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126 다윗의 전쟁을 보는 시각

2012.01.26 06:04

웹관리자 조회 수:1010

||0||0120126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8:1-18
. 내     용: 다윗 왕국의 번성
1. ‘다윗의 왕위가 든든히 서게 하시겠다’는 약속대로, 모든 전쟁에서 승리를 함.
2. 블레셋을 필두로 모압, 소바 왕 하닷에셀, 시리아, 하맛 왕 도이, 에돔 족속을 차례로 물리치고 금과 은 놋쇠 등, 많은 전리품 챙김

. 묵상 말씀: “다윗이 어느 곳으로 출전하든지, 주님께서 그에게 승리를 안겨 주셨다.”(삼하8:6)
1. 다윗 왕국의 번성을 보는 두 시각
본문에 기록된 다윗의 전쟁 역사는 세상의 전쟁 역사와 다를 바 없습니다. 포로를 죽이는 모습이나 전리품을 챙기는 모습들이 여느 나라 전쟁사와 다를 바 없이 피 비린내가 나고 잔인하게 보입니다. 이스라엘 주변의 다른 이방 민족에 대하여 잔인하게 대하는 모습과는 달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공평하고 의로운 법으로 잘 다스렸다’(15)고 했습니다. 객관적인 역사 관점에서 본다면 다윗은 단순한 민족주의자일 뿐입니다. 그럼에도 성서에 기록으로 남아있고 거룩한 말씀으로 대하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2. 하느님의 계획
성서에 흐르는 구원역사는 철저하게 ‘하느님의 계획’ 속에서 이뤄지는 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하느님의 비밀을 간직한 자로서 사명감을 갖고 복음 전도자로 일생을 마쳤던 바울은 자신의 일이 철저하게 하느님의 계획안에서 이뤄진 일임을 이렇게 고백하였습니다. “이 일은, 하느님께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성취하신 영원한 뜻을 따른 것입니다.”(엡3:11) 따라서, 늘 하느님의 인도하심과 동행 속에서 삶을 살았다는 성서의 증언대로 다윗의 전쟁 역사는 다윗 개인의 판단보다는 하느님의 계획과 뜻 가운데서 치러진 역사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피 비린내 나는 전쟁의 역사는 맞지만, 그 것을 뛰어넘는 전 인류를 향한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이루시려는 원대한 섭리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성서에 나타난 역사는 그런 점에서 개별적으로 떼어 놓고 봐서는 안 됩니다. 전쟁과 노략질이라는 비인간적인 모습을 보기보다는 ‘치르는 전쟁마다 하느님께서 승리를 안겨주신 뜻’을 헤아리는 게, 오늘 본문을 보는 올바른 시각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210226 천부장을 통해 부어주시는 하느님의 은혜 file 오목사 2021.02.26 10
122 210112 진정한 자유인 file 이주현 2021.01.12 10
121 170621 니느웨의 멸망의 필연성 [1] 이주현목사 2017.06.27 10
120 170607 정의롭지 못한 지도자들 [1] 이주현목사 2017.06.09 10
119 170201 육체를 가진 자들과 함께 사는 신 이주현목사 2017.02.01 10
118 161003 내가 이렇게 하는 까닭은? 이주현목사 2016.10.03 10
117 240306 친구와 적을 만든 다윗의 승리(삼상17:55-18:16) file 이주현 2024.03.06 9
116 240131 승리의 계기를 마련한 요나단(삼상14:1-15) file 이주현 2024.01.31 9
115 240103 제 자리로 돌려보낸 법궤(삼상6:1-18) file 이주현 2024.01.07 9
114 231205 한나의 기도(삼상1:9-19) file 이주현 2023.12.05 9
113 231114 이스라엘의 패배와 승리(삿20:18-48) file 이주현 2023.11.14 9
112 231106 거할 땅을 찾는 단 지파(삿18:1-10) file 이주현 2023.11.06 9
111 230930 기드온 용사의 무기와 명령(삿7:15-25) file 이주현 2023.09.30 9
110 230918 사사 에훗과 삼갈(삿3:12-31) file 이주현 2023.09.18 9
109 230118 두 번째 인구 조사(민26:1-65) file 이주현 2023.01.18 9
108 230117 모압의 유혹에 넘어간 이스라엘(민25:1-18) file 이주현 2023.01.17 9
107 221027 세상을 사는 지혜(눅12:22-34) file 오목사 2022.10.30 9
106 221018 약자를 대하는 법(레25:35-55) file 이주현 2022.10.18 9
105 221017 토지에 관한 규례(레25:14-34) file 이주현 2022.10.17 9
104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오목사 2022.10.1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