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125 다윗의 감사기도

2012.01.25 06:06

웹관리자 조회 수:968

||0||0120125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7:18-29
. 내     용: 다윗의 감사기도
1. 나단 예언자를 통해 다윗과 후손들에 대한 놀라운 예언을 전해들은 다윗은 성막에 꿇어앉아 감사의 기도를 드림
2. 다윗 자신을 돌아보며 왕의 자리까지 오게 하신 주님의 위대하심에 감사를 드리며, 주님의 이름을 높이고 ‘종의 집안이 영원토록, 주님께서 내리시는 복을 받게 해’달라고 기도함

. 묵상 말씀: “주님께서 주님의 종을 잘 아시니, 이 다윗이 주님께 무슨 말씀을 더 드릴 필요가 있겠습니까?”(삼하7:20)
1. 감사기도 내용
오늘 본문은 다윗이 감격에 겨워 드리는 감사기도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주신 복과 은혜에 대한 감사보다는 주의 백성으로서 해야 할 일들을 감당케 해달라는 기도가 눈에 띕니다. “주님의 이름을 영원토록 높이게 하시고..”(26) 장래의 일을 알려주신 하느님의 은혜도 은혜지만, 그런 복과 은혜를 입은 백성으로서 태도를 기도하는 모습이 진정성으로 와 닿습니다. 받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받은 그 것을 잘 간직하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하느님 앞에서 망한 것은 바로 그 것이었습니다. 선택받은 민족으로서 자부심만 있었지, 그 놀라운 은혜를 베푼 하느님의 듯을 헤아리질 못한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후손들에게 임할 복과 은혜를 기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복이 당대에서 끝난다면 그것은 복이 아니라 재앙입니다. 당대를 사는 이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인간은 후대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2. 믿음과 기도
기도는 단순히 단어의 나열이 아닙니다. 하늘과 땅을 움직이는 놀랍고 신비한 역사의 원동력입니다. 기도가 단순한 단어의 나열이 아닌, 진정한 기도가 되기 위해서는 믿음이 실려야 합니다. 성찰과 고백을 통해 믿음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게 없다면 그 것은 기도가 아니라 주문일 터입니다. 기도를 뒤집으면 믿음이라는 단어가 나와야 한다는 뜻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다윗은 그런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신의 성찰과 함께 하느님을 향한 자신의 믿음을 고백하기를, ‘나를 잘 아시는 하느님이시고, 따라서 더 드릴 말씀이 있겠느냐’는 고백입니다. 마음 속 깊은 곳에 간직한 ‘진실’이라는 것을 끄집어내서 하느님과 대면시키는 다윗의 모습을 봅니다. 형식과 가식으로 포장된 자신을 성찰하면서 ‘진실’이라는 것을 찾아내고 그것을 하느님과 마주하게 하는 행위, 그게 진정 기도하는 사람의 모습 아닐까요? 오늘 본문 다윗을 통해 그런 모습을 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210226 천부장을 통해 부어주시는 하느님의 은혜 file 오목사 2021.02.26 10
122 210112 진정한 자유인 file 이주현 2021.01.12 10
121 170621 니느웨의 멸망의 필연성 [1] 이주현목사 2017.06.27 10
120 170607 정의롭지 못한 지도자들 [1] 이주현목사 2017.06.09 10
119 170201 육체를 가진 자들과 함께 사는 신 이주현목사 2017.02.01 10
118 161003 내가 이렇게 하는 까닭은? 이주현목사 2016.10.03 10
117 240306 친구와 적을 만든 다윗의 승리(삼상17:55-18:16) file 이주현 2024.03.06 9
116 240131 승리의 계기를 마련한 요나단(삼상14:1-15) file 이주현 2024.01.31 9
115 240103 제 자리로 돌려보낸 법궤(삼상6:1-18) file 이주현 2024.01.07 9
114 231205 한나의 기도(삼상1:9-19) file 이주현 2023.12.05 9
113 231114 이스라엘의 패배와 승리(삿20:18-48) file 이주현 2023.11.14 9
112 231106 거할 땅을 찾는 단 지파(삿18:1-10) file 이주현 2023.11.06 9
111 230930 기드온 용사의 무기와 명령(삿7:15-25) file 이주현 2023.09.30 9
110 230918 사사 에훗과 삼갈(삿3:12-31) file 이주현 2023.09.18 9
109 230118 두 번째 인구 조사(민26:1-65) file 이주현 2023.01.18 9
108 230117 모압의 유혹에 넘어간 이스라엘(민25:1-18) file 이주현 2023.01.17 9
107 221027 세상을 사는 지혜(눅12:22-34) file 오목사 2022.10.30 9
106 221018 약자를 대하는 법(레25:35-55) file 이주현 2022.10.18 9
105 221017 토지에 관한 규례(레25:14-34) file 이주현 2022.10.17 9
104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오목사 2022.10.1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