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30417 무지와 억지, 그리고 고집

2013.04.17 05:40

이주현 조회 수:621

||0||0130417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욥기22:1-30
. 내     용: 엘리바스의 세 번째 조언
1. 욥이 잃은 모든 것이 권세를 이용하여 탈취한 것으로 규정하며 악인으로 취급함.(1-11)
2. 그러한 악인에 대한 심판과 의인에 대한 하느님의 보응 언급.(12-20)
3. 회개하면 하느님이 회복시켜 주실 것을 언급.(21-30)  

. 묵상 말씀: “네 죄가 많고 네 죄악이 끝이 없으니, 그러한 것 아니냐?”(욥22:5).
1. 무지와 억지와 고집
성서에서 가르치는 최고의 가치와 덕목은 사랑과 겸손입니다. 사랑을 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라고 한다면, 겸손은 그 사랑을 위한 전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겸손함 없이 사랑이라는 가치를 소유도 할 수 없고 실천해 나갈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 겸손은 자신의 한계와 부족함을 인식하는데서 시작합니다. 결국, 자신의 부족함으로 인식하는 것이 하느님을 만나는 첫 번째 관문이 되는 셈입니다. 베드로의 고백처럼 말입니다. "주님, 나에게서 떠나 주십시오. 나는 죄인입니다"(눅5:8).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절대자와의 만남, 거기서 회개와 신앙고백이 이뤄지는 것이지요. 그러한 자신의 한계와 부족함을 깨닫지 못하고 사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현상들은 바로 무지와 억지, 고집입니다. 오늘 본문 엘리바스의 조언을 보면 그런 모습들이 나타납니다. 이렇게 단정하는 것도 엘리바스가 범하는 오류일수도 있겠습니다만, 하느님의 자비와 긍휼을 체험한 사람이라면 도저히 그러할 수 없는 말들이 난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 매도(賣渡)
그러한 무지와 억지, 고집을 지닌 사람들이 범하는 오류가 바로 매도입니다. 자신의 기준과 잣대로 모든 것을 단정하고 규정하는 것이지요. 하느님의 이름을 부리기는 하지만 이미 그는 하느님의 자리를 꿰차고 있는 것입니다. 하느님 자리를 꿰찬 엘리바스가 상처투성이가 된 욥에게 근엄하게 꾸짖는 모습, 그게 오늘 본문에 나타나고 있는 전반적인 풍경입니다. ‘친족의 재산을 압류하고, 권세를 이용하여 땅을 차지했다’고 야단을 칩니다. 하지도 않은 말을 한 것처럼 억지를 부립니다. 욥이 하느님을 “하늘에서만 왔다 갔다 하시는 분”(13-14)으로 말 한 적이 없습니다. 하느님의 축복과 은총을 단지 의인에게만 베푸는 시혜적이고 특혜인 양 왜곡시키면서, 욥의 회개와 각성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고통을 당하고 있다고 죄인 취급하며 아예 사람으로 대접을 포기한 모습입니다. 조금 있으면 아예 매질이라고 할 기세입니다. 이건 사랑도 아니고 믿음도 아닙니다. 이것은 만용이며 폭력입니다. 사람을 매도해서는 안 됩니다. 물건이 아니라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4 220416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6)- 제7언(눅23:46) file 이주현 2022.04.16 30
1603 220415 고난주간특별새벽기도회(5)-제 6언(요19:30) file 이주현 2022.04.15 22
1602 220414 고난주간 특별 새벽 기도회(4)-가상칠언 4,5언(마27:46; 요19:28) file 이주현 2022.04.14 45
1601 220413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3) - 가상칠언 3언의 말씀(요19:26-27) file 오목사 2022.04.13 32
1600 220412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2) - 가상칠언 2언의 말씀(눅23:43) file 오목사 2022.04.12 29
1599 220411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1) - 가상칠언 1언의 말씀(눅23:34) file 오목사 2022.04.11 20
1598 220409 이웃에게 불리한 거짓증언(출20:16) file 이주현 2022.04.09 20
1597 220408 도둑질하지 못한다(출20:15) file 이주현 2022.04.08 17
1596 220407 간음하지 못핟다(출20:14) file 이주현 2022.04.07 15
1595 220406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막12:13~17) file 오목사 2022.04.07 29
1594 220405 불의한 농부 비유(막12:1~12) file 오목사 2022.04.07 33
1593 220404 무슨 권한으로...(막11:27~33) file 오목사 2022.04.07 5
1592 220402 살인하지 못한다(출20:13) file 이주현 2022.04.02 21
1591 220401 부모공경 계명(출20:12) file 이주현 2022.04.01 14
1590 220331 안식일 계명(출20:8-11) file 이주현 2022.03.31 17
1589 220328 예루살렘에 입성(막11:1-11) file 오목사 2022.03.28 24
1588 220326 함부로 부를 수 없는 이름(출20:7) file 이주현 2022.03.26 15
1587 220325 오직 한 분, 우리 하느님(출20:3-6) file 이주현 2022.03.25 14
1586 220324 참된 자유를 위하여(출20:1-2) file 이주현 2022.03.24 19
1585 220323 바디매오가 고침을 받다(막10:46~52) file 오목사 2022.03.2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