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112 아브넬의 장례식

2012.01.12 06:05

웹관리자 조회 수:960

||0||0120112 새벽 묵상
. 읽은 말씀: 아브넬의 장례식을 극진하게 치른 다윗
1. 아브넬의 죽음을 진심으로 애도하는 모습을 백성들이 보고 좋게 여김
2. 그로인해 다윗이 무엇을 하든지 백성들은 좋게 받아들임

. 묵상 말씀: “다윗 왕이 무엇을 하든지 온 백성이 마음에 좋게 받아들였다.”(삼하3:36)
1. 아브넬 장례를 통해 백성들의 신임을 얻은 다윗
어찌보면 아브넬은 다윗의 정적이었고, 그의 죽음은 그렇게 슬퍼할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그렇게 애도를 표한 것은 두 가지 배경이 있어 보입니다. 하나는 자신이 아브넬의 살해 배후가 아니라는 것을 보일 필요가 있었습니다. 잠시지만 다윗과 맞서 치열하게 싸웠고, 다윗의 부하이자 사촌이었던 아사헬이 그의 손에 죽임을 당했던 터입니다. 그러나 극진한 장례를 통해 백성들은 그러한 오해를 풀게 됩니다.(37) 또 하나, 사울의 죽음을 애도했던 대로, 아브넬의 죽음을 정적의 죽음이 아닌 이스라엘 장군의 죽음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비록 사울이 자신을 죽이려했지만 그것으로 인해 이스라엘의 국가적 정통성까지 부정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여 사울의 죽음을 자신의 정적의 죽음으로 인식하지 않고 기름부음 받은 이스라엘 왕의 죽음으로 인식한 것입니다. 아브넬의 죽음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튼 다윗은 아브넬의 장례식을 통해 백성들로부터 신뢰와 지지를 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 신뢰와 지지를 받는다는 것
오늘 본문 36절에, 백성들이 다윗이 하는 일을 모두 좋게 보았다는 말씀이 나옵니다. 사람들한테 지지를 받았다는 뜻입니다. 백성들의 지지는 안정적이며 강력한 통치기반입니다. 사울 왕이 죽은 뒤 혼란을 수습하고 이스라엘을 안정적으로 이끌고 가는데 필수요건인 셈입니다. 다윗은 그 일을 아브넬의 장례를 통해 일정부분 만들어냈습니다. 해석과 시각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러한 의도로 아브넬의 죽음을 애도했다고는 보기 힘듭니다. 의도된 통곡, 의도된 애도를 성서기자가 간파하지 못했다고 보기에는 무리입니다. 또한 그런 의도된 행위를 보고 백성들이 감동했다고 보기에는 그동안 다윗이 보여준 행동과 일관성이 없어 보입니다. 다시 말해 다윗의 행위 속에서 백성들이 본 것은 바로 진정성이었습니다. 그 진정성은 진실이 담보되어야 합니다. 진실이 담보된 진정성은 곧바로 신뢰로 이어지고 그 신뢰는 무조건적인 지지로 이어지게 마련입니다. 백성들이 다윗이 하는 일을 모두 좋게 보게된 것은 바로 그런 연유 때문이 아닐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210226 천부장을 통해 부어주시는 하느님의 은혜 file 오목사 2021.02.26 10
122 210112 진정한 자유인 file 이주현 2021.01.12 10
121 170621 니느웨의 멸망의 필연성 [1] 이주현목사 2017.06.27 10
120 170607 정의롭지 못한 지도자들 [1] 이주현목사 2017.06.09 10
119 170201 육체를 가진 자들과 함께 사는 신 이주현목사 2017.02.01 10
118 161003 내가 이렇게 하는 까닭은? 이주현목사 2016.10.03 10
117 240306 친구와 적을 만든 다윗의 승리(삼상17:55-18:16) file 이주현 2024.03.06 9
116 240131 승리의 계기를 마련한 요나단(삼상14:1-15) file 이주현 2024.01.31 9
115 240103 제 자리로 돌려보낸 법궤(삼상6:1-18) file 이주현 2024.01.07 9
114 231205 한나의 기도(삼상1:9-19) file 이주현 2023.12.05 9
113 231114 이스라엘의 패배와 승리(삿20:18-48) file 이주현 2023.11.14 9
112 231106 거할 땅을 찾는 단 지파(삿18:1-10) file 이주현 2023.11.06 9
111 230930 기드온 용사의 무기와 명령(삿7:15-25) file 이주현 2023.09.30 9
110 230918 사사 에훗과 삼갈(삿3:12-31) file 이주현 2023.09.18 9
109 230118 두 번째 인구 조사(민26:1-65) file 이주현 2023.01.18 9
108 230117 모압의 유혹에 넘어간 이스라엘(민25:1-18) file 이주현 2023.01.17 9
107 221027 세상을 사는 지혜(눅12:22-34) file 오목사 2022.10.30 9
106 221018 약자를 대하는 법(레25:35-55) file 이주현 2022.10.18 9
105 221017 토지에 관한 규례(레25:14-34) file 이주현 2022.10.17 9
104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오목사 2022.10.1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