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1129 성전 문을 연 히스기야

2012.11.29 06:44

이주현 조회 수:646

||0||0121129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역대지하29:1-17
. 내     용: 히스기야의 성전 정화
1. 아버지 아하스가 죽고 히스기야가 왕위에 오르자 제일 먼저 아버지가 폐쇄한 성전 문을 열고 성전을 정화함.
2. 성전을 정결하게 하는 일을 총 16일 동안 함.

. 묵상 말씀: “그는 왕이 되던 그 첫 해 첫째 달에, 닫혔던 주님의 성전 문들을 다시 열고 수리하였다”(대하29:3).
1. 폐쇄된 성전 문을 연 히스기야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유전적 혈통을 속일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고 곁에서 보고 듣고 배운 대로 행할 수 밖에 없는 인간의 모습을 빗대어 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오늘 본문의 히스기야는 그러한 격언이 틀릴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가르쳐 줍니다. 아하스는 왕위에 오르는 순간부터 자신의 아들까지 제물로 바치는 우상 숭배에 빠진 왕이었습니다. 세상을 떠날 때 즈음에는 자신과 유다를 친 앗시리아의 신을 섬겼던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히스기야는 달랐습니다. 왕이 되면서 제일 먼저 한 일이 폐쇄된 성전 문을 여는 일이었으며 더럽혀지고 파손된 성전을 수리하고 정화하는 일이었습니다. 시궁창에서 핀 꽃과 같이 히스기야는 그렇게 별났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습니다만, 그 어머니 아비야의 역할이 크지 않았나 싶습니다. 히스기야의 증조부 웃시야 왕을 지도하며 하느님을 경외하도록 지도했던 스가랴의 딸이었기 때문입니다.
2. 열린 신앙의 문
히스기야가 왕이 되면서 제일 먼저 성전 문을 연 것은 하느님과의 관계회복이 유다와 예루살렘이 살 길임일 알았기 때문입니다. 언약 백성으로 해서는 안 될 우상 숭배에 빠지면서 유다와 예루살렘은 어긋나기 시작했음을 직시한 것입니다. 나라의 안팎을 돌보는 일도 중요하지만 하느님과의 관계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성전 정화작업을 시작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히스기야는 할아버지와 아버지 대까지 이어 내려온 우상 숭배의 그늘에서 벗어나 유다 왕국을 신앙으로 바로세우는 왕으로 이름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어긋난 삶을 바로 세우고 상처 난 민족을 치유하는 길은 신앙을 바로 세우는 길 임을 오늘 본문은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 말씀을 직접 전해들었던 최초의 독자들인 바벨론 포로귀환자들은 그런 생각이 절실했을 겁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도 다르지 않습니다. 성전 문을 열 듯이 신앙의 문이 열리고 하느님과의 관계가 회복될 때 우리 인생의 문도 열릴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04 201214 말에 실수가 없도록 하라 file 이주현 2020.12.14 16
1703 201221 하느님의 법을 대하는 태도 file 이주현 2020.12.23 16
1702 201229 복음 전파를 위하여 file 오목사 2020.12.31 16
1701 210129 복음의 능력 file 오목사 2021.01.29 16
1700 210313 인도하시는 하느님(행27:1-8) file 오목사 2021.03.13 16
1699 210901 믿음으로 나아가라(마17:14-27) file 오목사 2021.09.02 16
1698 211022 낮추는 사람이 큰 사람(마23:1-12) file 오목사 2021.10.26 16
1697 220219 절기를 제정하신 하느님(출12:43-13:16) file 이주현 2022.02.19 16
1696 220301 예수님은 누구인가? (막8:27~30) file 오목사 2022.03.02 16
1695 220310 만나를 통해 주신 교훈(출16:17-36) file 이주현 2022.03.10 16
1694 220504 안식년과 인식일에 관한 법(출23:10-13) file 이주현 2022.05.04 16
1693 220601 속죄 제물과 매일 드리는 번제(출29:35-46) file 이주현 2022.06.01 16
1692 220620 모세의 중보 기도(출32:25-35) file 이주현 2022.06.20 16
1691 221012 안식년과 희년 규례(레25:1-13) file 이주현 2022.10.12 16
1690 221109 레위 자손의 역할 분담(민4:1-49) file 이주현 2022.11.09 16
1689 230307 십계명 원리와 교훈(신5:1-22) file 이주현 2023.03.07 16
1688 230321 주님을 기억하고 시험치 말라(신6:10-25) file 이주현 2023.03.21 16
1687 230509 도피성과 경계선(신19:1-21) file 이주현 2023.05.09 16
1686 230517 다양한 문화와 규례들(신23:1-25) file 이주현 2023.05.17 16
1685 230531 불순종하여 받는 저주(신28:15-68) file 이주현 2023.05.3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