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305 다윗에게 주어진 상
2012.03.05 06:14
||0||0120305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22:1-25
. 내 용: 다윗의 승전가Ⅰ
1. 시18편과 같은 내용으로, 모든 승리를 하느님이 주신 상으로 고백하며 찬양을 드림. 그 상은 거저 주어진 것이 아님.
2. 먼저 부르짖는 다윗의 모습과 하느님 눈 밖에 나지 않도록 스스로를 지키는 치열한 삶속에서 주어진 하느님의 상이었음을 고백함.
. 묵상 말씀: “주님의 눈앞에서 깨끗하게 보인다고 하여, 나에게 상을 주셨다.”(삼하22:25)
1. 파란만장한 다윗의 삶
인생이 누구나 파란만장하겠지만,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다윗의 삶은 참 이야기 거리가 많습니다. 사무엘로부터 기름 부음을 받을 때부터 그의 인생 스토리는 남다른 데가 있습니다. 골리앗과의 대결 이후 사울 왕을 피해 도망자가 된 다윗, 각종 전쟁서 늘 앞장서왔던 다윗, 그리고 아들 압살롬의 반란에 이르기까지 죽음과 생명의 경계선상에서 살아왔던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 모든 인생역경을 반추하면서 얻은 결론은 하느님의 돌보심이었습니다. 모든 인생의 위기와 어려움 속에는 하느님이 함께 하시고 그 분의 돌보심이 있었다는 고백입니다. 그래서 다윗은 이 승전가를 지었고 하느님께 찬양으로 돌려드리고 있습니다.
2. 하느님이 주신 상
오늘 본문에서 다윗은 ‘주님께서 의롭게 산다고 하여 상을 주시고, 깨끗하게 보인다고 하여 상을 주셨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슨 상을 받은 것일까요? 그 상은 다름 아닌 위기와 역경 속에서 얻은 승리였다고 생각합니다. 위기와 역경 속에서 가장 큰 상은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고 그것을 ‘하느님의 승리’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원래 상은 뭔가 잘했기에 주어지는 것입니다. 다윗이 뭘 잘했기에 상을 받은 것일까요? 위기와 역경을 극복해내는 다윗의 태도에 그러한 모습이 나타나있습니다. 먼저 4절과 7절에 ‘부르짖었다’고 했습니다. 포악한 자 앞에서 고통 가운데서 하느님을 바라보면서 부르짖는 다윗의 모습, 하느님은 그 간구를 들으셨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어려움 앞에서 포기와 절망 대신 기도하는 것은 성도의 책무이자 특권입니다. 22~25절에서는 ‘하느님 앞에서 스스로를 잘 지키며 살아온 모습’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하느님 눈 밖에 벗어나는 일 없도록 최선을 다하는 다윗의 치열함이 엿보입니다. 그러한 모습이 하느님께 의로움과 깨끗함으로 보였고, 그 상으로 다윗은 ‘승전가’를 부를 수 있었습니다.
. 읽은 말씀: 사무엘하22:1-25
. 내 용: 다윗의 승전가Ⅰ
1. 시18편과 같은 내용으로, 모든 승리를 하느님이 주신 상으로 고백하며 찬양을 드림. 그 상은 거저 주어진 것이 아님.
2. 먼저 부르짖는 다윗의 모습과 하느님 눈 밖에 나지 않도록 스스로를 지키는 치열한 삶속에서 주어진 하느님의 상이었음을 고백함.
