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926 불합리한 세상 일
2014.09.26 06:08
||0||0140926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전도서8:9-14
. 내 용: 불합리한 세상 일
1.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불합리하다는 사실을 언급함.
2. 의인이 잘 살아야 할 텐데 그렇지 못하고, 오히려 악인이 잘사는 세상의 헛된 모습들.
. 묵상 말씀: “이 세상에서 헛된 일이 벌어지고 있다”(전8:14).
1.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합당하지 못하고 불합리 하다는 사실을 전도서 기자는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죠. ‘권력 쥔 사람이 따로 고통 받는 사람 따로’(9)라는 것입니다. 또한 ‘악한 사람이 죽어 장사지냈는데, 장지에서 돌아오는 길, 그것도 악한 일을 한 그 곳에서 그 사람을 칭찬하더라’(10)는 이야기입니다. 권선징악(勸善懲惡), 착하게 사는 사람을 칭찬하고 악하게 사는 사람을 징계하는 그런 세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 세상의 모습은 그렇질 못하다는 것이지요. 의인이 받아야 할 몫을 악한 사람이 받더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불합리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라는 뜻일까요? 불합리한 세상이지만 착하고 의롭게 살아야할 사람들이 바로 하느님의 백성들 아닌가요? 불합리 하다고 막 살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궁극적으로 이 세상의 모습이 그러하니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이 세상에 둬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요. 모든 일들이 다 때가 있음을 기다리며 끝까지 포기하지는 말아야하겠지만,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두기에는 이 세상이 적절치는 않다는 것입니다.
2. 그리 아니하실지라도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다니엘의 세 친구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유명한 고백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동방의 신흥대국 바벨론 왕 느브갓네살의 서슬 퍼런 권력 앞에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당신이 만든 신상 앞에 절하지 않겠다’는 고백 말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이 구원해 주실 것이기 때문’(단3:17)입니다. 거기서 끝났다면 그들의 고백은 우리에게 감동으로 남아있지 않았을 겁니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고백은 우리에게 진정한 신앙이 어떤 모습인지를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비록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단3:18), 즉 하느님이 우리를 구원해 주시지 아니하실지라도 절하지 않겠다는 뜻이지요. 의인에게 베푸시는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을 우리는 믿습니다. 언젠가 때가 되면 믿음으로 뿌린 씨앗들이 결실을 맺게 될 것입니다. 이는 성서의 가르침이고 자연의 원리이기도 합니다. 사실 이 세상에서는 ‘선하게 사는 게 좋다’는 정도의 보편적인 가치와 상식 수준에서 살아가는 것도 힘든 세상입니다만 오늘 본문의 가르침은 그 이상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뜻으로 와 닿습니다. 의롭지 않은 세상이지만 의롭게 살라는 그런 말씀 말입니다.
. 읽은 말씀: 전도서8:9-14
. 내 용: 불합리한 세상 일
1.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불합리하다는 사실을 언급함.
2. 의인이 잘 살아야 할 텐데 그렇지 못하고, 오히려 악인이 잘사는 세상의 헛된 모습들.
. 묵상 말씀: “이 세상에서 헛된 일이 벌어지고 있다”(전8:14).
1.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합당하지 못하고 불합리 하다는 사실을 전도서 기자는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죠. ‘권력 쥔 사람이 따로 고통 받는 사람 따로’(9)라는 것입니다. 또한 ‘악한 사람이 죽어 장사지냈는데, 장지에서 돌아오는 길, 그것도 악한 일을 한 그 곳에서 그 사람을 칭찬하더라’(10)는 이야기입니다. 권선징악(勸善懲惡), 착하게 사는 사람을 칭찬하고 악하게 사는 사람을 징계하는 그런 세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 세상의 모습은 그렇질 못하다는 것이지요. 의인이 받아야 할 몫을 악한 사람이 받더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불합리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라는 뜻일까요? 불합리한 세상이지만 착하고 의롭게 살아야할 사람들이 바로 하느님의 백성들 아닌가요? 불합리 하다고 막 살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궁극적으로 이 세상의 모습이 그러하니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이 세상에 둬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요. 모든 일들이 다 때가 있음을 기다리며 끝까지 포기하지는 말아야하겠지만,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두기에는 이 세상이 적절치는 않다는 것입니다.
2. 그리 아니하실지라도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다니엘의 세 친구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유명한 고백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동방의 신흥대국 바벨론 왕 느브갓네살의 서슬 퍼런 권력 앞에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당신이 만든 신상 앞에 절하지 않겠다’는 고백 말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이 구원해 주실 것이기 때문’(단3:17)입니다. 거기서 끝났다면 그들의 고백은 우리에게 감동으로 남아있지 않았을 겁니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고백은 우리에게 진정한 신앙이 어떤 모습인지를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비록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단3:18), 즉 하느님이 우리를 구원해 주시지 아니하실지라도 절하지 않겠다는 뜻이지요. 의인에게 베푸시는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을 우리는 믿습니다. 언젠가 때가 되면 믿음으로 뿌린 씨앗들이 결실을 맺게 될 것입니다. 이는 성서의 가르침이고 자연의 원리이기도 합니다. 사실 이 세상에서는 ‘선하게 사는 게 좋다’는 정도의 보편적인 가치와 상식 수준에서 살아가는 것도 힘든 세상입니다만 오늘 본문의 가르침은 그 이상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뜻으로 와 닿습니다. 의롭지 않은 세상이지만 의롭게 살라는 그런 말씀 말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71 | 141022 사랑의 아픔 | 이주현 | 2014.10.22 | 193 |
770 | 141020 사랑의 절대성 | 이주현 | 2014.10.20 | 205 |
769 | 141018 아름다운 꿈 | 이주현 | 2014.10.18 | 188 |
768 | 141017 사랑이라는 병 | 이주현 | 2014.10.17 | 189 |
767 | 141016 포도주보다 더 진한 사랑 | 이주현 | 2014.10.16 | 216 |
766 | 141015 전도자의 결론 | 이주현 | 2014.10.15 | 224 |
765 | 141014 전도자가 전한 말 | 이주현 | 2014.10.14 | 188 |
764 | 141013 젊을 때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라 | 이주현 | 2014.10.13 | 229 |
763 | 141011 인생에 밤도 온다 | 이주현 | 2014.10.11 | 183 |
762 | 141010 알수 없는 세상 일 | 이주현 | 2014.10.10 | 186 |
761 | 141009 어리석은 사람의 모습 | 이주현 | 2014.10.09 | 194 |
760 | 141008 향수에 빠져 죽은 파리 | 이주현 | 2014.10.08 | 202 |
759 | 141007 가난한 사람의 조용한 말 | 이주현 | 2014.10.07 | 192 |
758 | 141006 세상은 요지경 | 이주현 | 2014.10.06 | 243 |
757 | 141003 다 같은 운명 | 이주현 | 2014.10.03 | 197 |
756 | 141002 허락받은 한평생 | 이주현 | 2014.10.02 | 211 |
» | 140926 불합리한 세상 일 | 이주현 | 2014.09.26 | 184 |
754 | 140925 사물의 이치를 아는 사람 | 이주현 | 2014.09.25 | 273 |
753 | 140924 여자의 존재 | 이주현 | 2014.09.25 | 191 |
752 | 140923 온전한 사람은 없다 | 이주현 | 2014.09.23 | 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