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414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김
2012.04.14 06:19
||0||0120414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열왕기상8:1-13
. 내 용: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기다
1. 솔로몬이 성전을 짓고 난 뒤 제일 먼저 한 일은 다윗성에 있던 언약궤를 옮기는 일이었음. 이스라엘의 장로들을 다 모이게 한 후 제사장들이 옮김.
2. 그 뒤 양과 소를 잡아 제사를 드리고 구름으로 가득 찬 성전을 향해 “이 집은 주님이 영원히 계실 곳”이란 고백을 함.
. 묵상 말씀: “이제 주님께서 계시기를 바라서, 이 웅장한 집을 지었습니다. 이 집은 주님께서 영원히 계실 곳입니다”(왕상8:13).
1. 성전 완성 후 한 일
성전에 가득 찬 구름을 보며 "이 집은 주님께서 영원히 계실 곳입니다"라고 한 솔로몬의 감격에 찬 고백이 마음에 남습니다. 그러면 그 일을 위해 솔로몬이 한 일은 무엇일까요? 성전을 다 짓고 난 뒤 제일 먼저 한 일은 언약궤를 옮기는 일이었습니다. 다윗성에 있던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겨오는 일은 어쩌면 진정한 의미에서 성전을 완성시키는 일이었습니다. 사실, 언약궤는 성전의 내용을 채우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있어서 언약궤가 정신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삶의 중심이었기 때문입니다. 그, 언약궤는 이스라엘의 장로들을 다 모이게 한 후, 제사장들이 메서 옮겼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수의 양과 소를 잡아 제물로 드렸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성전에 구름이 가득 찼고, 이를 하느님 영광이 가득 찬 모습으로 성서는 전하고 있습니다. 솔로몬 성전을 완공한 후 일어난 일, 세 가지 사건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크다고 봅니다.
2. 신앙의 본질과 내용, 그리고 현상
성전을 짓고 난 뒤 언약궤를 옮겨온 것은 우리의 신앙의 본질을 가르칩니다. 본질이란 가장 중요한 근간을 뜻합니다. 어쩌면 신앙이라는 집의 ‘기둥’을 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언약궤는 지성소에 안치된, 성전의 핵심이요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그 언약궤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언약과 그에 대한 인간의 응답이 담겨있습니다. 언약궤 속에 담겨있는 내용물(십계명 돌판, 또는 아론의 싹 난 지팡이와 만나가 담겼던 항아리<히9:4>)이 그 의미를 나타내 준다고 봅니다. 그 다음 한 일은 제사입니다.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양과 소를 제물로 드렸다 함은 우리가 채워가야 할 신앙의 내용을 뜻한다고 봅니다. 솔로몬 시대에 드린 양과 소는 오늘날 우리가 지녀야 할 삶의 태도와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바울은 하느님께 자신을 드리는 거룩한 산제사(롬12:1)를 가르쳤습니다. 제사를 드리고 나올 때, 성전에 가득 찬 구름은 하느님의 임재와 영광을 뜻한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신앙의 본질과 내용을 갖추며 사는 백성들의 삶 속에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 읽은 말씀: 열왕기상8:1-13
. 내 용: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기다
1. 솔로몬이 성전을 짓고 난 뒤 제일 먼저 한 일은 다윗성에 있던 언약궤를 옮기는 일이었음. 이스라엘의 장로들을 다 모이게 한 후 제사장들이 옮김.
2. 그 뒤 양과 소를 잡아 제사를 드리고 구름으로 가득 찬 성전을 향해 “이 집은 주님이 영원히 계실 곳”이란 고백을 함.
. 묵상 말씀: “이제 주님께서 계시기를 바라서, 이 웅장한 집을 지었습니다. 이 집은 주님께서 영원히 계실 곳입니다”(왕상8:13).
