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825 모든 일에 다 때가 있다
2014.08.25 07:02
||0||0140825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전도서3:1-11
. 내 용: 모든 일에는 다 때가 있다
1. 모든 일에는 다 알맞은 때가 있다. 그 알맞은 때는 하느님이 만드셨다.
2. 사람은 하느님이 하신 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깨닫지는 못하게 하셨다.
. 묵상 말씀: “하느님은 모든 것이 제때에 알맞게 일어나도록 만드셨다”(전3:11).
1. 알맞은 때가 있다
세상에는 모두 다 알맞은 때가 있고 했습니다. 단 그 알맞은 때는 하느님이 만드신 때입니다. 이 말씀은 결국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한다는 세상의 본질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가장 알맞은 때를 행하여 끊임없이 변한다는 것이죠. 그러니 지금이 바로 그 때이면서 그 때가 아닌 것입니다. 하느님이 세상의 모든 일들의 알맞은 때를 정하신 것은 사실인데, 지금이 바로 그 때이면서, 동시에 그 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알맞은 때를 규정하는 순간 또 그 알맞은 때를 향하여 변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세상에는 알맞은 때를 향해 변화는 ‘과정’ 그 자체만 존재할 뿐이죠. 그래서 과정철학자들은 ‘실재는 과정이다’(reality is process)라고 규정합니다. 세상은 늘 변합니다. 세상을 구성하는 모든 물질도 고정된 어느 입자가 아니라는 게 현대 물리학자들의 일치된 견해입니다. 물질을 구성하는 최소한의 단위가 그러하듯, 인간 세상의 만사도 그렇게 덧없이 흘러가고 변합니다.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렇게 변화시키는 하느님뿐이십니다.
2. 그러나 그 때를 인간은 모른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가장 알맞은 때는 언제일까요? 오늘 본문에서 전도자는 “하느님이 하신 일을 (인간으로 하여금)처음부터 끝까지 다 깨닫지는 못하게 하셨다”(11)고 했습니다. 어렴풋이 짐작은 하지만 지금이 바로 그 때라고 규정할 수 있는 능력을 허락하지는 않으셨다는 뜻이죠. 이 말씀은 인간에게 하느님의 뜻을 헤아릴 수 있는 능력을 주셨지만 ‘이것이 하느님의 뜻이다’라고 단정할 수 있는 능력과 권한은 허락하지 않으셨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어쩌란 말인가요? 무엇보다 그 때를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요한 사도는 “하느님의 계명과 예수를 믿는 믿음을 지키는 성도들에게는 인내가 필요하다”(계14:12)고 했습니다. 그렇습니다. 기다리는 것입니다. 기다림은 믿음의 또 다른 모습입니다. 또한 기다림은 현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제공합니다. 알맞은 때를 향해 변해가는 지금이라는 시점에 대한 정확하고 명쾌한 시각을 제공합니다. 지금이 바로 그 때, 가장 알맞은 때라는 것이죠. 나에게 가장 알맞은 때를 위해 변해가는 가장 알맞은 때 말입니다.
. 읽은 말씀: 전도서3:1-11
. 내 용: 모든 일에는 다 때가 있다
1. 모든 일에는 다 알맞은 때가 있다. 그 알맞은 때는 하느님이 만드셨다.
2. 사람은 하느님이 하신 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깨닫지는 못하게 하셨다.
. 묵상 말씀: “하느님은 모든 것이 제때에 알맞게 일어나도록 만드셨다”(전3:11).
