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921 군대 조직과 행정 조직
2012.09.21 06:50
||0||0120921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역대지상27:1-24
. 내 용: 이스라엘의 상비군 조직과 각 지파 영도자 소개
1. 한 해에 한 달씩 돌아가며 왕궁을 지키는 상비군을 조직함.
2. 총 12 갈래로 나누고 한 달씩 돌아가며 근무하게 하였고, 한 갈래의 수는 24,000명이었음.
3. 16절부터는 이스라엘 12지파의 영도자들을 소개함.
. 묵상 말씀: "그들은 한 해에 한 달씩 번갈아 가며 근무를 하였는데, 한 갈래는 이만 사천 명이다.
1. 이스라엘의 진정한 왕
다윗은 성전과 일반 행정 조직을 하면서 이스라엘이 강국으로 면모를 갖추도록 하였습니다. 오늘 본문은 예루살렘과 왕궁을 호위하는 상비군 조직으로 이들은 말이 상비군이지 실질적으로 한 달씩 돌아가며 근무하는 당번제 군인들이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한 나라를 유지하기 위해 군대조직은 필수요소입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조직의 근간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이 조직에 앞서 성전 운영과 관리를 위한 조직을 먼저 완수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스라엘의 진정한 왕은 다윗 자신이 아니라 하느님이라는 사실을 고백하는 모습 아닐까요? 그러한 고백이 말과 생각에 머무는 게 아니라 그의 통치 행위에서 드러난 셈입니다. 하느님을 '主님'으로 부르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주는 의미가 참 크다고 생각합니다.
2. 이스라엘을 지키시는 이
다윗이 이스라엘을 통치하던 당시 이스라엘의 영토는 이스라엘 역사 상 최고였습니다. 북으로는 시리아와 동으로는 요단 너머 암모노가 모압을, 남으로는 아말렉과 에돔까지 다스렸습니다. 그만한 영토를 다스리려면 꽤 많은 군대가 필요했을 텐데, 오늘 본문의 상비군 숫자를 보면 그런 차원에서 의외입니다. 24,000명, 그것도 몇 달 동안 상주하는 것도 아닌 한 달 동안 당번제로 운영하는 군인의 숫자였습니다. 물론 비상시에는 각 지파 동맹을 통해 더 많은 군대를 조직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아무리 그러해도 24,000명은 적다는 생각을 떨치기 힘듭니다. 나라의 치안까지 책임져야 할 군인의 숫자치고는 말입니다. 결국 다윗은 군대를 의지한 게 아니라 하느님을 의지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새삼 믿음으로 산다는 게 무슨 뜻인지 다윗의 삶을 통해 깨닫게 됩니다.
. 읽은 말씀: 역대지상27:1-24
. 내 용: 이스라엘의 상비군 조직과 각 지파 영도자 소개
1. 한 해에 한 달씩 돌아가며 왕궁을 지키는 상비군을 조직함.
2. 총 12 갈래로 나누고 한 달씩 돌아가며 근무하게 하였고, 한 갈래의 수는 24,000명이었음.
3. 16절부터는 이스라엘 12지파의 영도자들을 소개함.
. 묵상 말씀: "그들은 한 해에 한 달씩 번갈아 가며 근무를 하였는데, 한 갈래는 이만 사천 명이다.
1. 이스라엘의 진정한 왕
다윗은 성전과 일반 행정 조직을 하면서 이스라엘이 강국으로 면모를 갖추도록 하였습니다. 오늘 본문은 예루살렘과 왕궁을 호위하는 상비군 조직으로 이들은 말이 상비군이지 실질적으로 한 달씩 돌아가며 근무하는 당번제 군인들이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한 나라를 유지하기 위해 군대조직은 필수요소입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조직의 근간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이 조직에 앞서 성전 운영과 관리를 위한 조직을 먼저 완수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스라엘의 진정한 왕은 다윗 자신이 아니라 하느님이라는 사실을 고백하는 모습 아닐까요? 그러한 고백이 말과 생각에 머무는 게 아니라 그의 통치 행위에서 드러난 셈입니다. 하느님을 '主님'으로 부르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주는 의미가 참 크다고 생각합니다.
2. 이스라엘을 지키시는 이
다윗이 이스라엘을 통치하던 당시 이스라엘의 영토는 이스라엘 역사 상 최고였습니다. 북으로는 시리아와 동으로는 요단 너머 암모노가 모압을, 남으로는 아말렉과 에돔까지 다스렸습니다. 그만한 영토를 다스리려면 꽤 많은 군대가 필요했을 텐데, 오늘 본문의 상비군 숫자를 보면 그런 차원에서 의외입니다. 24,000명, 그것도 몇 달 동안 상주하는 것도 아닌 한 달 동안 당번제로 운영하는 군인의 숫자였습니다. 물론 비상시에는 각 지파 동맹을 통해 더 많은 군대를 조직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아무리 그러해도 24,000명은 적다는 생각을 떨치기 힘듭니다. 나라의 치안까지 책임져야 할 군인의 숫자치고는 말입니다. 결국 다윗은 군대를 의지한 게 아니라 하느님을 의지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새삼 믿음으로 산다는 게 무슨 뜻인지 다윗의 삶을 통해 깨닫게 됩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91 | 120925 솔로몬에게 남긴 다윗의 유언 | 이주현 | 2012.09.25 | 688 |
290 | 120924 백성들에게 남긴 다윗의 유언 | 이주현 | 2012.09.24 | 679 |
289 | 120922 왕실 재정 관리와 고문단 조직 | 이주현 | 2012.09.22 | 714 |
» | 120921 군대 조직과 행정 조직 | 이주현 | 2012.09.21 | 713 |
287 | 120920 곳간 관리인 조직 | 이주현 | 2012.09.20 | 803 |
286 | 120919 성전 문지기 조직 | 이주현 | 2012.09.19 | 917 |
285 | 120918 성전 찬양대 조직 | 이주현 | 2012.09.18 | 719 |
284 | 120917 제비뽑기로 순번 정하기 | 이주현 | 2012.09.17 | 765 |
283 | 120915 성전 관리를 위한 조직 | 이주현 | 2012.09.15 | 692 |
282 | 120914 성전건축 준비만 한 다윗 | 이주현 | 2012.09.14 | 707 |
281 | 120913 벌 받는 다윗의 태도 | 이주현 | 2012.09.13 | 731 |
280 | 120912 다윗의 인구 조사 | 이주현 | 2012.09.12 | 710 |
279 | 120910 암몬과 불레셋 거인을 물리친 다윗 | 이주현 | 2012.09.10 | 717 |
278 | 120908 대비되는 다윗과 하눈의 지도력 | 이주현 | 2012.09.08 | 808 |
277 | 120907 다윗과 전쟁 | 이주현 | 2012.09.07 | 709 |
276 | 120906 다윗의 감사기도 | 이주현 | 2012.09.06 | 751 |
275 | 120905 축복의 종합세트 | 이주현 | 2012.09.05 | 671 |
274 | 120904 다윗의 언약궤 마무리 | 이주현 | 2012.09.04 | 783 |
273 | 120901 다윗의 찬송시 | 이주현 | 2012.09.01 | 685 |
272 | 120831 축제와 그늘 | 이주현 | 2012.08.31 | 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