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30907 하느님이 불편한 사람들

2013.09.07 06:16

이주현 조회 수:387

||0||0130907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시53:1-6
. 내     용: 하느님이 불편한 사람들
1. ‘하느님을 없다’고 하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은 바른 일을 하지 않는다.
2. 그런 사람들은 하느님 없는 곳에서도 하느님을 두려워할 것이다.

. 묵상 말씀: “그들은 두려움이 없는 곳에서도 크게 두려워할 것이다”(시53:5).
1. 불편한 하느님
하느님의 존재 유무를 따지는 일은 무의미한 일입니다. 아무리 과학이 발달했다고 하지만 이 세상의 최초의 물질과 그 기원을 설명하거나 검증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우주론적 증명 뿐 아니라 존재론적으로도 하느님을 부정하지 못합니다. 단지 하느님을 그 마음에 두기 싫어할 뿐이지요. 그래서 하느님이 만들어 놓으신 양심이 그를 불편하게 할 뿐입니다. “사람들이 하나님을 인정하기를 싫어하므로,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을 타락한 마음자리에 내버려 두셔서, 해서는 안 될 일을 하도록 놓아 두셨습니다”(롬1:28). 하느님을 인정하기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하느님의 존재와 계시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이미 그 마음이 닫혀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마음이 열린 사람에게는 온 세상이 하느님의 존재를 알리는 전령사(傳令使)로 보입니다. 한 송이 백합화와 하늘을 나는 한 마리 새에게서 하느님의 존재를 느끼며 노래할 수 있는 것이지요. 결국, 어리석은 사람에게 있어 하느님은 존재해서는 안 되는 불편한 분이 되는 것입니다. 엄연히 존재하는데 말입니다.  
2. 원초적인 두려움
그들에게 주어지는 것들은 두려움입니다. “그들은 두려움이 없는 곳에서도 크게 두려워할 것이다”(5)라고 했습니다. 두려움이 없는 곳, 두려워할 장소도 아니고 두려워할 내용도 아닌데 두려워한다는 뜻입니다. 왠지 모를 막연한 두려움. 머리에서는 두려워하지 않는데 무엇인지 모를 두려움이 삶 전체를 감싸오는 그런 막막함이랄까요? 자신은 최선을 다하고 살았지만 왠지 등 뒤가 허전하고 공허한, 그런 느낌 말입니다. 어쩌면 그것은 하느님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애써 무시하는, 그래서 하느님 없이 살고자 했던 사람들이 숙명적으로 안고 가야할 두려움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렇게 부정하면 할수록 하느님은 점점 더 가까이 다가오시는 분입니다. 두려움으로 말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존재를 기뻐하며 그 분을 의지하며 살았던 다윗은 달랐습니다. 부족함이 있지만 부족함을 모르고 지냈습니다. “주님은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어라”(시23:1)는 고백이 바로 그 내용입니다. 부족함이 오히려 감사의 조건이 되는 역설, 그것이 하느님을 인정하며 사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9 210703 가인의 반응(창4:1-7) file 이주현 2021.07.03 20
1508 210716 노아 홍수(창7:1-24) file 이주현 2021.07.16 20
1507 210902 하늘 백성의 자세(마18:1-9) file 오목사 2021.09.02 20
1506 211023 무엇이 중한가?(마23:13-24) file 오목사 2021.10.26 20
1505 211116 받아들이는 것이 믿음입니다.(마26:31-35) file 오목사 2021.11.17 20
1504 211204 요셉의 마지막 시험(창44:1-34) file 이주현 2021.12.04 20
1503 211225 고난당하는 백성들(출1:1-22) file 이주현 2021.12.25 20
1502 211227 하고자 하시면...(막1:40-45) file 오목사 2021.12.27 20
1501 220131 두려워하지 말고 믿으라(막5:35~43) file 오목사 2022.01.31 20
1500 220409 이웃에게 불리한 거짓증언(출20:16) file 이주현 2022.04.09 20
1499 220411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1) - 가상칠언 1언의 말씀(눅23:34) file 오목사 2022.04.11 20
1498 220716 나병 환자를 고치시다(눅5:12-16) file 오목사 2022.07.16 20
1497 220509 세 절기에 관한 법(출23:14-19) file 이주현 2022.05.09 20
1496 220517 떡 상과 등잔 대 규례(출25:23-40) file 이주현 2022.05.17 20
1495 221019 순종과 축복(레26:1-13) file 이주현 2022.10.19 20
1494 221026 서약 예물 규례(레27:1-29) file 이주현 2022.10.26 20
1493 230412 반드시 해야 할 일(신11:18-30) file 이주현 2023.04.12 20
1492 230524 첫 열매에 대한 규례(신26:1-19) file 이주현 2023.05.24 20
1491 230530 찾아오는 복(신28:1-14) file 이주현 2023.05.30 20
1490 230718 아이성 전투에서의 승리(수8:1-29) file 이주현 2023.07.1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