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524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1차 전쟁

2012.05.24 06:31

이주현 조회 수:837

||0||0120524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20:1-22
. 내     용: 시리아와 북 이스라엘의 1차 전쟁
1. 시리아의 벤하닷이 북 이스라엘의 아합 왕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자 거절하였고, 이로 인하여 전쟁을 하게 됨.
2. 지방장관의 젊은 부하들을 앞세우라고 왕이 친히 지휘를 하라는 예언자의 말대로 아합은 따랐고 7,000여 명의 군대로 벤하닷의 시리아 군대에 승리를 거둠.

. 묵상 말씀: "내가 오늘 그들을 네 손에 넘겨 줄 것이니, 너는 내가 주인 줄 알게 될 것이다"(왕상20:13).
1. 벤하닷의 무리한 요구
당시 북이스라엘을 넘보던 시리아의 위세가 대단했지만, 한 나라의 왕의 왕비와 자녀들을 자기에게로 보내라고 한 것은 도가 지나친 처사였습니다. 이는 자신의 종에게도 할 수없는 무례함이요 억지일터입니다. 결국 벤하닷은 그 일로 인하여 북 이스라엘과 전쟁을 하게 되었고 패배를 맛보게 되었습니다. 벤하닷의 패배원인은 벤하닷의 도가 넘는 무례한 요구가 아합과 북 이스라엘을 단결하게 만들었고 벤하닷의 악행으로 인해 하느님의 도우심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전쟁을 하기로 한 다음, 하느님은 한 예언자를 아합에게 보내어 전쟁에서 승리를 약속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전장에서의 대열 구성과 지휘라인까지 가르쳐 주셨던 것입니다.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명분입니다. 목숨을 걸고 싸워서 지켜야 할 명분입니다. 무례한 요구를 받은 이스라엘은 그 명분이 명확했고 시리아의 벤하닷은 그렇질 못했습니다. 이미 이 싸움은 명분에서 진 것입니다.
2. 아합의 승리가 주는 의미
성서기자의 표현대로 아합은 북 이스라엘 역대 왕 가운데 가장 악한 왕 중 한 사람입니다. 왕이 이세벨과 함께 곳곳에 산당을 짓고 아세라 목상을 만들어 백성들로 하여금 우상을 섬기게 한 장본인입니다. 갈멜 산에서 엘리야가 보여준 놀라운 역사를 보고도 그는 돌이키질 못했습니다. 그만큼 그의 죄악은 뿌리가 깊었고 그의 본성은 타락해 있었다는 증거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예언자를 보내셔서 시리아의 벤하닷 군대를 이합의 손에 넘겨주겠다는 말씀을 주셨습니다. 악한 왕에게도 하느님은 자비는 여전한 것인가, 라는 의문이 듭니다. 그렇습니다. 아합 왕과 이스라엘의 타락은 사실이지만, 아브라함과 이삭 야곱에 이어 다윗에게까지 이어지는 하느님의 약속 계보는 북 이스라엘까지 여전히 유효하다는 하느님의 메시지 아닐까요? 북 이스라엘은 우상을 섬김으로 하느님을 벗어났지만, 여전히 하느님의 통치 아래 머물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하느님의 통치와 섭리를 벗어날 수없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고 아합은 그때라도 돌아왔어야 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3 230327 이유 있는 광야 생활(신8:1-10) file 이주현 2023.03.27 19
1842 230322 하느님의 선택과 그 이유(신7:1-11) file 이주현 2023.03.22 19
1841 230321 주님을 기억하고 시험치 말라(신6:10-25) file 이주현 2023.03.21 16
1840 230320 쉐마- 하느님 사랑과 명령(신6:1-9) file 이주현 2023.03.20 12
1839 230313 하느님을 마주한 백성들의 심정(신5:23-33) file 이주현 2023.03.19 12
1838 230307 십계명 원리와 교훈(신5:1-22) file 이주현 2023.03.07 16
1837 230306 하느님의 존재와 소통 방식(신4:15-49) file 이주현 2023.03.06 12
1836 230306 하느님의 존재와 소통 방식(신4:15-49) 이주현 2023.03.06 12
1835 230301 슬기롭고 위대한 민족(신4:1-14) file 이주현 2023.03.01 11
1834 230228 비스가 산에서 드린 모세의 기도(신3:23-29) file 이주현 2023.02.28 12
1833 230227 추가된 요단 동편 땅과 경계(신3:1-22) file 이주현 2023.02.27 17
1832 230225 가나의 혼인잔치(요2:1-12) file 오목사 2023.02.26 4
1831 230224 예수님의 제자들(요1:35-51) file 오목사 2023.02.26 5
1830 230223 세례 요한과 예수님(요1:19-34) file 오목사 2023.02.26 3
1829 230222 시혼과의 전쟁(신2:26-37) file 이주현 2023.02.22 36
1828 230221 다시 가나안을 향해(신2:1-25) file 이주현 2023.02.21 23
1827 230220 가데스바네아의 비극(신1:34-45) file 이주현 2023.02.20 15
1826 230218 말씀으로 오신 예수님(요1:1-18) file 오목사 2023.02.19 3
1825 230217 예수님의 마지막 부탁(눅24:36-53) file 오목사 2023.02.19 7
1824 230216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눅24:13-35) file 오목사 2023.02.1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