. 묵상 말씀: “주님의 눈앞에서 깨끗하게 보인다고 하여, 나에게 상을 주셨다.”(삼하22:25)
1. 파란만장한 다윗의 삶
인생이 누구나 파란만장하겠지만,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다윗의 삶은 참 이야기 거리가 많습니다. 사무엘로부터 기름 부음을 받을 때부터 그의 인생 스토리는 남다른 데가 있습니다. 골리앗과의 대결 이후 사울 왕을 피해 도망자가 된 다윗, 각종 전쟁서 늘 앞장서왔던 다윗, 그리고 아들 압살롬의 반란에 이르기까지 죽음과 생명의 경계선상에서 살아왔던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 모든 인생역경을 반추하면서 얻은 결론은 하느님의 돌보심이었습니다. 모든 인생의 위기와 어려움 속에는 하느님이 함께 하시고 그 분의 돌보심이 있었다는 고백입니다. 그래서 다윗은 이 승전가를 지었고 하느님께 찬양으로 돌려드리고 있습니다.
2. 하느님이 주신 상
오늘 본문에서 다윗은 ‘주님께서 의롭게 산다고 하여 상을 주시고, 깨끗하게 보인다고 하여 상을 주셨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슨 상을 받은 것일까요? 그 상은 다름 아닌 위기와 역경 속에서 얻은 승리였다고 생각합니다. 위기와 역경 속에서 가장 큰 상은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고 그것을 ‘하느님의 승리’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원래 상은 뭔가 잘했기에 주어지는 것입니다. 다윗이 뭘 잘했기에 상을 받은 것일까요? 위기와 역경을 극복해내는 다윗의 태도에 그러한 모습이 나타나있습니다. 먼저 4절과 7절에 ‘부르짖었다’고 했습니다. 포악한 자 앞에서 고통 가운데서 하느님을 바라보면서 부르짖는 다윗의 모습, 하느님은 그 간구를 들으셨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어려움 앞에서 포기와 절망 대신 기도하는 것은 성도의 책무이자 특권입니다. 22~25절에서는 ‘하느님 앞에서 스스로를 잘 지키며 살아온 모습’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하느님 눈 밖에 벗어나는 일 없도록 최선을 다하는 다윗의 치열함이 엿보입니다. 그러한 모습이 하느님께 의로움과 깨끗함으로 보였고, 그 상으로 다윗은 ‘승전가’를 부를 수 있었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1 | 120322 솔로몬의 재판 | 이주현 | 2012.03.22 | 959 |
150 | 120321 솔로몬의 꿈 이야기 | 이주현 | 2012.03.21 | 1071 |
149 | 120320 시므이의 죽음 | 이주현 | 2012.03.20 | 1121 |
148 | 120319 아비아달과 요압의 최후 | 이주현 | 2012.03.19 | 1050 |
147 | 120316 파멸을 부른 아도니야의 꼼수 | 이주현 | 2012.03.16 | 991 |
146 | 120315 다윗의 유언 | 이주현 | 2012.03.15 | 939 |
145 | 120314 제단뿔 붙잡은 아도니야 | 이주현 | 2012.03.14 | 1036 |
144 | 120313 아도니야의 실수 | 이주현 | 2012.03.13 | 969 |
143 | 120312 은 50세겔의 의미 [1] | 이주현 | 2012.03.12 | 1343 |
142 | 120309 인구조사 | 이주현 | 2012.03.09 | 983 |
141 | 120308 사랑과 진실 | 이주현 | 2012.03.08 | 1009 |
140 | 120307 시인의 마음 | 이주현 | 2012.03.07 | 985 |
139 | 120306 다윗이 만난 하느님 | 이주현 | 2012.03.06 | 979 |
» | 120305 다윗에게 주어진 상 | 이주현 | 2012.03.05 | 973 |
137 | 120302 이스라엘의 등불, 다윗 | 이주현 | 2012.03.02 | 1028 |
136 | 120301 기브온 사람과 이스라엘의 화해 | 이주현 | 2012.03.01 | 998 |
135 | 120229 아마사와 세바의 죽음 | 이주현 | 2012.02.29 | 1098 |
134 | 120228 지역감정 | 이주현 | 2012.02.28 | 998 |
133 | 120227 다윗과 바르실래 | 이주현 | 2012.02.27 | 1236 |
132 | 120225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단 | 이주현 | 2012.02.25 | 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