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224 다윗의 귀환 준비
2012.02.24 06:10
||0||0120224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 19:8b~18
. 내 용: 다윗의 귀환 준비
1. 압살롬이 죽자 도망간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윗을 왕궁으로 모셔오자는 여론이 일게 됨.
2. 이에 다윗은 사독과 아비아달에게 유다의 여론을 묻고, 압살롬의 군대 지휘관이었던 아마사를 자신의 군대 지휘관으로 세울 것을 약속함.
3. 유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다윗은 드디어 요단강을 건너 예루살렘으로 귀환을 시작함.
. 묵상 말씀: “이렇게 다윗이 모든 유다 사람의 마음을 하나같이 자기 쪽으로 기울게 하 니..”(삼하19:14)
1. 다윗의 조치들
압살롬과 그가 지휘한 반란군을 물리친 다윗이 예루살렘 왕궁으로 돌아가는데 장애물은 없었습니다. 그냥 개선장군처럼 들어가면 되는 것이고, 가서 압살롬을 도왔던 사람들에게 벌을 내리면 그 것으로 모든 일이 평정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왠지 다윗의 조치는 좀 더디지만 뭔가 달라 보입니다. 북쪽 가드 지역을 비롯해 온 지파 사람들로 구성된 반란군들이 고향으로 돌아간 뒤 그들을 통해 들려오는 여론의 동향에 귀를 기울이는 다윗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들의 우호적인 여론을 접하고 이번엔 유다의 여론을 듣습니다. 상대적으로 잠잠한 유다를 향해 다윗은 압살롬의 군 지휘관이었던 아마사를 자신의 군 지휘관으로 삼겠다고 선포합니다. 정치적인 보복대신 화합과 평화를 택한 셈입니다. 이에 사람들이 모두 다윗에게로 마음이 기우러졌고 다윗은 요단강을 건너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2. 때를 기다리며 준비하는 사람들
하느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태도는 그 분의 뜻이 그 중심에 있습니다. 그 뜻을 행하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이 있습니다. 그 뜻을 분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다리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선하신 하느님의 뜻을 기다리며, 그 때를 준비하는 사람들, 바로 그런 사람들이 하느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아닐까요? 오늘 본문에 다윗의 모습이 꼭 그런 모습으로 다가옵니다. 압살롬을 물리치긴 했지만, 잠시 압살롬을 왕으로 섬겼던 사람들이 자신의 과오를 성찰하고 뉘우치며 결단할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온ㄹ 본문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전쟁터에서 죽은 압살롬을 일컬어 “우리가 기름을 부어 왕으로 세운”왕으로 지칭하고 있습니다. 그 고백 속에는 정당한 방법으로 왕이 되지 않았음을 시인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성찰 속에서 나온 고백이야말로 진심일 터입니다. 아마사를 자신의 군 지휘관으로 기용하겠다는 선언을 통해 유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도 눈여겨 볼만한 조치입니다. 일련의 그런 조치들은 온 이스라엘을 하나로 묶었고, 다윗을 저주했던 시므이의 마음을 돌려놓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좀 더디더라도, 그 분의 뜻을 기다리며 준비하는 사람에게는 그렇게 좋은 일들이 생기는 법입니다.
. 읽은 말씀: 사무엘하 19:8b~18
. 내 용: 다윗의 귀환 준비
1. 압살롬이 죽자 도망간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윗을 왕궁으로 모셔오자는 여론이 일게 됨.
2. 이에 다윗은 사독과 아비아달에게 유다의 여론을 묻고, 압살롬의 군대 지휘관이었던 아마사를 자신의 군대 지휘관으로 세울 것을 약속함.
3. 유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다윗은 드디어 요단강을 건너 예루살렘으로 귀환을 시작함.
