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802 악행 본받기
2012.08.02 06:48
||0||0120802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하 21:19-26
. 내 용: 유다 아몬 왕의 행적
1. 아버지 므낫세의 악행을 그대로 물려받은 아몬.
2. 결국 신하들에 의해 살해당했고, 왕을 죽인 신하들은 다시 그 땅의 백성들에게 살해당함.
3. 아몬의 아들 요시아가 16대 왕에 오름.
. 묵상 말씀: "그리고 조상 때부터 섬긴 주 하느님을 잊어버리고, 주님의 길을 따르지 아니하였다"(왕하21:22).
1. 악행 본받기
아몬 왕은 아버지 므낫세와 마찬가지로 악한 왕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가 어떻게 악한 왕이 되었는지 오늘본문은 잘 전해주고 있습니다. 므낫세의 악행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모습입니다. "아버지 므낫세처럼 주님 보시기에 악한 일을 하였고"(20), "그의 아버지가 걸어간 길을 모두 본받았으며 그의 아버지가 섬긴 우상을 받들며 경배하였다"(21). 선행은 물려받기 어려워도 악행은 쉬운 모양입니다. 물론 자녀의 행위에 대하여 부모의 책임한계를 짓는 일은 매우 어렵고 조심스러운 일입니다. 히스기야 밑에서 므낫세가 나왔고 아몬 밑에서 요시야가 나왔으니 말입니다. 중요한 건 그러한 정신적 유산이 언젠가는 열매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후손들에게 말입니다.
2. 다윗 왕조에 대한 충성
다윗 왕조에 대한 유다 백성들의 충성은 대단합니다. 몇 차례의 위기가 있었습니다만, 북 이스라엘과는 달리 유다는 다윗 왕조를 계속 유지했습니다. 신기한 것은 왕이 살해를 당해도 그 아들이 왕이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왕의 자리란 왕을 살해한 신하들이 욕심을 낼만 한 자리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시도하지 못한 것은 다윗 왕조에 대한 백성들의 충성 분위기 때문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아몬 왕이 된 지 2년 만에 살해를 당했지만 그 신하들을 일단의 백성들이 살해를 했다고 했습니다. 아마도 후임 왕위와 관련, 백성들의 뜻과 맞지 않아 그리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본문에 명시된 "그 땅의 백성들"이란 바로 다윗 왕조에 대한 절대적 신뢰를 보내는 유다의 분위기를 대변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윗의 정신적 유산이 수백 년에 걸쳐 이어지고 있음을 봅니다.
. 읽은 말씀: 열왕기하 21:19-26
. 내 용: 유다 아몬 왕의 행적
1. 아버지 므낫세의 악행을 그대로 물려받은 아몬.
2. 결국 신하들에 의해 살해당했고, 왕을 죽인 신하들은 다시 그 땅의 백성들에게 살해당함.
3. 아몬의 아들 요시아가 16대 왕에 오름.
. 묵상 말씀: "그리고 조상 때부터 섬긴 주 하느님을 잊어버리고, 주님의 길을 따르지 아니하였다"(왕하21:22).
1. 악행 본받기
아몬 왕은 아버지 므낫세와 마찬가지로 악한 왕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가 어떻게 악한 왕이 되었는지 오늘본문은 잘 전해주고 있습니다. 므낫세의 악행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모습입니다. "아버지 므낫세처럼 주님 보시기에 악한 일을 하였고"(20), "그의 아버지가 걸어간 길을 모두 본받았으며 그의 아버지가 섬긴 우상을 받들며 경배하였다"(21). 선행은 물려받기 어려워도 악행은 쉬운 모양입니다. 물론 자녀의 행위에 대하여 부모의 책임한계를 짓는 일은 매우 어렵고 조심스러운 일입니다. 히스기야 밑에서 므낫세가 나왔고 아몬 밑에서 요시야가 나왔으니 말입니다. 중요한 건 그러한 정신적 유산이 언젠가는 열매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후손들에게 말입니다.
2. 다윗 왕조에 대한 충성
다윗 왕조에 대한 유다 백성들의 충성은 대단합니다. 몇 차례의 위기가 있었습니다만, 북 이스라엘과는 달리 유다는 다윗 왕조를 계속 유지했습니다. 신기한 것은 왕이 살해를 당해도 그 아들이 왕이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왕의 자리란 왕을 살해한 신하들이 욕심을 낼만 한 자리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시도하지 못한 것은 다윗 왕조에 대한 백성들의 충성 분위기 때문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아몬 왕이 된 지 2년 만에 살해를 당했지만 그 신하들을 일단의 백성들이 살해를 했다고 했습니다. 아마도 후임 왕위와 관련, 백성들의 뜻과 맞지 않아 그리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본문에 명시된 "그 땅의 백성들"이란 바로 다윗 왕조에 대한 절대적 신뢰를 보내는 유다의 분위기를 대변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윗의 정신적 유산이 수백 년에 걸쳐 이어지고 있음을 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71 | 120830 법을 지키는 다윗 | 이주현 | 2012.08.30 | 701 |
270 | 120829 다윗의 믿음과 승리 | 이주현 | 2012.08.29 | 689 |
269 | 120827 언약궤를 옮기는 다윗 | 이주현 | 2012.08.27 | 700 |
268 | 120825 다윗의 용사들 | 이주현 | 2012.08.25 | 713 |
267 | 120824 높은 산, 높은 인격 | 이주현 | 2012.08.24 | 722 |
266 | 120823 다윗의 지도력 | 이주현 | 2012.08.23 | 822 |
265 | 120822 생략된 다윗의 기록들 | 이주현 | 2012.08.22 | 700 |
264 | 120821 하느님의 지도 | 이주현 | 2012.08.21 | 748 |
263 | 120818 좀 지루한 족보 | 이주현 | 2012.08.18 | 723 |
262 | 120817 뜻하지 않은 은혜 | 이주현 | 2012.08.17 | 744 |
261 | 120816 불타는 예루살렘 성전 | 이주현 | 2012.08.16 | 813 |
260 | 120815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 | 이주현 | 2012.08.15 | 857 |
259 | 120814 성전그릇 깨뜨리시는 하느님 | 이주현 | 2012.08.14 | 760 |
258 | 120813 므낫세의 그 죄 | 이주현 | 2012.08.13 | 922 |
257 | 120811 요시야의 두 아들 | 이주현 | 2012.08.11 | 831 |
256 | 120810 요시야 종교개혁의 완성 | 이주현 | 2012.08.10 | 706 |
255 | 120806 요시야의 종교개혁 | 이주현 | 2012.08.06 | 824 |
254 | 120804 여 선지자 훌다의 예언 [1] | 이주현 | 2012.08.04 | 1201 |
253 | 120803 여덟 살 요시야 왕의 기이한 행적들 | 이주현 | 2012.08.03 | 774 |
» | 120802 악행 본받기 | 이주현 | 2012.08.02 | 7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