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30423 근거 있는 자신감

2013.04.23 05:42

이주현 조회 수:573

||0||0130423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욥기27:1-23
. 내     용: 세 친구에 대한 욥의 답변
1. 욥의 세 친구가 전해준 조언과 충고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답변을 하고 있음.
2. 자신의 의에 대한 의지를 언급함.(1-12)
3. 악인에 대한 종국적인 심판을 언급함.(13-23)

. 묵상 말씀: “나는 죽기까지 내 결백을 주장하겠다”(욥27:5).
1. 온전한 믿음
신앙인이 된다는 것은 하느님에 대한 자신의 신앙고백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러면 하느님에 대한 신앙고백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그것은 자신의 한계를 깨닫고 부족함을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거기서 하느님의 권능에 대한 신뢰와 절대적인 존재에 대한 경외심이 생기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거기서 끝나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것은 지나간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에 머물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에 대한 비전과 결단, 다짐이 있어야 합니다.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은 미래에 대한 보장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죽은 믿음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게 뭘까요? 오늘 본문에서 욥은 그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전의 욥이 보여준 자세는 자신의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신의 결백과 무죄함을 주장하였고 그것으로 끝났습니다. 그러나 오늘 본문에서는 미래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죽기까지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겠다”는 게 바로 그런 모습 아닐까요? 그게 바로 온전한 믿음일 것입니다.
2. 근거 있는 자신감
욥은 오늘 본문에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는데 있어 장래에도 그리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게 호흡이 남아있는 한...악한 말을 하지 않으며, 죽기까지 내 결백을 주장하겠다. 내 평생에 양심에 꺼림칙한 날은 없을 것이다’라고 말입니다. 지나간 과거에 대한 결백을 주장하는 것이라면 과거의 일이니 그렇구나, 할 것입니다만, 장래의 모습까지 그렇게 단호하게 의지를 보여준다는 것, 이는 예삿일이 아닙니다. 아직 도달하지 않은 미래의 일입니다. 과연 미래의 일에 대하여 그렇게 확신에 찬 결백을 주장 할 수 있는 걸까요? 그 근거는 무엇일까요? 근거 없이 외친 호기였을까요? 본문 후반부에서 욥은 악인의 심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현세에서의 삶은 혼란스럽지만 그러나 종말론적인 차원에서 악인은 반드시 심판을 당한다는 확신입니다. 욥의 주장이 호기가 아니라 그런 확신에서 온 결단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 셈입니다. “사람이 한 번 죽는 것은 정해진 일이요, 그 뒤에는 심판이 있습니다”(히9: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4 220416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6)- 제7언(눅23:46) file 이주현 2022.04.16 30
1603 220415 고난주간특별새벽기도회(5)-제 6언(요19:30) file 이주현 2022.04.15 22
1602 220414 고난주간 특별 새벽 기도회(4)-가상칠언 4,5언(마27:46; 요19:28) file 이주현 2022.04.14 45
1601 220413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3) - 가상칠언 3언의 말씀(요19:26-27) file 오목사 2022.04.13 32
1600 220412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2) - 가상칠언 2언의 말씀(눅23:43) file 오목사 2022.04.12 29
1599 220411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1) - 가상칠언 1언의 말씀(눅23:34) file 오목사 2022.04.11 20
1598 220409 이웃에게 불리한 거짓증언(출20:16) file 이주현 2022.04.09 20
1597 220408 도둑질하지 못한다(출20:15) file 이주현 2022.04.08 17
1596 220407 간음하지 못핟다(출20:14) file 이주현 2022.04.07 15
1595 220406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막12:13~17) file 오목사 2022.04.07 29
1594 220405 불의한 농부 비유(막12:1~12) file 오목사 2022.04.07 33
1593 220404 무슨 권한으로...(막11:27~33) file 오목사 2022.04.07 5
1592 220402 살인하지 못한다(출20:13) file 이주현 2022.04.02 21
1591 220401 부모공경 계명(출20:12) file 이주현 2022.04.01 14
1590 220331 안식일 계명(출20:8-11) file 이주현 2022.03.31 17
1589 220328 예루살렘에 입성(막11:1-11) file 오목사 2022.03.28 24
1588 220326 함부로 부를 수 없는 이름(출20:7) file 이주현 2022.03.26 15
1587 220325 오직 한 분, 우리 하느님(출20:3-6) file 이주현 2022.03.25 14
1586 220324 참된 자유를 위하여(출20:1-2) file 이주현 2022.03.24 19
1585 220323 바디매오가 고침을 받다(막10:46~52) file 오목사 2022.03.2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