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원감리교회

120102 한 아멜렉 사람의 최후

2012.01.02 06:13

웹관리자 조회 수:1083

||0||0120102 새벽묵상
. 읽은 말씀: 사무엘하1:1-16
. 내     용: 사울을 죽였다는 아멜렉 사람에 대한 다윗의 태도
1. 블레셋 땅 시글락에 머물고 있는 다윗에게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외국인(아말렉 사람의 아들)이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사울 왕이 전사했다는 소식을 전함
2. 사울 왕의 죽음에 개입한 아말렉 사람을 호통 치며 그를 죽임

. 묵상 말씀: “네가 감히 겁도 없이 손을 들어서, 주님께서 기름을 부어서 세우신 분을 살해하였느냐?”(삼하1:14)
1. 사울 왕의 최후에 대한 두 번째 설 등장
사무엘하 31장에 기록된 사울 왕의 최후에 대한 기사는 길보아 전투에서 사울 왕이 자결해서 죽은 것으로 나옵니다. 블레셋 군인이 쏜 화살에  맞아 중상을 입고 옆에 있던 부하에게 죽여 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하자 자신의 칼에 엎어져 자결을 한 것으로 나타납니다.(삼상31:4) 그 뒤 그의 시신은 벳산 성벽에 매달렸고, 길르앗 야베스 사람들이 그 시신을 거둬 장사를 지내주고 애도했다고 했습니다.(삼상31:12) 그러나 오늘 본문, 전투에 참가했던 아말렉 사람의 증언은 좀 다르게 나옵니다. 그게 사실일 수도 있지만, 사울 왕으로부터 쫓기며 죽음의 위협을 당하고 있는 다윗에게 이 사실을 알리는 과정에서 약간의 과장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즉, 차기 이스라엘 왕으로 유력시 되던 다윗으로부터 호의를 얻으려는 의도가 보인다는 뜻입니다.
2. 아말렉 사람의 최후
그러한 보고를 듣은 다윗의 반응은 아말렉 사람의 기대와는 달리 의외였습니다. 슬픔을 억누르지 못하고 자기 옷을 찢고, 애통해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비록 자신을 죽이려는 사울 왕이지만, 그의 죽음 앞에서 슬퍼하는 모습은 다윗의 성숙한 인품과 하느님에 대한 진실한 신앙심을 엿보게 됩니다. 나아가, 그는 사울 왕을 죽였다(죽여 달라고 해서 죽여줬다)는 아말렉 사람은 칭찬 대신 다윗의 책망을 들어야 했습니다. 기름을 부어 세우신 왕을 죽였다는 사실 때문이었습니다. 비록 자신을 죽이려는 왕이었지만, 철저하게 하느님의 영역으로 남겨두고 자신의 영역만을 고집하는 다윗의 모습에서 소중한 교훈을 얻게 됩니다.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의 분별이라고 할까요? 자신이 할 수 있는 영역과 하느님의 영역을 구별하고 자신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하는 그런 모습 말입니다. 어설프게 하느님의 영역까지 침범했다고 사무엘로부터 책망을 받고 버림받았던 사울(삼상13:9-13)과 대조되는 모습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하느님의 영역에 대한 침범은 일종의 자만입니다. 그 자만은 오류를 낳게 마련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210226 천부장을 통해 부어주시는 하느님의 은혜 file 오목사 2021.02.26 10
122 210112 진정한 자유인 file 이주현 2021.01.12 10
121 170621 니느웨의 멸망의 필연성 [1] 이주현목사 2017.06.27 10
120 170607 정의롭지 못한 지도자들 [1] 이주현목사 2017.06.09 10
119 170201 육체를 가진 자들과 함께 사는 신 이주현목사 2017.02.01 10
118 161003 내가 이렇게 하는 까닭은? 이주현목사 2016.10.03 10
117 240306 친구와 적을 만든 다윗의 승리(삼상17:55-18:16) file 이주현 2024.03.06 9
116 240131 승리의 계기를 마련한 요나단(삼상14:1-15) file 이주현 2024.01.31 9
115 240103 제 자리로 돌려보낸 법궤(삼상6:1-18) file 이주현 2024.01.07 9
114 231205 한나의 기도(삼상1:9-19) file 이주현 2023.12.05 9
113 231114 이스라엘의 패배와 승리(삿20:18-48) file 이주현 2023.11.14 9
112 231106 거할 땅을 찾는 단 지파(삿18:1-10) file 이주현 2023.11.06 9
111 230930 기드온 용사의 무기와 명령(삿7:15-25) file 이주현 2023.09.30 9
110 230918 사사 에훗과 삼갈(삿3:12-31) file 이주현 2023.09.18 9
109 230118 두 번째 인구 조사(민26:1-65) file 이주현 2023.01.18 9
108 230117 모압의 유혹에 넘어간 이스라엘(민25:1-18) file 이주현 2023.01.17 9
107 221027 세상을 사는 지혜(눅12:22-34) file 오목사 2022.10.30 9
106 221018 약자를 대하는 법(레25:35-55) file 이주현 2022.10.18 9
105 221017 토지에 관한 규례(레25:14-34) file 이주현 2022.10.17 9
104 221015 진정한 표적(눅11:29-36 오목사 2022.10.16 9