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40717 지혜와 명철, 지식으로 지은 집

2014.07.17 22:00

이주현 조회 수:583

||0||0140717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잠언24:1-14
. 내     용: 지혜와 명철, 지식으로 지은 집
1. 집은 지혜와 명철, 지식으로 지어야 튼튼하고 아름답다.
2. 지혜 있는 사람은 힘과 기운이 센 사람이 된다. 그 지혜는 송이꿀처럼 달고 몸에 좋다.

. 묵상 말씀: “집은 지혜로 지어지고 명철로 튼튼해진다. 지식이 있어야, 방마다 온갖 귀하고 아름다운 보화가 가득 찬다”(잠24:3-4).
1. 지혜와 명철, 지식으로 지은 집
집을 지으려면 터(기초)가 튼튼해야 하고 재료가 좋아야 합니다. 그래서 성서에서는 모래 위가 아닌 반석 위에 집을 세울 것을 가르칩니다.(마7:24-29) 그렇습니다. 집을 지으려면 그렇게 기초가 튼튼해야 하고 좋은 재료를 써야합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우리 인생의 집을 지을 대 잡아야 할 터와 재료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바로 지혜입니다. 그리고 명철과 지식입니다. 지혜와 명철, 지식은 각각의 다른 뜻을 지니고 있는 명사어입니다. 한 마디로 그 차이를 규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서로 각각의 단어이지만 서로 서로 그 뜻이 중복되는 연관어(聯關語)이기도 합니다. 각기 담겨있는 뜻을 통해 서로의 뜻을 명확히 하고 풍성하게 하는 셈이지요. 결국 지혜와 명철, 지식은 하느님의 말씀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습니다. 그 말씀과 그 속에 담긴 뜻을 성찰하고 그것을 의지하려는 태도가 바로 지혜와 명철, 지식 속에 담긴 의미입니다. 그것이 인생의 집을 짓는데 있어서 튼튼한 기반이 될 수 있고, 자자손손 대대로 물려줄 수 있는 튼튼한 집이 된다는 것입니다.
2. 지혜와 지식의 힘
오늘 본문에서 가르치는 지혜와 지식은 하느님의 말씀과 하느님을 경외하는 태도에 대한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그 지혜와 지식은 양피지 냄새나는 철학이나 이념이 아닙니다. 우리의 삶 속에서 강한 능력이 된다는 사실을 지혜자는 가르치고 있습니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힘이 센 사람보다 더 강하고, 지식이 있는 사람은 기운이 센 사람보다 더 강하다”(5)고 했습니다. 믿음과 의지가 물리적인 힘을 능가한다는 뜻이지요. 왜 그럴까요? 사람은 이성적인 존재입니다. 물리적인 힘은 그 이성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게 마련이지요. 사람의 이성, 마음과 생각, 정신을 움직이는 게 바로 믿음의 영역인 셈입니다. 그 믿음은 삶의 본질을 파고드는 깊이가 있습니다. 믿음을 이길 이성이 없으며 그 믿음으로부터 비롯된 의지는 모든 두려움을 이겨내는 힘을 지니게 되는 것이지요.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감당하신 예수님이 보여주신 힘이 바로 그 힘입니다. 스데반 집사와 바울이 보여준 순교적인 사명과 역할이 바로 그런 힘으로부터 나온 것이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3 210209 거짓예언자와 교사의 정체 file 이주현 2021.02.09 26
1322 210301 하느님의 자녀 된 사람들(요일2;28~3:10) file 이주현 2021.03.01 26
1321 210429 보복하지 말라(마5:38-42) file 오목사 2021.04.29 26
1320 210619 참 안식(창2:1-3) file 이주현 2021.06.19 26
1319 210724 노아의 후손들(창10:1-32) file 이주현 2021.07.24 26
1318 210813 아브람과의 계약 갱신(창17:1-14) file 이주현 2021.08.13 26
1317 210908 용서를 모르는 악한 종(마18:21-35) file 오목사 2021.09.08 26
1316 211028 형, 에서와의 만남 준비(창32:1-21) file 이주현 2021.10.28 26
1315 211123 실현된 요셉의 꿈(창42:1-25) file 이주현 2021.11.23 26
1314 211220 하느님의 나라를 위하여(막1:14-20) file 오목사 2021.12.20 26
1313 220212 열 번째 재앙 예고(출11:1-10) file 이주현 2022.02.12 26
1312 220218 실현된 열 번째 재앙과 그 결과(출12:29-42) file 이주현 2022.02.18 26
1311 220614 하느님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출32:7-14) file 이주현 2022.06.14 26
1310 220714 병든 사람을 고치신 예수님(눅4:38-44) file 오목사 2022.07.14 26
1309 230124 하느님이 정하신 절기와 제사(민28:1-31) file 이주현 2023.01.24 26
1308 160920 하느님의 공정한 심판 lsugk 2016.09.20 27
1307 170211 우리의 병약함을 떠맡으시고, 질병을 짊어 지신 예수님. lsugk 2017.02.11 27
1306 170307 무감각한 세대를 향한 책망 lsugk 2017.03.08 27
1305 170330 잘못된 예배의 결과 [1] 이주현목사 2017.03.30 27
1304 170401 우리의 시선은 어디에 있는가? lsugk 2017.04.0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