. 묵상 말씀: “이렇게 다윗이 모든 유다 사람의 마음을 하나같이 자기 쪽으로 기울게 하 니..”(삼하19:14)
1. 다윗의 조치들
압살롬과 그가 지휘한 반란군을 물리친 다윗이 예루살렘 왕궁으로 돌아가는데 장애물은 없었습니다. 그냥 개선장군처럼 들어가면 되는 것이고, 가서 압살롬을 도왔던 사람들에게 벌을 내리면 그 것으로 모든 일이 평정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왠지 다윗의 조치는 좀 더디지만 뭔가 달라 보입니다. 북쪽 가드 지역을 비롯해 온 지파 사람들로 구성된 반란군들이 고향으로 돌아간 뒤 그들을 통해 들려오는 여론의 동향에 귀를 기울이는 다윗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들의 우호적인 여론을 접하고 이번엔 유다의 여론을 듣습니다. 상대적으로 잠잠한 유다를 향해 다윗은 압살롬의 군 지휘관이었던 아마사를 자신의 군 지휘관으로 삼겠다고 선포합니다. 정치적인 보복대신 화합과 평화를 택한 셈입니다. 이에 사람들이 모두 다윗에게로 마음이 기우러졌고 다윗은 요단강을 건너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2. 때를 기다리며 준비하는 사람들
하느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태도는 그 분의 뜻이 그 중심에 있습니다. 그 뜻을 행하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이 있습니다. 그 뜻을 분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다리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선하신 하느님의 뜻을 기다리며, 그 때를 준비하는 사람들, 바로 그런 사람들이 하느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아닐까요? 오늘 본문에 다윗의 모습이 꼭 그런 모습으로 다가옵니다. 압살롬을 물리치긴 했지만, 잠시 압살롬을 왕으로 섬겼던 사람들이 자신의 과오를 성찰하고 뉘우치며 결단할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온ㄹ 본문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전쟁터에서 죽은 압살롬을 일컬어 “우리가 기름을 부어 왕으로 세운”왕으로 지칭하고 있습니다. 그 고백 속에는 정당한 방법으로 왕이 되지 않았음을 시인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성찰 속에서 나온 고백이야말로 진심일 터입니다. 아마사를 자신의 군 지휘관으로 기용하겠다는 선언을 통해 유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도 눈여겨 볼만한 조치입니다. 일련의 그런 조치들은 온 이스라엘을 하나로 묶었고, 다윗을 저주했던 시므이의 마음을 돌려놓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좀 더디더라도, 그 분의 뜻을 기다리며 준비하는 사람에게는 그렇게 좋은 일들이 생기는 법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1 | 120322 솔로몬의 재판 | 이주현 | 2012.03.22 | 959 |
150 | 120321 솔로몬의 꿈 이야기 | 이주현 | 2012.03.21 | 1071 |
149 | 120320 시므이의 죽음 | 이주현 | 2012.03.20 | 1121 |
148 | 120319 아비아달과 요압의 최후 | 이주현 | 2012.03.19 | 1050 |
147 | 120316 파멸을 부른 아도니야의 꼼수 | 이주현 | 2012.03.16 | 991 |
146 | 120315 다윗의 유언 | 이주현 | 2012.03.15 | 939 |
145 | 120314 제단뿔 붙잡은 아도니야 | 이주현 | 2012.03.14 | 1036 |
144 | 120313 아도니야의 실수 | 이주현 | 2012.03.13 | 969 |
143 | 120312 은 50세겔의 의미 [1] | 이주현 | 2012.03.12 | 1343 |
142 | 120309 인구조사 | 이주현 | 2012.03.09 | 983 |
141 | 120308 사랑과 진실 | 이주현 | 2012.03.08 | 1009 |
140 | 120307 시인의 마음 | 이주현 | 2012.03.07 | 985 |
139 | 120306 다윗이 만난 하느님 | 이주현 | 2012.03.06 | 979 |
138 | 120305 다윗에게 주어진 상 | 이주현 | 2012.03.05 | 973 |
137 | 120302 이스라엘의 등불, 다윗 | 이주현 | 2012.03.02 | 1028 |
136 | 120301 기브온 사람과 이스라엘의 화해 | 이주현 | 2012.03.01 | 998 |
135 | 120229 아마사와 세바의 죽음 | 이주현 | 2012.02.29 | 1098 |
134 | 120228 지역감정 | 이주현 | 2012.02.28 | 998 |
133 | 120227 다윗과 바르실래 | 이주현 | 2012.02.27 | 1236 |
132 | 120225 시므이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판단 | 이주현 | 2012.02.25 | 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