1. 성전 완성 후 한 일
성전에 가득 찬 구름을 보며 "이 집은 주님께서 영원히 계실 곳입니다"라고 한 솔로몬의 감격에 찬 고백이 마음에 남습니다. 그러면 그 일을 위해 솔로몬이 한 일은 무엇일까요? 성전을 다 짓고 난 뒤 제일 먼저 한 일은 언약궤를 옮기는 일이었습니다. 다윗성에 있던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겨오는 일은 어쩌면 진정한 의미에서 성전을 완성시키는 일이었습니다. 사실, 언약궤는 성전의 내용을 채우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있어서 언약궤가 정신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삶의 중심이었기 때문입니다. 그, 언약궤는 이스라엘의 장로들을 다 모이게 한 후, 제사장들이 메서 옮겼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수의 양과 소를 잡아 제물로 드렸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성전에 구름이 가득 찼고, 이를 하느님 영광이 가득 찬 모습으로 성서는 전하고 있습니다. 솔로몬 성전을 완공한 후 일어난 일, 세 가지 사건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크다고 봅니다.
2. 신앙의 본질과 내용, 그리고 현상
성전을 짓고 난 뒤 언약궤를 옮겨온 것은 우리의 신앙의 본질을 가르칩니다. 본질이란 가장 중요한 근간을 뜻합니다. 어쩌면 신앙이라는 집의 ‘기둥’을 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언약궤는 지성소에 안치된, 성전의 핵심이요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그 언약궤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언약과 그에 대한 인간의 응답이 담겨있습니다. 언약궤 속에 담겨있는 내용물(십계명 돌판, 또는 아론의 싹 난 지팡이와 만나가 담겼던 항아리<히9:4>)이 그 의미를 나타내 준다고 봅니다. 그 다음 한 일은 제사입니다.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양과 소를 제물로 드렸다 함은 우리가 채워가야 할 신앙의 내용을 뜻한다고 봅니다. 솔로몬 시대에 드린 양과 소는 오늘날 우리가 지녀야 할 삶의 태도와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바울은 하느님께 자신을 드리는 거룩한 산제사(롬12:1)를 가르쳤습니다. 제사를 드리고 나올 때, 성전에 가득 찬 구름은 하느님의 임재와 영광을 뜻한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신앙의 본질과 내용을 갖추며 사는 백성들의 삶 속에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97 | 120525 시라아와 이스라엘의 2차 전쟁 | 이주현 | 2012.05.25 | 879 |
196 | 120524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1차 전쟁 | 이주현 | 2012.05.24 | 896 |
195 | 120523 엘리야가 엘리사를 부름 [1] | 이주현 | 2012.05.23 | 1647 |
194 | 120522 시내산에 간 엘리야 | 이주현 | 2012.05.22 | 945 |
193 | 120521 마침내 가뭄이 그치다 | 이주현 | 2012.05.21 | 928 |
192 | 120519 갈멜산 결전 | 이주현 | 2012.05.19 | 903 |
191 | 120518 엘리야와 아합의 만남 | 이주현 | 2012.05.18 | 990 |
190 | 120517 악한 시대, 산소 같은 이야기 | 이주현 | 2012.05.17 | 907 |
189 | 120516 악한 왕 오므리, 더 악한 왕 아합 | 이주현 | 2012.05.16 | 974 |
188 | 120515 북이스라엘 왕, 엘라와 시므리(왕상16:8-20) | 이주현 | 2012.05.15 | 1190 |
187 | 120514 북 이스라엘 왕, 나답과 바아사 | 이주현 | 2012.05.14 | 950 |
186 | 120512 유다 왕, 아비야와 아사 | 이주현 | 2012.05.12 | 949 |
185 | 120511 르호보암과 남유다의 타락 | 이주현 | 2012.05.11 | 929 |
184 | 120510 하느님의 분노 격발 | 이주현 | 2012.05.10 | 931 |
183 | 120509 베델의 늙은 예언자 | 이주현 | 2012.05.09 | 980 |
182 | 120508 여로보암이 벌을 받다 | 이주현 | 2012.05.08 | 1074 |
181 | 120505 두 사람의 탐욕 | 이주현 | 2012.05.05 | 1007 |
180 | 120504 준비가 안 된 왕, 르호보암 | 이주현 | 2012.05.04 | 975 |
179 | 120503 여로보암의 출현과 솔로몬의 죽음 | 이주현 | 2012.05.03 | 1064 |
178 | 120502 솔로몬의 두 대적 | 이주현 | 2012.05.02 | 1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