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514 북 이스라엘 왕, 나답과 바아사

2012.05.14 06:39

이주현 조회 수:861

||0||0120514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15:25-16:7
. 내     용: 북 이스라엘 왕, 나답과  바아사
1. 여로보암이 죽고 그 아들 나답이 뒤를 이었으나 잇사갈 가문의 아히야 아들, 바아사가   나답을 죽이고 왕이 됨.
2. 둘 다 모두 하느님 보시기에 악한 일을 하고 이스라엘이 죄를 짓게 함.
3. 바아사는 예후에 의해 심판 예언을 전해 듣게 됨.

. 묵상 말씀: "그는 주님께서 보시기에 악한 일을 하였다"(왕상15:26).
1. 두 왕의 공통점
나답이 즉위 2년 만에 바아사에게 살해당하고 바아사가 북 이스라엘의 3대 왕이 되었습니다. 이로써 여로보암 왕조는 단 2대 만에 끝나고 말았습니다. 아히야의 예언이 그대로 성취 된 셈입니다.(왕상14:10) 이제 나답을 살해하고 새롭게 왕이 된 바아사 역시 여로보암이 저지른 악행을 반복하였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예후를 보내셔서 그의 악행을 꾸짖고 심판에 대한 예언을 하게했습니다. 여로보암 가문처럼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불명예스러운 종말을 당하거나 예정된 두 왕의 공통점은, 하느님 보시기에 악한 길을 걸었다는 것과 선왕의 악행을 그대로 본받았다는 것, 그리고 이스라엘에 죄를 짓게 하는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이었습니다.  
2. 관점과 시각의 변화
신앙의 길, 믿음의 삶을 산다는 것은 삶의 목적과 목표를 바꾸는 것입니다.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목적과 목표를 이루기 위한 진정성이 담보되는, 이른바 후속조치가 따라와야 합니다. 그것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삶의 태도와 내용의 변화입니다. 다시 말해 시각과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지요. 세상과 이웃,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에 여로보암과 그의 아들 나답, 바아사 모두 그런 점이 부족했다는 생각입니다. 겉모양은 하느님을 섬긴다고 했지만, 그 내용과 방법은 하느님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그 괴리 속에서 생겨난 것은 바로 죄이고 악이었습니다. 모든 것을 그들이 섬기고자 하는 하느님의 시각과 관점에서 분별하고 선택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하느님 대신 자신의 기득권과 백성들의 우매함을 이용했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로 죄를 짓게 했다는 죄가 추가된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3 230327 이유 있는 광야 생활(신8:1-10) file 이주현 2023.03.27 19
1842 230322 하느님의 선택과 그 이유(신7:1-11) file 이주현 2023.03.22 19
1841 230321 주님을 기억하고 시험치 말라(신6:10-25) file 이주현 2023.03.21 16
1840 230320 쉐마- 하느님 사랑과 명령(신6:1-9) file 이주현 2023.03.20 12
1839 230313 하느님을 마주한 백성들의 심정(신5:23-33) file 이주현 2023.03.19 12
1838 230307 십계명 원리와 교훈(신5:1-22) file 이주현 2023.03.07 16
1837 230306 하느님의 존재와 소통 방식(신4:15-49) file 이주현 2023.03.06 12
1836 230306 하느님의 존재와 소통 방식(신4:15-49) 이주현 2023.03.06 12
1835 230301 슬기롭고 위대한 민족(신4:1-14) file 이주현 2023.03.01 11
1834 230228 비스가 산에서 드린 모세의 기도(신3:23-29) file 이주현 2023.02.28 12
1833 230227 추가된 요단 동편 땅과 경계(신3:1-22) file 이주현 2023.02.27 17
1832 230225 가나의 혼인잔치(요2:1-12) file 오목사 2023.02.26 4
1831 230224 예수님의 제자들(요1:35-51) file 오목사 2023.02.26 5
1830 230223 세례 요한과 예수님(요1:19-34) file 오목사 2023.02.26 3
1829 230222 시혼과의 전쟁(신2:26-37) file 이주현 2023.02.22 36
1828 230221 다시 가나안을 향해(신2:1-25) file 이주현 2023.02.21 23
1827 230220 가데스바네아의 비극(신1:34-45) file 이주현 2023.02.20 15
1826 230218 말씀으로 오신 예수님(요1:1-18) file 오목사 2023.02.19 3
1825 230217 예수님의 마지막 부탁(눅24:36-53) file 오목사 2023.02.19 7
1824 230216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눅24:13-35) file 오목사 2023.02.1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