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306 다윗이 만난 하느님
2012.03.06 06:14
||0||0120306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22:26-51
. 내 용: 다윗의 승전가Ⅱ
1. 다윗이 만난 하느님을 시와 찬양으로 고백하고 있음.
2. 신실한 사람에게 신실한 하느님으로 나타나시고, 등불이 되시며, 견고한 요새가 되어주신 그 하느님, 다윗에게 있어 그 하느님은 살아계신 하느님이셨음.
. 묵상 말씀: “주님은 살아계신다.”(삼하22:47)
1. 다윗이 만난 하느님
기독교는 체험의 종교입니다. 지식으로 감성으로 이념적으로 접근해서는 하느님에 대한 온전한 깨달음을 갖기 힘들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다윗은 하느님을 삶 속에서 만났고 삶 속에서 만난 하느님을 시와 찬양으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그런 체험적인 신앙은 살아있는 믿음으로 삶 속에서 능력과 기적으로 나타나게 마련입니다. 본문에서 다윗은 하느님을 여러 가지 차원에서 고백하고 있습니다. 먼저 신실한 사람에게는 신실하심으로 대하시는 하느님을 고백(26)하고 있습니다. 나의 태도에 따라 하느님은 나에게 그런 모습으로 나타나신다는 뜻입니다. 하느님을 대하는 태도가 나의 신앙의 내용을 결정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하느님을 등불로(29), 견고한 요새(33)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어두운 인생길을 만났을 때 하느님이 길이 되시고 안전한 거처가 되어주셨다는 고백입니다. 또한 다윗에게 있어 하느님은 자신을 훈련시키시는 하느님(35)으로 고백하기도 했습니다.
2. 살아계신 하느님
다윗이 만난 하느님은 결론적으로, ‘살아계신 하느님’(47)이었습니다.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시고 역사하시는 그런 하느님, 그래서 그의 고백은 치밀하고 구체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막연한 개념과 상징, 그리고 자신의 이해와 결심으로 표현되는 그런 고백이 아니었습니다.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었고 만지면 따뜻함이 느껴지는 그런 고백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그런 고백을 할 수 있습니다. 다윗이 고백한대로 그 하느님은 살아계신 하느님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믿음의 대상이 살아계신 하느님이라는 것은 우리의 고백이 구체성을 띄어야 함을 가르칩니다. 구체성이 결여된 고백과 삶 속에서 괴리된 고백은 미동도 하지 않는 죽은 하느님에 대한 고백이 될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매 순간순간의 결단과 선택이 곧 믿음의 내용일진데, 정말 믿음으로 사는 사람에게는 그러한 선택과 결단 속에서 어떻게 역사하시는 지, 구체적으로 나타나실 수밖에 없습니다.
. 읽은 말씀: 사무엘하22:26-51
. 내 용: 다윗의 승전가Ⅱ
1. 다윗이 만난 하느님을 시와 찬양으로 고백하고 있음.
2. 신실한 사람에게 신실한 하느님으로 나타나시고, 등불이 되시며, 견고한 요새가 되어주신 그 하느님, 다윗에게 있어 그 하느님은 살아계신 하느님이셨음.
. 묵상 말씀: “주님은 살아계신다.”(삼하22:47)
1. 다윗이 만난 하느님
기독교는 체험의 종교입니다. 지식으로 감성으로 이념적으로 접근해서는 하느님에 대한 온전한 깨달음을 갖기 힘들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다윗은 하느님을 삶 속에서 만났고 삶 속에서 만난 하느님을 시와 찬양으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그런 체험적인 신앙은 살아있는 믿음으로 삶 속에서 능력과 기적으로 나타나게 마련입니다. 본문에서 다윗은 하느님을 여러 가지 차원에서 고백하고 있습니다. 먼저 신실한 사람에게는 신실하심으로 대하시는 하느님을 고백(26)하고 있습니다. 나의 태도에 따라 하느님은 나에게 그런 모습으로 나타나신다는 뜻입니다. 하느님을 대하는 태도가 나의 신앙의 내용을 결정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하느님을 등불로(29), 견고한 요새(33)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어두운 인생길을 만났을 때 하느님이 길이 되시고 안전한 거처가 되어주셨다는 고백입니다. 또한 다윗에게 있어 하느님은 자신을 훈련시키시는 하느님(35)으로 고백하기도 했습니다.
2. 살아계신 하느님
다윗이 만난 하느님은 결론적으로, ‘살아계신 하느님’(47)이었습니다.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시고 역사하시는 그런 하느님, 그래서 그의 고백은 치밀하고 구체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막연한 개념과 상징, 그리고 자신의 이해와 결심으로 표현되는 그런 고백이 아니었습니다.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었고 만지면 따뜻함이 느껴지는 그런 고백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그런 고백을 할 수 있습니다. 다윗이 고백한대로 그 하느님은 살아계신 하느님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믿음의 대상이 살아계신 하느님이라는 것은 우리의 고백이 구체성을 띄어야 함을 가르칩니다. 구체성이 결여된 고백과 삶 속에서 괴리된 고백은 미동도 하지 않는 죽은 하느님에 대한 고백이 될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매 순간순간의 결단과 선택이 곧 믿음의 내용일진데, 정말 믿음으로 사는 사람에게는 그러한 선택과 결단 속에서 어떻게 역사하시는 지, 구체적으로 나타나실 수밖에 없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41 | 120308 사랑과 진실 | 이주현 | 2012.03.08 | 1012 |
140 | 120307 시인의 마음 | 이주현 | 2012.03.07 | 989 |
» | 120306 다윗이 만난 하느님 | 이주현 | 2012.03.06 | 984 |
138 | 120305 다윗에게 주어진 상 | 이주현 | 2012.03.05 | 975 |
137 | 120302 이스라엘의 등불, 다윗 | 이주현 | 2012.03.02 | 1031 |
136 | 120301 기브온 사람과 이스라엘의 화해 | 이주현 | 2012.03.01 | 1004 |
135 | 120229 아마사와 세바의 죽음 | 이주현 | 2012.02.29 | 1102 |
134 | 120228 지역감정 | 이주현 | 2012.02.28 | 1004 |
133 | 120227 다윗과 바르실래 | 이주현 | 2012.02.27 | 1239 |
132 | 120225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단 | 이주현 | 2012.02.25 | 1028 |
131 | 120224 다윗의 귀환 준비 | 이주현 | 2012.02.24 | 991 |
130 | 120223 요압의 항의을 받은 다윗 | 이주현 | 2012.02.23 | 969 |
129 | 120222 압살롬에 대한 다윗의 원죄 | 이주현 | 2012.02.22 | 981 |
128 | 120221 압살롬의 죽음 | 이주현 | 2012.02.21 | 1058 |
127 | 120220 다윗을 도운 이들 | 이주현 | 2012.02.20 | 998 |
126 | 120218 후새, 하늘의 도움을 받다 | 이주현 | 2012.02.18 | 972 |
125 | 120217 후새와 아히도벨의 모략 | 이주현 | 2012.02.17 | 1035 |
124 | 120216 다윗을 저주한 시므이 | 이주현 | 2012.02.16 | 1098 |
123 | 120215 다윗과 시바의 만남 | 이주현 | 2012.02.15 | 1085 |
122 | 120214 예루살렘을 떠나는 다윗 | 이주현 | 2012.02.14 | 1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