로 고통 받는 사람 따로’(9)라는 것입니다. 또한 ‘악한 사람이 죽어 장사지냈는데, 장지에서 돌아오는 길, 그것도 악한 일을 한 그 곳에서 그 사람을 칭찬하더라’(10)는 이야기입니다. 권선징악(勸善懲惡), 착하게 사는 사람을 칭찬하고 악하게 사는 사람을 징계하는 그런 세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 세상의 모습은 그렇질 못하다는 것이지요. 의인이 받아야 할 몫을 악한 사람이 받더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불합리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라는 뜻일까요? 불합리한 세상이지만 착하고 의롭게 살아야할 사람들이 바로 하느님의 백성들 아닌가요? 불합리 하다고 막 살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궁극적으로 이 세상의 모습이 그러하니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이 세상에 둬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요. 모든 일들이 다 때가 있음을 기다리며 끝까지 포기하지는 말아야하겠지만,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두기에는 이 세상이 적절치는 않다는 것입니다.
2. 그리 아니하실지라도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다니엘의 세 친구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유명한 고백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동방의 신흥대국 바벨론 왕 느브갓네살의 서슬 퍼런 권력 앞에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당신이 만든 신상 앞에 절하지 않겠다’는 고백 말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이 구원해 주실 것이기 때문’(단3:17)입니다. 거기서 끝났다면 그들의 고백은 우리에게 감동으로 남아있지 않았을 겁니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고백은 우리에게 진정한 신앙이 어떤 모습인지를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비록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단3:18), 즉 하느님이 우리를 구원해 주시지 아니하실지라도 절하지 않겠다는 뜻이지요. 의인에게 베푸시는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을 우리는 믿습니다. 언젠가 때가 되면 믿음으로 뿌린 씨앗들이 결실을 맺게 될 것입니다. 이는 성서의 가르침이고 자연의 원리이기도 합니다. 사실 이 세상에서는 ‘선하게 사는 게 좋다’는 정도의 보편적인 가치와 상식 수준에서 살아가는 것도 힘든 세상입니다만 오늘 본문의 가르침은 그 이상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뜻으로 와 닿습니다. 의롭지 않은 세상이지만 의롭게 살라는 그런 말씀 말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140926 불합리한 세상 일 | 이주현 | 2014.09.26 | 184 |
754 | 140925 사물의 이치를 아는 사람 | 이주현 | 2014.09.25 | 279 |
753 | 140924 여자의 존재 | 이주현 | 2014.09.25 | 194 |
752 | 140923 온전한 사람은 없다 | 이주현 | 2014.09.23 | 213 |
751 | 140922 중용지도(中庸之道) | 이주현 | 2014.09.22 | 267 |
750 | 140908 과거를 묻지 마세요 | 이주현 | 2014.09.08 | 206 |
749 | 140906 죽음 공부 | 이주현 | 2014.09.06 | 210 |
748 | 140905 세상 살아가는 법 | 이주현 | 2014.09.05 | 224 |
747 | 140904 소유와 존재 | 이주현 | 2014.09.04 | 305 |
746 | 140903 덧없는 인생살이 | 이주현 | 2014.09.03 | 263 |
745 | 140902 하느님 두려운 줄 알아라 | 이주현 | 2014.09.02 | 219 |
744 | 140830 하느님 앞에서 | 이주현 | 2014.08.30 | 238 |
743 | 140829 세 겹줄의 교훈 | 이주현 | 2014.08.29 | 225 |
742 | 140828 산 사람, 죽은 사람, 태어나지 않은 사람 | 이주현 | 2014.08.28 | 213 |
741 | 140827 사람과 짐승의 운명 | 이주현 | 2014.08.27 | 224 |
740 | 140826 축복과 은총의 일상성 | 이주현 | 2014.08.27 | 248 |
739 | 140825 모든 일에 다 때가 있다 | 이주현 | 2014.08.25 | 226 |
738 | 140823 수고도 헛되다 | 이주현 | 2014.08.23 | 201 |
737 | 140822 슬기도 어리석음도 헛되다 | 이주현 | 2014.08.22 | 321 |
736 | 140821 즐거움도 헛되다 | 이주현 | 2014.08.21 | 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