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927 다윗의 찬양과 간구 제목

2012.09.27 06:19

이주현 조회 수:679

||0||0120927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역대지상29:10-30
. 내     용: 다윗의 찬양과 기도 그리고 제사
1. 역대기상 말씀이 마무리되는 본문으로 온 회중 앞에서 찬양과 기도, 제사를 지내는 모습이 기록.
2. 만물의 주인이 되시고 기쁜 마음으로 비칠 힘을 주신 것에 대하여 찬양 드리고, 그런 마음(정직한 마음)이 언제까지고 계속되기를 간구함.
3. 다윗으로부터 솔로몬이 왕위를 물려받았고, 솔로몬은 이전의 어떤 왕도 누리지 못한 영화를 누림.

. 묵상 말씀: "제가 무엇이며, 저의 백성이 무엇이기에, 우리가 이렇듯이 기쁜 마음으로 바칠 힘을 주셨습니까?"(대상29:14).
1. 찬양의 이유
찬양은 인간이 하느님께 드릴 수 있는 최고의 제사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다윗은 온 회중 앞에서 주님을 찬양했다고 했습니다. 그 찬양의 제목과 이유가 참 마음에 와 닿습니다. 위대함과 능력과 영광과 승리가 주님의 것이라고 했습니다. 부와 존귀가 주님으로부터 나온다고 고백했습니다. 인간이 이 땅에서 누리는 모든 것이 다 주님으로부터 나온다는 고백입니다. 우리가 주님을 찬양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그런 성찰과 믿음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내가 가진 모든 것, 내가 누리는 모든 게 다 하느님으로부터 나온 것이라는 믿음을 가진다면, 누구나 다 찬양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을 것입니다. 뭐든지 근원과 본질을 깨닫는 게 중요합니다. 다윗과 백성들이 기꺼이 하느님께 바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런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우리가 주님의 손에서 받은 것을 주님께 바쳤을 뿐입니다"(14) 주님의 것을 주님께 드리는 자의 기쁨과 고백, 그게 다윗의 찬양 이유였고 제목이었습니다.
2. 정직한 마음
찬양에 이어 18절 부터는 다윗의 기도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제일먼저 등장하는 기도 제목이 마음에 와 닿습니다. "주님의 백성이 마음 가운데 품은 이러한 생각이 언제나 계속되도록 지켜 주시고"(18)라고 했습니다. 이러한 생각이 무엇일까요? 다윗이 생각하기에 하느님 앞에서 가져야 할 인간의 마음 자세일 것입니다. 가장 바람직한 자세, 그것을 다윗은 간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바른 자세에서 바른 신앙이 나오는 법입니다. 자세가 잘 못되면 만병의 근원이 되듯, 건강한 신앙생활을 위해서는 바른 자세가 필요한 법입니다. 그 바른 자세를 본문 17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주님의 백성이 주님께 기꺼이 바치는 것을 보니, 저도 마음이 기쁩니다"라고 했습니다. 주의 성전 건축을 위해 기꺼이 물질을 바치고 기뻐하는 모습(대상29:9)을 두고 한 말입니다. 그것을 두고 다윗은 "정직한 마음"(17)이라고 했습니다. 그런 정직한 마음을 하느님은 기뻐하신다고 했습니다. 나도 기쁘고 하느님도 기뻐하시는 것, 그게 정직한 마음이요, 바른 신앙을 위한 바른 자세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64 201209 소용 없는 믿음 file 이주현 2020.12.09 17
1663 210215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부정하는 자들(벧후3:1-7) file 이주현 2021.02.15 17
1662 210216 잊지 말아야야 할 것(벧후3:8-18) file 이주현 2021.02.17 17
1661 210220 당당히 나아가십시오. file 오목사 2021.02.20 17
1660 210303 사랑의 선물들(요일3:19-24) file 이주현 2021.03.03 17
1659 210423 분노를 다스리고, 화해해야 합니다. file 오목사 2021.04.23 17
1658 210728 최고의 가치(마13:44-53) file 오목사 2021.07.28 17
1657 211103 열 처녀의 비유(마25:1-13) file 오목사 2021.11.03 17
1656 211228 네 죄가 용서 받았다(막2:1-12) file 오목사 2021.12.28 17
1655 220331 안식일 계명(출20:8-11) file 이주현 2022.03.31 17
1654 220408 도둑질하지 못한다(출20:15) file 이주현 2022.04.08 17
1653 220430 배상에 관한 법(출22:1-15) file 이주현 2022.04.30 17
1652 220503 정의와 복지에 관한 법(출23:1-9) file 이주현 2022.05.03 17
1651 220511 시내 산에서 맺은 언약(출24:1-18) file 이주현 2022.05.11 17
1650 220718 주님께서 명하신 대로(출40:1-38) file 이주현 2022.07.18 17
1649 220801 속죄제사-제물보다 마음(레5:1-13) file 이주현 2022.08.01 17
1648 221010 성소 등불과 과자 제물(레24:1-9) file 이주현 2022.10.10 17
1647 221020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들을 향한 책망(눅11:37-54) file 오목사 2022.10.21 17
1646 221022 재물을 대하는 바른 태도(눅12:13-21) file 오목사 2022.10.23 17
1645 221031 십일조 규례(레27:30-34) file 이주현 2022.10.3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