1. 알맞은 때가 있다
세상에는 모두 다 알맞은 때가 있고 했습니다. 단 그 알맞은 때는 하느님이 만드신 때입니다. 이 말씀은 결국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한다는 세상의 본질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가장 알맞은 때를 행하여 끊임없이 변한다는 것이죠. 그러니 지금이 바로 그 때이면서 그 때가 아닌 것입니다. 하느님이 세상의 모든 일들의 알맞은 때를 정하신 것은 사실인데, 지금이 바로 그 때이면서, 동시에 그 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알맞은 때를 규정하는 순간 또 그 알맞은 때를 향하여 변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세상에는 알맞은 때를 향해 변화는 ‘과정’ 그 자체만 존재할 뿐이죠. 그래서 과정철학자들은 ‘실재는 과정이다’(reality is process)라고 규정합니다. 세상은 늘 변합니다. 세상을 구성하는 모든 물질도 고정된 어느 입자가 아니라는 게 현대 물리학자들의 일치된 견해입니다. 물질을 구성하는 최소한의 단위가 그러하듯, 인간 세상의 만사도 그렇게 덧없이 흘러가고 변합니다.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렇게 변화시키는 하느님뿐이십니다.
2. 그러나 그 때를 인간은 모른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가장 알맞은 때는 언제일까요? 오늘 본문에서 전도자는 “하느님이 하신 일을 (인간으로 하여금)처음부터 끝까지 다 깨닫지는 못하게 하셨다”(11)고 했습니다. 어렴풋이 짐작은 하지만 지금이 바로 그 때라고 규정할 수 있는 능력을 허락하지는 않으셨다는 뜻이죠. 이 말씀은 인간에게 하느님의 뜻을 헤아릴 수 있는 능력을 주셨지만 ‘이것이 하느님의 뜻이다’라고 단정할 수 있는 능력과 권한은 허락하지 않으셨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어쩌란 말인가요? 무엇보다 그 때를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요한 사도는 “하느님의 계명과 예수를 믿는 믿음을 지키는 성도들에게는 인내가 필요하다”(계14:12)고 했습니다. 그렇습니다. 기다리는 것입니다. 기다림은 믿음의 또 다른 모습입니다. 또한 기다림은 현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제공합니다. 알맞은 때를 향해 변해가는 지금이라는 시점에 대한 정확하고 명쾌한 시각을 제공합니다. 지금이 바로 그 때, 가장 알맞은 때라는 것이죠. 나에게 가장 알맞은 때를 위해 변해가는 가장 알맞은 때 말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51 | 140922 중용지도(中庸之道) | 이주현 | 2014.09.22 | 264 |
750 | 140908 과거를 묻지 마세요 | 이주현 | 2014.09.08 | 203 |
749 | 140906 죽음 공부 | 이주현 | 2014.09.06 | 208 |
748 | 140905 세상 살아가는 법 | 이주현 | 2014.09.05 | 222 |
747 | 140904 소유와 존재 | 이주현 | 2014.09.04 | 301 |
746 | 140903 덧없는 인생살이 | 이주현 | 2014.09.03 | 258 |
745 | 140902 하느님 두려운 줄 알아라 | 이주현 | 2014.09.02 | 217 |
744 | 140830 하느님 앞에서 | 이주현 | 2014.08.30 | 237 |
743 | 140829 세 겹줄의 교훈 | 이주현 | 2014.08.29 | 223 |
742 | 140828 산 사람, 죽은 사람, 태어나지 않은 사람 | 이주현 | 2014.08.28 | 212 |
741 | 140827 사람과 짐승의 운명 | 이주현 | 2014.08.27 | 220 |
740 | 140826 축복과 은총의 일상성 | 이주현 | 2014.08.27 | 245 |
» | 140825 모든 일에 다 때가 있다 | 이주현 | 2014.08.25 | 224 |
738 | 140823 수고도 헛되다 | 이주현 | 2014.08.23 | 199 |
737 | 140822 슬기도 어리석음도 헛되다 | 이주현 | 2014.08.22 | 319 |
736 | 140821 즐거움도 헛되다 | 이주현 | 2014.08.21 | 301 |
735 | 140820 지혜도 헛되다 | 이주현 | 2014.08.20 | 301 |
734 | 140819 모든 것이 헛되다 | 이주현 | 2014.08.19 | 379 |
733 | 140818 유능한 아내 | 이주현 | 2014.08.18 | 293 |
732 | 140816 의로운 왕 | 이주현 | 2014.08.16 | 2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